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쟁이 3명 중 1명은 '월 200만원' 못 벌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만원 미만 비중 3년6개월째 감소세
임금근로자 3명 중 1명은 월 200만원 이하의 임금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임금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년 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2일 통계청의 '2019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임금근로자 취업자 2030만1000명 중 월평균 임금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가 9.7%, 100만∼200만원 미만이 24.3%였다.
200만∼300만원 미만은 31.0%, 300만∼400만원 미만은 16.9%, 400만원 이상은 18.0%였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1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은 0.1%포인트, 100만∼200만원 미만은 4.2%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200만∼300만원 미만과 300만∼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은 각각 1.9%포인트, 1.1%포인트, 1.2%포인트 늘었다.
이처럼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이 줄고 200만원 이상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는 2016년 상반기 이후 3년 6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은 2013년 상반기부터 반기 기준으로 해당 통계를 집계 중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이 줄어든 것은 최저임금의 효과로 보기보다는 취업자가 상대적으로 고임금 일자리로 이동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의 71.9%가 월평균 200만원 미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저임금 비중이 가장 컸다. 서비스종사자는 71.8%, 판매종사자 45.1% 역시 월 200만원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 대분류별로는 농림어업에서 월평균 200만원 미만을 받는 임금근로자 비중이 66.8%로 가장 많았다. 숙박 및 음식점업(66.4%),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53.7%),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52.6%) 등이 뒤를 이었다.
올 상반기 전체 취업자는 2703만8000명이며, 이 가운데 비임금근로자는 673만8000명이었다.
산업 소분류별로는 음식점업 취업자가 172만7000명으로 가장 큰 비중인 6.4%를 차지했다. 작물 재배업 취업자 수가 122만5000명(4.5%), 비거주 복지시설운영업 취업자가 98만7000명(3.7%)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취업자 수가 11.0% 늘어나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고용 알선 및 인력 공급업 취업자는 11.9%, 건물건설업은 9.1% 감소했다.
성별로 가르면 남성 가운데서는 작물재배업 취업자가 70만9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음식점업이 109만8000명으로 단연 많았다.
연령계층별로는 15∼29세 가운데 음식점 및 주점업 취업자(55만6000명)가 가장 많았고 30∼49세에서는 교육서비스업(103만8000명), 50세 이상은 농업(117만1000명) 분야에서 취업자가 가장 많았다.
교육 정도별로는 대졸 이상에서는 교육서비스업 취업자(158만6000명)가 가장 많았지만, 고졸 가운데서는 음식점 및 주점업(117만명), 중졸 이하는 농업(82만5000명) 취업자가 두드러졌다.
산업 대분류별로는 제조업이 442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매 및 소매업이 365만8000명이었다. 특히 임금근로자는 제조업(391만5000명), 비임금 근로자는 도매 및 소매업(136만5000명) 취업자가 많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2일 통계청의 '2019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임금근로자 취업자 2030만1000명 중 월평균 임금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가 9.7%, 100만∼200만원 미만이 24.3%였다.
200만∼300만원 미만은 31.0%, 300만∼400만원 미만은 16.9%, 400만원 이상은 18.0%였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1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은 0.1%포인트, 100만∼200만원 미만은 4.2%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200만∼300만원 미만과 300만∼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은 각각 1.9%포인트, 1.1%포인트, 1.2%포인트 늘었다.
이처럼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이 줄고 200만원 이상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는 2016년 상반기 이후 3년 6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은 2013년 상반기부터 반기 기준으로 해당 통계를 집계 중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이 줄어든 것은 최저임금의 효과로 보기보다는 취업자가 상대적으로 고임금 일자리로 이동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의 71.9%가 월평균 200만원 미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저임금 비중이 가장 컸다. 서비스종사자는 71.8%, 판매종사자 45.1% 역시 월 200만원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 대분류별로는 농림어업에서 월평균 200만원 미만을 받는 임금근로자 비중이 66.8%로 가장 많았다. 숙박 및 음식점업(66.4%),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53.7%),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52.6%) 등이 뒤를 이었다.
올 상반기 전체 취업자는 2703만8000명이며, 이 가운데 비임금근로자는 673만8000명이었다.
산업 소분류별로는 음식점업 취업자가 172만7000명으로 가장 큰 비중인 6.4%를 차지했다. 작물 재배업 취업자 수가 122만5000명(4.5%), 비거주 복지시설운영업 취업자가 98만7000명(3.7%)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취업자 수가 11.0% 늘어나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고용 알선 및 인력 공급업 취업자는 11.9%, 건물건설업은 9.1% 감소했다.
성별로 가르면 남성 가운데서는 작물재배업 취업자가 70만9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음식점업이 109만8000명으로 단연 많았다.
연령계층별로는 15∼29세 가운데 음식점 및 주점업 취업자(55만6000명)가 가장 많았고 30∼49세에서는 교육서비스업(103만8000명), 50세 이상은 농업(117만1000명) 분야에서 취업자가 가장 많았다.
교육 정도별로는 대졸 이상에서는 교육서비스업 취업자(158만6000명)가 가장 많았지만, 고졸 가운데서는 음식점 및 주점업(117만명), 중졸 이하는 농업(82만5000명) 취업자가 두드러졌다.
산업 대분류별로는 제조업이 442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매 및 소매업이 365만8000명이었다. 특히 임금근로자는 제조업(391만5000명), 비임금 근로자는 도매 및 소매업(136만5000명) 취업자가 많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