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을 비롯한 중소기업계 대표는 30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노총)을 방문,김주영 위원장을 비롯한 노동계 대표들과 간담을 가졌다. 중기중앙회는 민주노청에도 방문을 요청한 상태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보완 대책 마련 없이 두 달 앞으로 다가온 주 52시간 근무제 때문에 절박한 심정으로 이곳을 찾았다”며 “노사가 협력하여 중소기업 현장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생의 길을 찾는데 적극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김 회장은 1년이라도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을 유예해 현장에서 준비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앞서 정부는 300인 이상 사업장에 대한 주 52시간 시행 때 9개월의 계도 기간을 부여했다.
김 회장은 “52시간제도가 단력근로제 및 선택적 근로시간제 확대 등 입법 보완 없이 시행될 경우 현장에서는 납기 미준수나 인력 미확보 등의 다양한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중소기업 근로자들도 임금 감소로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제도의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해 노사 모두 협력을 통한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소기업계는 근로자들의 건강권 보장과 노사합의를 전제로 다양한 보완책 마련을 위해 노동계와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와 한국노총이 파악한 바로는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에 대해 대부분 기업이 준비가 됐다”며 “주 40시간 근무도 현장에서 안착돼 가고 있다”고 말했다. 중기중앙회와 52시간 근로제 준비에 대해 시각차를 드러냈다.이에 대해 김 회장은 “노사정이 함께 주 52시간 실태조사를 하자”는 의견도 냈다.
지난 24일 중기중앙회가 발표한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중소기업 인식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65.8%는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 준비가 안 됐다”고 답했다.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 ‘근로자 추가 고용으로 인건비 상승’(70.4%)과 ‘구인난 등 인력 부족’(34.4%) 등을 꼽았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