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1월 아시아 최초 '북극 과학장관 회의' 도쿄 개최

북극해에서의 권익을 확실히 지키려는 일본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28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북극해 항로를 활용하기 위해 얼음으로 덮인 해역을 안전하게 항해하는 데 필요한 지원시스템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 시스템은 건조 예정인 관측용 쇄빙선 설계와 병행해 실용화가 추진된다.

 일본은 현재 해양연구개발기구 연구선인 '미라이'를 파견해 북극해에서 관측 조사 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선은 얼어붙은 바다를 깨고 나아가는 쇄빙능력이 떨어져 주로 여름철에 활동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런 현실을 감안, 쇄빙능력을 강화한 관측선을 건조하고 항해 지원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관측용 쇄빙선에 탑재될 새 항해 지원 시스템은 항로상의 얼음덩어리를 레이더로 포착해 두께와 거리 등을 분석하는 기능을 갖춘다.

또 위성 정보 등을 바탕으로 얼음 분포를 파악해 연료가 적게 드는 최적 항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본 정부는 자국의 민간 화물선과 필요 정보를 공유토록 해 북극해 항로 이용을 지원할 방침이다.

日, 북극해 진출전략 강화…쇄빙능력↑ 관측선 건조
해양연구개발기구를 산하에 둔 문부과학성은 2017년부터 관측용 쇄빙선 건조를 추진해 왔다.

내년 예산안에는 새 시스템 등의 기본 설계비로 6억5천만엔을 올려놓았다.

북극해는 온난화 영향으로 얼음이 줄면서 새로운 항로로 주목받고 있다.

동아시아~유럽 간 항로는 말라카해협과 수에즈운하를 통과하는 기존 노선보다 거리를 60%가량 단축할 수 있고, 해적이 출몰하는 아프리카 소말리아 아덴만 등의 위험 해역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에서 중국, 러시아, 미국 등은 북극해에서의 권익 확보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요미우리에 따르면 러시아는 냉전 시절 설치했던 북극기지를 2014년 재가동했고, 중국은 북극해 항로를 '빙상(氷上) 실크로드'로 명명하고 개척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방위성은 중국이 북극해에 잠수함 배치도 염두에 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한때 대서양과 북극해 사이의 그린란드를 사고 싶다며 욕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일본은 북극권에 영토를 가진 미국, 러시아 등 8개국으로 구성된 '북극위원회'에 2013년부터 옵서버로 참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내년 11월 아시아 최초로 '북극 과학장관 회의'를 도쿄에서 개최하는 등 북극권에서의 권익 확보에 전력을 쏟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