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시리아 주둔 이유는 석유뿐"…쿠르드 "가라, 배신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군, 남부에 '소규모' 남고 이라크로 철수…트럼프 "석유 말고 있을 이유 없다"
쿠르드 주민, 철군 행렬 향해 돌·감자 던지며 분노·좌절 표출
이라크서 미-이란 군사적 긴장 고조할 듯 5년 전 꽃과 박수 속에 시리아 북부에 발을 디딘 미군이 돌멩이와 썩은 감자를 맞으며 떠나갔다.
시리아 북부에 주둔했던 미군 일부가 21일(현지시간) 오전 국경을 넘어 이라크 북부로 이동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자사 기자가 미군을 태운 군용 차량 100여대가 시리아 북부에서 이라크 북부 쿠르드자치지역 도후크 주의 사헬라 국경 검문소를 지나는 장면을 이날 목격했다고 전했다.
미국은 터키와 22일까지 시리아 북부에서 군사작전을 한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합의했으며, 이 휴전 기간을 이용해 미군 병력을 이라크로 이동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이라크 북부에 도착한 미군의 사진과 동영상이 올라왔다. 쿠르드 매체 안하 하와르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쿠르드 도시 까미슐리에서 성난 주민들이 미군의 군용 차량 행렬에 돌과 감자, 썩은 음식을 던지면서 "가라, 이 배신자들", "미국 반대", "거짓말쟁이 미국" 등을 외쳤다.
일부 주민은 맨몸으로 철수 행렬을 가로 막거나, 플래카드를 들고 항의했다.
"미국인들이 쥐처럼 줄행랑치네"는 성난 목소리도 들려왔다.
까미슐리에서 상점을 운영하는 칼릴 오마르(56)는 영국 일간 '가디언'에 "사람들이 미국의 철군에 분노하는 건 너무도 당연하다"면서 "우리는 아이들을 보내 ISIS(수니파 테러조직 '이슬람국가'의 옛 약칭)와 싸우게 했는데, 미국은 우리를 버렸다"고 울분을 토했다.
군 통수권자의 명령에 따라 쿠르드를 저버리면서도 연대의 마음을 드러내는 듯한 미군의 모습도 포착됐다.
AFP통신은 미군으로 추정되는 한 남성 병사가 시리아 쿠르드 여성 민병대(YPJ)의 휘장을 어깨에 단 채 미군 장갑차를 타고 시리아 북부에서 가장 큰 탈타므르 기지에서 철수하는 사진을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고위 외교관은 "이것은 항복"이라고 규정했다고 가디언이 전했다. 시리아 북부의 쿠르드 민병대는 그간 미군의 지원 아래 이슬람국가(IS)와 전장에서 선봉 부대 역할을 했다.
2014년부터 약 1만명이 전사하면서 IS의 확대를 막았고, 이란이 후원하는 시리아 정부를 견제했다.
그러나 드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리아 북부에서 철군을 결정, 터키군의 쿠르드 공격을 용인했다.
알아안 방송의 중동 전문기자인 제난 무사는 자신의 트위터에 "시리아 북부에 미군이 처음 왔을 때 쿠르드족은 꽃을 선사하며 그들을 영웅이라고 칭송했는데, (터키의 공격에) 겁에 질린 쿠르드족은 이제 떠나는 미군에 돌을 던진다"라는 글을 올렸다. 앞서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19일 시리아 북부에 주둔한 미군 병력 상당수가 이라크 서부로 이동한다고 발표했다.
이라크 서부는 IS의 과거 근거지로, 여전히 이들의 잔당이 활동하는 곳이다.
AP통신은 이라크 서부로 옮기는 미군은 700명 이상이고, 나머지 200∼300명은 시리아 남부 탄프(앗탄프) 기지에 잔류한다고 보도했다.
탄프는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등 3국의 국경이 만나는 요충지로서, 인근 시리아 유전지대와도 가깝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인이 아니라 시리아 석유를 지키기 위해서 미군을 남긴다는 점을 대놓고 말했다.
그는 21일(미국동부 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에서 "석유를 지키는 것 말고는 주둔할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동맹 배신론'을 겨냥, "나머지 인류와 문명을 위해 우리가 중동에 남아서 쿠르드를 보호해야 한다는 합의가 어디 있느냐"며 되레 큰소리를 쳤다. 한편, 시리아 주둔 미군의 이라크 이동을 이라크 정부가 사전에 동의했는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라크 정부는 자국이 미국과 이란의 전장이 되지 않도록 외국 군대의 주둔은 이라크 정부가 요청하고 승인할 때만 가능하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이라크 서부에 주둔할 미군이 수백명 수준이고 이란과 지리상으로 멀지만 결과적으로 미군이 이라크에 추가 주둔하는 셈이어서 미국과 이란, 또는 이라크 내 친이란 무장조직과 군사적 충돌 가능성은 한층 커지게 됐다. /연합뉴스
쿠르드 주민, 철군 행렬 향해 돌·감자 던지며 분노·좌절 표출
이라크서 미-이란 군사적 긴장 고조할 듯 5년 전 꽃과 박수 속에 시리아 북부에 발을 디딘 미군이 돌멩이와 썩은 감자를 맞으며 떠나갔다.
