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진정한 혁신은 실패에서 싹튼다
흔히 성공은 과녁의 정 가운데를 맞히는 것을 의미한다. 처음 시도에서 목표물을 정확히 맞히기는 쉽지 않다. 그러면 실패한 걸까. 아니다. 이런 경험을 통해 다음 번 시도에서는 명중시킬 수 있다고 본다. 즉 실패는 성공을 향한 디딤돌이 된다. ‘발명왕’으로 알려진 토머스 에디슨도 셀 수 없는 실패 끝에 발명가로 성공을 거뒀다. 그는 “나는 실패한 것이 아니다. 잘 되지 않는 1만 가지 방법을 발견했을 뿐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우리의 가장 큰 약점은 포기하는 데 있다. 성공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한 번 더 시도해 보는 것이다”라는 명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에디슨은 그가 남긴 말처럼 수천 번의 시행착오 끝에 백열전구를 개발해냈다. 그는 백열전구 필라멘트의 바깥을 감싸며 불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외피가 필요했고, 당시 코닝을 찾아왔다. 때는 1879년, 코닝은 에디슨이 발명한 필라멘트를 감싸는 유리구를 고안해냈다. 혁신 기업으로서 코닝 역사의 첫 장이 펼쳐진 것이다.

에디슨과 마찬가지로 코닝에서도 실패와 성공은 동떨어진 개념이나 경험이 아니다. 코닝은 실패를 복잡한 혁신 과정에서 예상되는 하나의 단계로 본다. 코닝이 추구하는 혁신 사업 중 상당 부분이 처음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그 실패를 통해 신속하게 더 나은 프로토타입(기본모델)을 구축하는 능력, 현실적인 예산 수립 능력을 키우고 기존에 세운 가정을 의심하는 법 등 여러 교훈도 얻는다. 코닝은 기업 역사 전반에 걸쳐 제품을 개발하면서 얻은 교훈을 다른 제품 개발 과정에 성공적으로 접목시켰다.

대표적인 예로, 코닝은 휴대기기용 강화 유리를 개발하기 위해 과거의 경험을 활용했다. 이 유리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1960년대에 개발했으나 상용화하지 못했던 강화 유리 프로젝트를 부활시켰다. 2007년 마침내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소비자 가전용 커버글라스인 ‘고릴라 글라스’가 탄생했다. 스마트폰, 태블릿PC 및 기타 소비자 가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릴라 글라스는 코닝의 가장 성공적인 제품 중 하나로 꼽힌다.

코닝에는 해마다 연구원, 과학자, 엔지니어, 상용화 책임자 등 모든 팀 구성원들이 모여 실패한 프로젝트를 되짚어보는 행사가 있다. 제품 성능이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거나, 충분한 수익 창출이 어려웠거나, 시장 기회 부족으로 상용화가 중단된 프로젝트를 ‘기념’하는 독특한 행사다. 이를 통해 다른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와 교훈을 공유한다. 또 조직 대내외적인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며, 함께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거나 잠재 시장을 파악하는 등 긍정적인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일명 ‘실패한 프로젝트를 위한 기념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팀원 개개인의 공헌과 노고를 격려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다. 그들의 성실성, 전문성, 헌신 덕분에 기업의 첨단 소재, 시장 및 제조 공정에 대한 이해도가 한층 높아졌으며, 이것이 혁신의 한 단계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에디슨의 명언처럼 실패는 또 다른 발견이다. 진정한 혁신은 매 순간 실패에 가까이 서서 그 교훈을 전수하고, 새로운 도전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