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군용기 동해 KADIZ 진입…F-15K 전투기 등 출격"(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러시아 군용키 퇴거조치…한·러 합동군사위원회 곧 개최
러시아 군용기가 또 동해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해 공군 전투기가 대응 출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22일 "러시아 군용기로 추정되는 항공기가 오늘 오전 동해 쪽 KADIZ에 진입해 우리 공군 전투기가 대응 출격을 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F-15K 전투기 등을 긴급 출격 시켜 퇴거 조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러시아 군용기(조기경보기) 1대가 지난 7월 23일 독도 인근 한국 영공을 두 차례 7분간 침범한 바 있다.
당시 공군 전투기는 즉각 차단 기동에 나섰고,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교란하기 위해 발사하는 섬광인 플레어 투하와 경고사격을 했다.
지난 8월 8일에도 러시아 군용기가 KADIZ를 무단 진입해 전투기들이 대응 출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한·러 군 당국은 23일 서울에서 '합동군사위원회'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합동군사위원회는 방공식별구역 및 인근 상공을 비행하는 항공기에 대한 비행정보 교환을 위한 핫라인 설치와 이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시기와 형식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지난 8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 때 이 위원회를 22일께 개최할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한국 국방부는 작년 8월 러시아 국방부와 두나라 공군을 연결하는 직통전화 설치에 합의했고, 같은해 11월 직통전화 설치를 위한 MOU 문안 협의를 완료한 바 있다.
이후 진척이 없다가 지난 7월 23일 러시아 A-50 조기경보통제기가 독도 영공을 침범하는 사건이 발생해 양국 외교 문제로까지 비화하자 러시아 측은 한국 측과 '긴급 협력체계' 구축 필요성을 느끼고 협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러시아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을 계기로 양국이 합동군사위원회 개최에 합의했다"면서 "이 위원회에서 KADIZ 사태 재발 방지와 직통전화 설치를 위한 MOU 체결 문제 등을 협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양국 합동군사위원회 개최를 앞두고 러시아 군용기가 또 KADIZ에 진입해 러시아 측의 재발 방지 협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 소식통은 22일 "러시아 군용기로 추정되는 항공기가 오늘 오전 동해 쪽 KADIZ에 진입해 우리 공군 전투기가 대응 출격을 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F-15K 전투기 등을 긴급 출격 시켜 퇴거 조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러시아 군용기(조기경보기) 1대가 지난 7월 23일 독도 인근 한국 영공을 두 차례 7분간 침범한 바 있다.
당시 공군 전투기는 즉각 차단 기동에 나섰고,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교란하기 위해 발사하는 섬광인 플레어 투하와 경고사격을 했다.
지난 8월 8일에도 러시아 군용기가 KADIZ를 무단 진입해 전투기들이 대응 출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한·러 군 당국은 23일 서울에서 '합동군사위원회'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합동군사위원회는 방공식별구역 및 인근 상공을 비행하는 항공기에 대한 비행정보 교환을 위한 핫라인 설치와 이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시기와 형식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지난 8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 때 이 위원회를 22일께 개최할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한국 국방부는 작년 8월 러시아 국방부와 두나라 공군을 연결하는 직통전화 설치에 합의했고, 같은해 11월 직통전화 설치를 위한 MOU 문안 협의를 완료한 바 있다.
이후 진척이 없다가 지난 7월 23일 러시아 A-50 조기경보통제기가 독도 영공을 침범하는 사건이 발생해 양국 외교 문제로까지 비화하자 러시아 측은 한국 측과 '긴급 협력체계' 구축 필요성을 느끼고 협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러시아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을 계기로 양국이 합동군사위원회 개최에 합의했다"면서 "이 위원회에서 KADIZ 사태 재발 방지와 직통전화 설치를 위한 MOU 체결 문제 등을 협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양국 합동군사위원회 개최를 앞두고 러시아 군용기가 또 KADIZ에 진입해 러시아 측의 재발 방지 협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