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 전 대한변호사협회장 "정치색 빼고 법치주의 지키는 데 노력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3의 변호사 단체' 만든
김현 전 대한변호사협회장
30~60대 변호사 200명으로
'착한법 만드는 사람들' 설립
정치 몸담은 인사 배제하기도
김현 전 대한변호사협회장
30~60대 변호사 200명으로
'착한법 만드는 사람들' 설립
정치 몸담은 인사 배제하기도
![김현 전 대한변호사협회장 "정치색 빼고 법치주의 지키는 데 노력할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897826.1.jpg)
김 대표는 4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착한법은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표적 변호사단체인 민변과 한변은 각각 정치적 진보와 보수로 두 동강 나 있다”며 “진영 논리에 빠져 서로 아무리 옳은 이야기를 해도 무조건 비난하는 세태가 안타깝다”고 했다.
최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로 나라가 서초동·광화문 집회로 갈라졌을 때 법조계 원로들의 중재가 부족했던 점이 특히 아쉬웠다고 한다. 김 대표는 “법원과 검찰이 무차별적으로 공격받는 등 법치주의가 위태로울 때마다 착한법이 용기 있게 발언하고 중재자 역할을 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지난 8월부터 취지에 공감하는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친구들을 알음알음 모았다. 두 달 만에 변호사 209명, 일반 시민 3명 총 212명의 회원이 합류했다. 30대부터 60대까지 나이도, 출신 지역도 다양하다. 김 대표는 “지난 12년간 대한변협 사무총장을 시작으로 서울변회장, 대한변협회장 등을 거치며 카카오톡 친구로 저장한 연락처가 1만 명”이라며 “정치 쪽에 몸 담았던 인사는 중립성을 해칠까봐 일부러 배제했다”고 말했다.
‘착한법 만드는 사람들’이란 단체명도 직접 만들었다. 김 대표가 생각하는 착한법은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법’이다. 먼저 변호사단체라는 전문성을 살려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집단소송 제도 등 소비자법 입법 활동에 주력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계기로 소비자 보호에 관심을 갖게 됐다”며 “변호사 단체장 시절 국회를 600번 가까이 찾아간 경험이 있어 국회를 설득하는 데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그 밖에도 존엄사 제도 개선, 세금 감시 등 다양한 분야로 활동 범위를 넓혀 가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변호사들이 주로 모인 단체이긴 하지만 특정 직역이나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공익을 최우선 목표로 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변호사 500명, 일반 시민 500명 총 1000명의 회원을 가진 시민단체로 키우고 싶다”고 말했다.
공익활동에 헌신하며 후임 대한변협회장들에게 모범이 되고 싶다는 게 김 대표의 목표다. 그는 이번에 착한법을 창립하며 사재 5000만원을 출연했다. 그는 “앞으로 특정 정당에 소속돼 정치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며 “시민운동 등으로 사회에 기여하며 전임 대한변협회장으로서 좋은 본보기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신연수/남정민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