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치권, 한일관계 이대로 가선 안된다는 생각 갖기 시작해" 정계 인사들과 면담…입헌민주당 대표 "한일청구권협정 고려해달라"
이낙연 국무총리는 오는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면담 전망에 대해 "일정한 정도의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면담의 목표가 '대화 분위기 조성'이라고 설명해 온 이 총리가 이같이 밝히면서 면담을 계기로 양국 최고위급 채널의 대화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까지 전달되는 만큼 향후 한일정상회담 등 정상 간 대화를 위한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졌다.
이 총리는 이날 오후 일본 도쿄 주일한국문화원에서 방일 동행기자단과 만나 전날 궁중연회에서 아베 총리와 인사를 나눈 사실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리가 '일정한 결과'를 언급한 것은 형식적인 면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성과가 있을 수 있다는 뜻으로도 받아들여졌다.
이어 '면담에서 어떤 결과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그건 내일 가봐야 알겠다"라며 "내일은 내일의 (기사)거리가 있을테니 걱정 마시라"고 웃으며 말했다.
다만 이 총리는 이후 기자단에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 자신이 발언한 내용에 대해 "어떤 결과도 결과니, 드라이하게 (기사에) 써달라"며 "(양국 협의에) 구체적 진전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24일 오전 아베 총리와의 면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한일 관계가 1년 가까이 갈등을 거듭한 상황에서 대통령의 친서는 그 자체로 관계 개선의 시그널로 볼 수 있다.
친서의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한일 관계·대화의 필요성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
이 총리는 면담에서 이런 친서 전달을 포함해 우리 정부의 관계 개선 의지를 표명할 예정이다.
이번 면담에서 당장 강제징용 배상, 일본 수출규제 조치, 한국의 지소미아(GSOMIA·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 결정 등 구체적 현안 해결은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이 총리가 꽉 막힌 양국 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정상 간 만남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아베 총리가 이에 대해 일정 정도의 공감대를 보인다면 이후 양국 대화의 동력을 유지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접점 모색에 본격적으로 나설 수 있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비공개로 이뤄진 일한의원연맹의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郞) 회장, 가와무라 다케오(河村建夫) 간사장 면담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했다.
이 총리는 "서로 지혜를 짜내서 이 상황을 타개해나가자는 이야기들을 주로 나눴다"며 "상황을 타개하고자 하는 진지한 마음을 제가 읽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기본적으로는 3가지의 문제가 놓여 있습니다만 '지혜를 짜내면 하나씩 하나씩 풀어갈 수도 있겠다' 하는 작은 희망 같은 것을 갖게 됐다"고 언급했다.
3가지 문제란 강제징용 배상, 수출규제, 지소미아 종료 등 양국 현안을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총리는 양국 관계에 대한 일본 현지의 분위기에 대해 "정치권만 놓고 말씀드리면 여전히 어렵다는 건 있지만 '이대로 갈 수 없다, 이대로 가선 안 된다'는 생각을 갖기 시작하신 것 같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주일한국대사관에서 개최된 정계 인사 면담에서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의 에다노 유키오(枝野幸男) 대표는 이 총리에게 "앞으로 양국 관계가 더 이상 나쁜 방향으로 나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한일청구권협정이라는 엄중한 역사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해결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