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 칼럼] 中企人들의 침묵
요즘 들어 조금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평소 같으면 이런 애로, 저런 답답함을 토로하던 기업인들의 하소연이 부쩍 줄고 있다. 침묵 모드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기자만 느끼는 것일까.

경영 여건이 개선됐거나 사업이 잘돼서 그렇다면 천만다행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듯하다. 가끔 전화를 걸어오는 충청도의 A기업인에게 오랜만에 연락을 했다. 그는 한 번 통화하면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등의 문제점 등에 대해 한 시간 이상 열변을 토하는 기업인이었다. 오죽 답답하면 토요일에 전화를 걸어오기도 했다. 하지만 요즘은 달라졌다.

어떻게 지내느냐고 물었다. 답변은 간단했다. 더 이상 이런저런 얘기를 하지 않기로 했다는 것이다. 아무리 하소연해도 대답 없는 메아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대신 사업을 ‘축소지향형’으로 전환 중이라고 덧붙였다.

프로크루스테스처럼 몸집 줄여

그는 공장 증설을 포기했고 외국으로 공장을 옮기려고 장소를 물색하고 있었다. 내수업종이어서 생산기지를 해외로 옮기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크지만 더 이상 한국에서 사업하는 것은 힘들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것이다.

이 회사는 근로시간 단축을 앞두고 이미 생산직 잔업을 없앴다. 수주도 줄였다. 채산성이 낮은 주문은 받지 않고 있다. 기업은 매출을 늘리기 위해 수주에 총력을 기울이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침대에 몸을 맞추는 프로크루스테스처럼 제도에 맞춰 몸집을 줄이고 있었다. 잔업수당이 줄어든 근로자들의 반발이 극심했다. ‘일 좀 더하게 해달라’는 게 이들의 간청이었다. 하지만 정책이 그런데 어떡하냐며 종업원들을 설득했다.

문제는 이런 기업인이 한두 명이 아니라는 점이다. 더 이상 정부의 정책 수정이나 국회의 법개정을 기대하는 데 지쳐 해외 공장 건설에 총력을 기울이는 B사장도 있다. 이 회사는 계절성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1년 중 6개월은 바쁘고, 6개월은 느슨한 편이다. 설령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이 지금의 3개월에서 6개월로 늘어나도 주 52시간제를 지키기 어렵다.

해외 공장 가동이 본궤도에 오르면 국내 공장 종업원 중 약 90%를 내보낼 작정이다. 현지 내수시장이나 싼 노동력을 겨냥해 능동적으로 해외로 진출하는 게 아니다. 쫓기듯 나가는 상황에서 칠순을 눈앞에 둔 이 기업인이 느끼는 심정은 이역만리 타향으로 귀양 가는 심정일 듯하다.

침묵 길어지기전 대책 나와야

기업인들이 말문을 닫는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일 수 있다. 침묵이 길어지기 전에 대책이 나와야 한다. 주 52시간제, 환경 관련 법, 각종 거미줄 규제 등을 종합 점검할 필요가 있다.

미래 산업에 대한 투자 부진과 글로벌 경기침체로 기업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기업가 정신마저 위축되면 경제 회복의 희망이 사라질 수 있다. 피부에 와닿는 대책이 필요하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한 기업인이 통화 말미에 남긴 얘기가 오랫동안 귓가에 맴돈다. 그는 “1년 내내 잔업하는 것도 아니고 일감이 밀리는 계절에만 추가 근로를 하는데 앞으로는 열심히 일하면 감옥에 가게 생겼다”고 말했다. “김 기자, 이 말을 꼭 기억하시오. 지금도 경기가 나쁘다고 하지만 기업의 해외 탈출로 근로자들의 연쇄 실직이 본격화되면 그나마 지금이 얼마나 좋은 시절이었는지 많은 사람이 그리워하게 될 거요.”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