에쓰오일, 복합석유화학시설 등 미래사업에 초대형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래 성장동력 발굴 나선 기업들
에쓰오일은 석유화학 분야에 12조원 규모를 투자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RUC&ODC(복합석유화학시설)’는 에쓰오일의 대표적인 미래 산업이다. 에쓰오일의 RUC&ODC 사업은 부가가치가 낮은 잔사유를 원료로 프로필렌, 휘발유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하는 ‘잔사유 고도화시설’과 프로필렌을 원료로 고부가가치 폴리프로필렌(PP), 산화프로필렌(PO)을 생산하는 ‘올레핀 하류시설’로 구성돼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탄성이 뛰어나 자동차 범퍼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산화프로필렌은 자동차 내장재와 전자제품, 단열재 등에 들어가는 폴리우레탄의 기초 원료다.
RUC&ODC 사업 덕에 포트폴리오도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가가치가 높은 석유화학, 윤활기유 등 비정유부문 비중이 14%에서 19%로 늘었다. 원유 가격보다 저렴한 중질유 비중은 12%에서 4%로 줄었다. 아울러 석유화학 제품 포트폴리오도 기존에 71%를 차지한 파라자일렌이 46%로 줄었다. 올레핀 제품은 37%로 늘어나며 균형 잡힌 구조를 갖추게 됐다.
에쓰오일은 석유화학 2단계 프로젝트를 위해 지난 6월 사우디아람코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4년까지 7조원을 투자하는 에쓰오일의 석유화학 2단계 투자는 SC&D(스팀크래커 및 올레핀다운스트림)다. SC&D 프로젝트는 나프타와 부생가스를 원료로 연간 150만t 규모 에틸렌 및 기타 석유화학 원재료를 생산하는 스팀크래커와 폴리에틸렌(PE), PP 등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올레핀 다운스트림 시설로 구성된다. 에쓰오일은 초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우디아람코의 신기술 상용화에 협력하기로 했다.
에쓰오일은 2단계 프로젝트를 위해 울산 온산공장에서 가까운 약 40만㎡ 부지를 현대중공업으로부터 매입했다. 새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추진되면 경제성과 운영 효율성에서도 경쟁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2단계 프로젝트 건설 과정 중 연평균 270만 명, 상시 고용 400명 충원 등 일자리 창출, 수출 증대 등을 통해 국가 경제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RUC&ODC(복합석유화학시설)’는 에쓰오일의 대표적인 미래 산업이다. 에쓰오일의 RUC&ODC 사업은 부가가치가 낮은 잔사유를 원료로 프로필렌, 휘발유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하는 ‘잔사유 고도화시설’과 프로필렌을 원료로 고부가가치 폴리프로필렌(PP), 산화프로필렌(PO)을 생산하는 ‘올레핀 하류시설’로 구성돼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탄성이 뛰어나 자동차 범퍼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산화프로필렌은 자동차 내장재와 전자제품, 단열재 등에 들어가는 폴리우레탄의 기초 원료다.
에쓰오일은 석유화학 2단계 프로젝트를 위해 지난 6월 사우디아람코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4년까지 7조원을 투자하는 에쓰오일의 석유화학 2단계 투자는 SC&D(스팀크래커 및 올레핀다운스트림)다. SC&D 프로젝트는 나프타와 부생가스를 원료로 연간 150만t 규모 에틸렌 및 기타 석유화학 원재료를 생산하는 스팀크래커와 폴리에틸렌(PE), PP 등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올레핀 다운스트림 시설로 구성된다. 에쓰오일은 초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우디아람코의 신기술 상용화에 협력하기로 했다.
에쓰오일은 2단계 프로젝트를 위해 울산 온산공장에서 가까운 약 40만㎡ 부지를 현대중공업으로부터 매입했다. 새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추진되면 경제성과 운영 효율성에서도 경쟁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2단계 프로젝트 건설 과정 중 연평균 270만 명, 상시 고용 400명 충원 등 일자리 창출, 수출 증대 등을 통해 국가 경제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