시리아 북부에 주둔했던 미군 일부가 21일(현지시간) 오전 국경을 넘어 이라크 북부로 이동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자사 기자가 미군을 태운 군용 차량 100여대가 시리아 북부에서 이라크 북부 쿠르드자치지역 도후크 주의 사헬라 국경 검문소를 지나는 장면을 이날 목격했다고 전했다.
미국은 터키와 22일까지 시리아 북부에서 군사작전을 한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합의했으며, 이 휴전 기간을 이용해 미군 병력을 이라크로 이동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이라크 북부에 도착한 미군의 사진과 동영상이 올라왔다. 쿠르드 매체 안하 하와르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쿠르드 도시 까미슐리에서 성난 주민들이 미군의 군용 차량 행렬에 돌과 감자, 썩은 음식을 던지면서 "가라, 이 배신자들", "미국 반대", "거짓말쟁이 미국" 등을 외쳤다.
일부 주민은 맨몸으로 철수 행렬을 가로 막거나, 플래카드를 들고 항의했다.
"미국인들이 쥐처럼 줄행랑치네"는 성난 목소리도 들려왔다.
까미슐리에서 상점을 운영하는 칼릴 오마르(56)는 영국 일간 '가디언'에 "사람들이 미국의 철군에 분노하는 건 너무도 당연하다"면서 "우리는 아이들을 보내 ISIS(수니파 테러조직 '이슬람국가'의 옛 약칭)와 싸우게 했는데, 미국은 우리를 버렸다"고 울분을 토했다.
군 통수권자의 명령에 따라 쿠르드를 저버리면서도 연대의 마음을 드러내는 듯한 미군의 모습도 포착됐다.
AFP통신은 미군으로 추정되는 한 남성 병사가 시리아 쿠르드 여성 민병대(YPJ)의 휘장을 어깨에 단 채 미군 장갑차를 타고 시리아 북부에서 가장 큰 탈타므르 기지에서 철수하는 사진을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고위 외교관은 "이것은 항복"이라고 규정했다고 가디언이 전했다. 시리아 북부의 쿠르드 민병대는 그간 미군의 지원 아래 이슬람국가(IS)와 전장에서 선봉 부대 역할을 했다.
2014년부터 약 1만명이 전사하면서 IS의 확대를 막았고, 이란이 후원하는 시리아 정부를 견제했다.
그러나 드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리아 북부에서 철군을 결정, 터키군의 쿠르드 공격을 용인했다.
알아안 방송의 중동 전문기자인 제난 무사는 자신의 트위터에 "시리아 북부에 미군이 처음 왔을 때 쿠르드족은 꽃을 선사하며 그들을 영웅이라고 칭송했는데, (터키의 공격에) 겁에 질린 쿠르드족은 이제 떠나는 미군에 돌을 던진다"라는 글을 올렸다. 앞서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은 19일 시리아 북부에 주둔한 미군 병력 상당수가 이라크 서부로 이동한다고 발표했다.
이라크 서부는 IS의 과거 근거지로, 여전히 이들의 잔당이 활동하는 곳이다.
AP통신은 이라크 서부로 옮기는 미군은 700명 이상이고, 나머지 200∼300명은 시리아 남부 탄프(앗탄프) 기지에 잔류한다고 보도했다.
탄프는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등 3국의 국경이 만나는 요충지로서, 인근 시리아 유전지대와도 가깝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인이 아니라 시리아 석유를 지키기 위해서 미군을 남긴다는 점을 대놓고 말했다.
그는 21일(미국동부 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에서 "석유를 지키는 것 말고는 주둔할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동맹 배신론'을 겨냥, "나머지 인류와 문명을 위해 우리가 중동에 남아서 쿠르드를 보호해야 한다는 합의가 어디 있느냐"며 되레 큰소리를 쳤다. 한편, 시리아 주둔 미군의 이라크 이동을 이라크 정부가 사전에 동의했는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라크 정부는 자국이 미국과 이란의 전장이 되지 않도록 외국 군대의 주둔은 이라크 정부가 요청하고 승인할 때만 가능하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이라크 서부에 주둔할 미군이 수백명 수준이고 이란과 지리상으로 멀지만 결과적으로 미군이 이라크에 추가 주둔하는 셈이어서 미국과 이란, 또는 이라크 내 친이란 무장조직과 군사적 충돌 가능성은 한층 커지게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