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적 국방력' 강화 행보 걸으며 안전보장 부각…'새로운 셈법' 요구
北, 초대형방사포 연속사격…기술적 완성도 높이며 한미 압박
북미 비핵화 협상의 잇따른 결렬 속에서 북한이 올해 세 번째로 초대형방사포 시험발사를 강행해 주목된다.

이번 발사는 자위적 국방력 차원의 새 무기 개발 완성에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지만, 미국에 체재 안전보장을 요구하며 압박하려는 의도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4월 시정연설을 통해 자위적 국방력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한 이후 새 전술무기의 개발에 총력을 집중했으며, 초대형 방사포는 그중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매체 주장에 따르면 북한의 초대형방사포 시험 발사는 지난 8월 24일 시작해 9월 10일에 이어 지난달 31일 세 차례 만에 어느 정도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첫 시험 발사 당시 북한은 "세계적인 최강의 우리식 초대형 방사포이자 주체병기"라고 소개했고, 김정은 위원장은 이 무기의 착상과 설계 자체를 높이 평가했다.

두 번째 발사 시험 때에는 김 위원장이 "전투 운영상 측면과 비행궤도특성, 정확도와 정밀유도 기능이 최종 검증됐다"며 "앞으로 방사포의 위력상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 되는 연발(연속)사격시험만 진행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당시 내륙횡단 시험발사에서 두발 중 한발이 내륙에 낙하한 것으로 확인되며 사실상 시험발사에 실패했다.

전날 단행된 세 번째 시험 발사는 결국 김 위원장이 앞서 지시했던 연속시험발사의 완성을 위한 셈이다.

조선중앙통신도 이날 이번 시험 발사로 "연속사격체계의 완벽성까지 검증됐다"며 다른 새로운 전술무기들과 함께 북한군의 핵심무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로써 북한은 하노이 노딜 이후 총 12회에 걸쳐 새로 개발한 무기의 시험발사를 강행하면서 김정은 위원장의 직접 지휘하에 자위적 국방력 강화를 위한 군사행보를 이어왔다.

모두 고체연료와 이동식 발사차량(TEL) 등을 기반으로 기동성과 은밀성을 대폭 강화한 신형무기로 추정되고 있다.

북한의 잇따른 새 무기 시험 발사는 비핵화를 요구하는 미국으로부터 안전보장과 제재 완화를 끌어내려는 속내를 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앙통신이 이날 초대형방사포의 완성을 주장하면서 "기습적인 타격으로 적의 집단목표나 지정된 목표구역을 초강력으로 초토화할 수 있게 되었다"거나 "적의 위협적인 모든 움직임을 억제하고 제거"라며 위협적 언사를 사용한 데서도 안전보장에 대한 북한의 욕구가 읽힌다.
北, 초대형방사포 연속사격…기술적 완성도 높이며 한미 압박
북한은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4월 시정연설에서 올해 말까지 '새로운 계산법'을 갖고 나와야 한다고 미국에 촉구한 이후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한반도 정세가 새로운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위협과 경고를 지속해서 보내고 있다.

하노이 노딜 이후 수개월 만에 어렵게 열린 스톡홀름 비핵화 실무협상 마저 결렬된 이후에는 외무성 대변인 담화와 김명길 수석대표 성명 등을 통해 체제 안전 보장과 제재 완화 문제에 대한 미국의 실질적인 조치를 비핵화 논의의 선행조건으로 내세우며 더 강경해진 모습이다.

지난달 27일 하노이 노딜 회담 실무협상을 총괄했던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까지 나서 미국이 북미 정상의 개인적 친분을 내세워 시간 끌기를 하면서 "이 해 말을 무난히 넘겨보려고 생각한다면 어리석은 망상"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또 초대형 방사포는 남측 전역을 타격 범위로 두고 있다는 점에서 한미군사연습을 지속하고 미국의 첨단 군사 장비를 도입하고 있는 남측에 대한 불만과 위협 성격도 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번 초대형 방사포 시험발사 현장에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가지 않은 것은 올해 연말까지는 미국을 자극하지 않으며 수위를 조절하려는 속내로 관측된다.

김정은 위원장은 앞서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을 나흘 앞두고 지난달 2일 강행한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3형'을 시험발사 때에도 이번처럼 현장에 가지 않은 채 다른 곳에 머물며 결과를 보고받는 형식을 취했다.

미국에 태도 변화를 촉구하며 미국에 통보한 시한인 연말까지는 저강도 수준의 군사 행보를 이어가겠지만, 내년 들어서는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 선언대로 '새로운 길'을 모색하며 수위 높은 군사도발을 예고하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