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공동 정책 심포지엄
"국내 DLS 불완전판매 가능성 높아…분산·장기투자 필요"
국내 파생결합증권(DLS) 시장의 불완전판매로 인한 투자자 피해를 줄이기 위해 분산·장기투자를 유인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강병진 숭실대학교 교수는 지난 25일 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가 한국파생상품학회, 한국회계정보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금융투자상품 시장의 건전한 육성을 위한 공동 정책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다.

강 교수는 "국내 파생결합증권 시장은 상품 구조가 복잡하고 특정 기초자산과 상품 구조로의 쏠림 현상이 심해 불완전판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파생결합증권은 일반적인 파생상품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위험이 낮은 중위험·중수익 상품이라는 점에 대한 믿음도 지나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불완전판매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파생결합증권의 기초자산 및 자산군, 투자 시점 등을 분산하고 장기투자를 유인해야 한다"며 "이와 더불어 상품 다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벤치마크 지수 개발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파생결합증권 시장의 정보 비대칭을 완화하려면 단순히 새로운 정보를 나열하기보다는 투자자가 복잡한 구조를 잘 이해할 수 있게끔 품질을 개선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또 다른 발표자로 나선 이재호 한국거래소 증권·파생상품연구센터 연구위원은 "시장 투명성 제고를 위해 거래소의 장내 파생상품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실제로 유럽 등 해외에서는 장내 시장을 포함한 전자 거래플랫폼에서의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거래를 확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김영길 순천향대학교 교수와 김동원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계사는 "금융상품 판매사의 판매책임을 강화하고 회계 처리상으로 파생결합증권의 위험성을 공시할 방안을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생결합증권은 금리나 원자재, 환율 등 기초자산의 가격에 따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상품이다.

자산 가격이 일정 기간 정해진 구간에서 움직이면 수익률이 보장되지만, 해당 구간을 벗어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증권을 담아 판 원금 비보장형 파생결합펀드(DLF)가 투자자들에게 대규모 원금 손실을 안긴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