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 이어 일부 중진도 "이대론 안된다"…점점 커지는 '여당 쇄신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표창원·이철희, 이해찬 만나
"당의 쇄신과 혁신이 중요"
지도부 교체엔 다수가 부정적
"당의 쇄신과 혁신이 중요"
지도부 교체엔 다수가 부정적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초선 의원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당 쇄신론’과 관련해 의원들을 상대로 다독이기에 나섰다. 일부 중진 의원까지 쇄신론을 거론하고 나서자 지도부 차원에서 총선을 5개월여 앞두고 ‘당내 민심 잡기’에 나서는 움직임이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28일 내년 총선에서 불출마를 선언한 뒤 ‘조국 정국’에 대한 지도부 책임론 및 당 쇄신 필요성을 제기해온 이철희·표창원 의원을 면담했다. 표 의원은 면담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중요한 건 책임이 아니라 우리 당의 쇄신과 혁신”이라며 “저는 우리 당이 20·30대 젊은 층의 지지와 호응을 받는 정당으로 바뀌면 좋겠다고 말씀드렸다”고 했다. 이 대표는 두 의원 요구에 당 차원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표 의원은 “우리는 불출마 선언으로 심경을 표현한 것”이라며 “대표에게 혁신 리더십을 갖고 임해주실 것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초선 의원인 두 의원은 내년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며 불출마를 공식화했다. 이 의원은 불출마 선언 후 언론 인터뷰에서 “상황이 이 지경까지 갔다면 (이 대표가) 당 대표로서 책임질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이 대표 책임론을 공개 거론했다. 이 의원은 ‘조국 사태’로 악화한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인물을 교체하고 쇄신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도 당 쇄신론에 의견을 보탰다. 그는 “대통령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 후 사과했는데 당에서 사과도 없이 검찰개혁을 밀어붙이는 모양이 보기 좋지 않다”며 “결국은 당이 쇄신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대표뿐 아니라 원내대표도 그렇고 상대방을 품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사과와 협치를 통해 당이 유연한 모습을 보여야 우리 지지자뿐 아니라 중도층까지 두루 포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당에서는 이번 쇄신론이 지도부 교체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총선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이 같은 의견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 ‘지도부 흔들기’나 내홍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28일 내년 총선에서 불출마를 선언한 뒤 ‘조국 정국’에 대한 지도부 책임론 및 당 쇄신 필요성을 제기해온 이철희·표창원 의원을 면담했다. 표 의원은 면담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중요한 건 책임이 아니라 우리 당의 쇄신과 혁신”이라며 “저는 우리 당이 20·30대 젊은 층의 지지와 호응을 받는 정당으로 바뀌면 좋겠다고 말씀드렸다”고 했다. 이 대표는 두 의원 요구에 당 차원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표 의원은 “우리는 불출마 선언으로 심경을 표현한 것”이라며 “대표에게 혁신 리더십을 갖고 임해주실 것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초선 의원인 두 의원은 내년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며 불출마를 공식화했다. 이 의원은 불출마 선언 후 언론 인터뷰에서 “상황이 이 지경까지 갔다면 (이 대표가) 당 대표로서 책임질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이 대표 책임론을 공개 거론했다. 이 의원은 ‘조국 사태’로 악화한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인물을 교체하고 쇄신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도 당 쇄신론에 의견을 보탰다. 그는 “대통령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 후 사과했는데 당에서 사과도 없이 검찰개혁을 밀어붙이는 모양이 보기 좋지 않다”며 “결국은 당이 쇄신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대표뿐 아니라 원내대표도 그렇고 상대방을 품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사과와 협치를 통해 당이 유연한 모습을 보여야 우리 지지자뿐 아니라 중도층까지 두루 포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당에서는 이번 쇄신론이 지도부 교체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총선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이 같은 의견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 ‘지도부 흔들기’나 내홍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