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시장 불신 76.4%…불량 판매 강력 제재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연 설문…중고차 판매업에 대기업 진출 찬성도 51.6%
중고차 시장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만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량 판매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됐던 중고차 판매업에 대기업이 진입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는 소비자도 절반에 달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중고차 시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 응답자 76.4%가 중고차 시장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중고차 시장 이미지에 대해 '약간 불투명·혼탁·낙후'라고 답한 비율이 45.7%로 가장 많았고, '매우 불투명·혼탁·낙후'가 30.7%로 뒤를 이었다.
'투명·깨끗·선진화' 등 긍정적인 이미지라고 답한 비율은 모두 합쳐 17.5%에 불과했다.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이유로는 49.4%가 '차량 상태 불신'을 꼽았다.
이어 '허위·미끼 매물 다수'(25.3%), '낮은 가성비'(11.1%), '판매자 불신'(7.2%), '판매 후 피해 보상 및 A/S 불안'(6.9%) 순이었다. 중고차 구입 경험이 있는 소비자 중 구입 과정에 만족했다는 답은 37.8%로 나타났다.
불만족이라고 답한 소비자들은 그 이유로 '품질 신뢰 곤란'(37.6%), '딜러에 대한 불신'(26.4%), '가격 적정성 신뢰 곤란'(19.4%) 등을 꼽았다.
중고차 구입 경험이 없는 소비자 중 앞으로도 중고차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54.9%였다.
이유는 '차량 상태 불신'(41.3%), '사기 피해 우려'(25.0%), '신뢰할 수 있는 매매 채널 부재'(15.2%) 등 순이었다. 중고차 시장 신뢰도를 높이고 투명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불량 판매에 대한 제재 강화'(32.8%)가 필요하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차량 이력 관리 신뢰성 강화'(31.8%), '신뢰성 있는 기업의 시장진입 확대'(19.9%), '중고차 A/S 강화'(15.5%) 등 순이었다.
현재 시장 진입이 제한된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51.6%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부정적'이라는 답은 23.1%였다.
한경연은 "중고차 시장의 거래량은 연간 207만대로 신차의 약 1.2배 수준으로 많지만, 매매 과정에서 소비자 피해가 자주 발생해 신뢰가 매우 낮다"며 "외국 자동차 브랜드가 이미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활동 중인 만큼, 국내 대기업의 진입장벽을 철폐해 소비자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중고차 매매업은 2013년 3월부터 지난 2월까지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대기업 시장 진입이 제한돼왔다.
이 때문에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중고차 시장에 진출한 곳은 없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오는 6일 중고차 매매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추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반성장위가 추천하면 중소기업부가 6개월 안에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중기부가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하면 매 5년 심의 후 재연장된다.
이번 설문은 지난달 25∼27일 전국의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다.
/연합뉴스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됐던 중고차 판매업에 대기업이 진입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는 소비자도 절반에 달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중고차 시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 응답자 76.4%가 중고차 시장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중고차 시장 이미지에 대해 '약간 불투명·혼탁·낙후'라고 답한 비율이 45.7%로 가장 많았고, '매우 불투명·혼탁·낙후'가 30.7%로 뒤를 이었다.
'투명·깨끗·선진화' 등 긍정적인 이미지라고 답한 비율은 모두 합쳐 17.5%에 불과했다.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이유로는 49.4%가 '차량 상태 불신'을 꼽았다.
이어 '허위·미끼 매물 다수'(25.3%), '낮은 가성비'(11.1%), '판매자 불신'(7.2%), '판매 후 피해 보상 및 A/S 불안'(6.9%) 순이었다. 중고차 구입 경험이 있는 소비자 중 구입 과정에 만족했다는 답은 37.8%로 나타났다.
불만족이라고 답한 소비자들은 그 이유로 '품질 신뢰 곤란'(37.6%), '딜러에 대한 불신'(26.4%), '가격 적정성 신뢰 곤란'(19.4%) 등을 꼽았다.
중고차 구입 경험이 없는 소비자 중 앞으로도 중고차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54.9%였다.
이유는 '차량 상태 불신'(41.3%), '사기 피해 우려'(25.0%), '신뢰할 수 있는 매매 채널 부재'(15.2%) 등 순이었다. 중고차 시장 신뢰도를 높이고 투명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불량 판매에 대한 제재 강화'(32.8%)가 필요하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차량 이력 관리 신뢰성 강화'(31.8%), '신뢰성 있는 기업의 시장진입 확대'(19.9%), '중고차 A/S 강화'(15.5%) 등 순이었다.
현재 시장 진입이 제한된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51.6%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부정적'이라는 답은 23.1%였다.
한경연은 "중고차 시장의 거래량은 연간 207만대로 신차의 약 1.2배 수준으로 많지만, 매매 과정에서 소비자 피해가 자주 발생해 신뢰가 매우 낮다"며 "외국 자동차 브랜드가 이미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활동 중인 만큼, 국내 대기업의 진입장벽을 철폐해 소비자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중고차 매매업은 2013년 3월부터 지난 2월까지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대기업 시장 진입이 제한돼왔다.
이 때문에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중고차 시장에 진출한 곳은 없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오는 6일 중고차 매매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추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반성장위가 추천하면 중소기업부가 6개월 안에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중기부가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하면 매 5년 심의 후 재연장된다.
이번 설문은 지난달 25∼27일 전국의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