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으로의 해외 직접판매 크게 늘어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19년 9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 3분기 해외직구 국가별 구매액은 미국(4119억원), EU(1947억원), 중국(1583억원), 일본(472억원) 순을 기록했다. 미국이 전체의 48.9%을 차지했다. 상품군별로는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3162억원), 음·식료품(2288억원), 가전·전자·통신기기(978억원) 순으로 해외 직접구매를 많이 했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EU(39.1%)·미국(12.2%)·중국(28.9%) 등에서의 직구는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전년동기대비 일본 직접구매액 증가율은 2분기만 해도 32.0%였지만, 3분기에는 2.3%로 크게 줄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25.9% 크게 감소한 수치다.
이는 온라인에서도 일본 제품 불매운동 열기가 거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2분기만 해도 한국 소비자들의 일본 직접구매 규모는 637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바 있다. 하지만 7월 일본의 경제보복이 시작된 이후 3분기에는 전 분기보다 25.9%나 감소한 472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전체 해외 직구에서 7.2%를 차지하던 일본 상품의 비중도 5.6%로 줄었다.
이를 두고 통계청 관계자는 “일본으로부터의 직접구매액 감소는 지난 7월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라 촉발된 불매운동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한편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3분기 기준으로 1조5156억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와 비교해 65.2% 증가했다. 해외 직접판매액은 2014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이번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 수가 늘면서 면세점 판매가 늘었기 때문이라 보인다. 실제 면세점 판매액(1조3364억원)은 전체의 88.2%를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으로의 해외 직접판매가 1조3157억원으로 압도적(86.8%)이었다. 일본으로의 해외 직접판매는 5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전 분기 대비 20.9% 증가했다.
중국으로의 해외 직접판매가 크게 는 건 ‘사드 사태’ 이후 우리나라를 찾는 유커(游客)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통 유커는 인터넷으로 물품을 구매를 한 후 한국에 입국해 수령한다.
상품군별로는 화장품(1조2737억원) 판매가 전체의 84%를 차지했으며 이어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1385억원), 가전·전자·통신기기(254억원) 순으로 많이 팔렸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