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수 총리'된 이낙연 "거취 내 맘대로 못해"…與 "총선 이끌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81일째 재임
1987년 직선제 도입 이후 '최장' 기록
"더 낮게·더 가깝게·더 멀리"
힘 받는 '총선 역할론'
1987년 직선제 도입 이후 '최장' 기록
"더 낮게·더 가깝게·더 멀리"
힘 받는 '총선 역할론'
![이낙연 국무총리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이날로 ‘재임 881일’(2년 4개월 27일)을 맞은 이 총리는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최장수 총리 기록을 세웠다.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20844700.1.jpg)
여전히 두터운 대통령 신임
2017년 5월 31일 임기를 시작한 이 총리는 이날 재임 881일(2년 4개월 27일)을 맞았다. 김황식 전 총리의 재임 기록(2010년 10월 1일∼2013년 2월 26일, 880일)을 뛰어넘었다. 이 총리는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특별한 소감이랄 게 없다”며 “지표상 (경제가) 나아지고 있지만 어려운 분들은 여전히 어렵다”고 몸을 낮췄다. 이 총리는 하반기 국정 운영 방향으로 ‘더 낮게, 더 가깝게, 더 멀리’란 세 가지 목표를 내세웠다. “어려운 사람에게 더 가까이 가야 한다는 것에 착목(착안)해서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동시에 더 멀리 보고 준비하는 것도 놓쳐선 안 된다”는 설명이다.
이 총리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신임은 여전히 두텁다. 특유의 꼼꼼한 스타일로 국정 운영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했다. 문재인 정부의 가장 성공한 내각 인사란 평가도 나온다. 대중적 인지도도 ‘대선주자급’으로 올라섰다.
이 총리는 매주 월요일 주례회동 외에 문 대통령과 종종 단둘이 만나 현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총리는 이날 “자주는 아니고 필요할 땐 단둘이 만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문 대통령이 문희상 국회의장 등 본인보다 나이가 많은 당 원로급 인사를 단둘이 만나는 스타일은 아니란 점에서 이례적”이라며 “‘86그룹’과 함께 이 총리에게 많은 조언을 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당 비주류에서 대권 주자로
이 총리는 임명 전 당내에선 비주류로 통했다. 특정 계파를 만들지 않았고, 친문(親文·친문재인) 성향이 강한 의원도 아니었다. 하지만 최근엔 여권 핵심부에서도 이 총리를 유력한 대권 주자로 분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호남 출신으로 확장성에 문제가 있지만 특유의 안정감과 신뢰감으로 중도층까지 공략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향후 거취는 여권 내 초미의 관심사다. ‘조국(전 법무부 장관) 사태’ 이후엔 총선 역할론이 더욱 힘을 받고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이철희·표창원 의원 등 초선 의원을 중심으로 이해찬 대표에 대한 책임론이 나오면서 당으로 돌아올 명분도 생겼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이날 총선 역할론에 대해 “거취는 나 혼자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조화롭게 하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필요한 역할을 맡겠단 의미로 해석된다.
비문(非文·비문재인) 의원들의 ‘등판 요청’은 더 노골적이다. 6선인 이석현 의원은 지난 7월에 이어 최근 사석에서도 “이 총리가 차기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출마하고 이 대표와 함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 중진 의원은 “이 총리가 총선에서 역할을 맡을 경우 비주류 의원들의 활동폭이 넓어질 것”이라며 “12월 중엔 당에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리 등판론’에 이 대표 측근들은 다소 불편해하는 분위기다. 이 대표의 한 측근은 “이 총리가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으면 권한이 분산돼 양쪽으로 줄을 서는 모습이 나타날 것”이라며 “양쪽을 다 챙겨주느라 물갈이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