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정보본부장 "北, ICBM 이동식발사 능력 안돼…TEL서 못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CBM TEL서 발사하려다 문제 생겨 못해"…국감 답변 번복 논란
"지난달 31일 초대형방사포는 탄도미사일…北, 고체연료로 교체중" 국방부 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은 6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미사일발사대(TEL)에서 발사할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달 8일 국회 국방위원회의 합동참모본부 국감 때 'TEL에서 발사 가능한 수준'이라고 했던 답변을 한 달 만에 사실상 번복한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그러면서 김 본부장은 북한이 ICBM을 TEL에서 발사하려다 문제가 생겨 못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인 바른미래당 이혜훈 의원은 이날 오전 국방부에서 열린 국방정보본부·국군사이버작전사령부에 대한 비공개 국정감사 도중 밖으로 나와 기자들과 만나 "정보본부장이 북한이 (ICBM TEL) 발사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ICBM을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 할 수 있는 능력을 (북한이) 갖췄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김 정보본부장이 답변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정보본부장이 말한 것이냐'고 묻자 "정보본부장이 그렇게 얘기했다"고 답했다.
이어 "언론에 나온 내용과 다른 발언인데 본인(정보본부장)은 그 입장을 유지해왔다며 보도가 잘못됐다고 말한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김 본부장의 이날 국감 발언과 관련 모 의원이 '북한이 TEL로 ICBM을 발사할 수 있느냐'고 질의하자 "국방정보본부장은 발사체계는 기능에 따라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동-기립-발사까지 할 수 있는 TEL에서는 ICBM 발사가 불가하고, 이동-기립시킨 후 사전 준비된 지상 받침대에 장착하고 차량은 현지 이탈 후 발사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고 답변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은 지난달 8일 합참 국감 때 "ICBM은 현재 TEL로써 발사 가능한 그런 수준까지 북한은 지금 고도화된 상태"라고 답변한 바 있다.
정보위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은 "(김 본부장이 북한은) 여태까지 한 번도 쏘지 않았다.
IRBM은 한 번 있었지만, ICBM은 이동식발사대에서 아직 쏘지 못했기 때문에 그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얘기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 본부장은 "ICBM을 TEL을 이용해 쏠려고 했는데 문제가 생겨 못했다"고 답변했다고 정보위 간사인 자유한국당 이은재 의원이 설명했다.
이 의원은 북한이 언제, 어떤 기종의 ICBM급을 TEL에서 발사하려다 실패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 의원은 "(ICBM이) 고체연료로 넘어가면 상당히 위험하다.
액체연료는 채우는 데 시간이 걸리는 데 고체연료는 항상 채워놨다가 아무 때나 발사할 수 있으니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파악하기가 어렵다"며 "그런 위험적인 요소가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전했다.
북한이 미사일 엔진 연료를 액체에서 고체를 이용하는 쪽으로 급속히 변경하고 있다는 보고 내용도 전했다.
이 의원은 "북한이 미사일 11∼12개가량을 고체 연료를 이용해 실험한 것으로 파악됐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향후에도 액체연료를 고체연료로 바꿔가고 있다고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방정보본부장은 고체연료를 보고하면서 ICBM 고체연료 여부는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다고 김 의원이 부연했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와 관련, 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은 탄도미사일로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오늘 나온 것 중 하나가 10월 31일 발사한 것이 탄도미사일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초대형 방사포라고 주장하는데 국방정보본부에서 탄도미사일이라고 했나'라는 질문에 "맞다"고 답했다.
국회 정보위원장인 이혜훈 의원은 "(ICBM을)이동을 해도 거치대에 옮기고 트레일러 분리하는 과거 방식보다는 발사 소요 시간을 단축하니까 우리 입장에서는 탐지, 식별, 요격하는데 어려움이 가중된다는 이야기를 했다"며 "정찰위성 5개를 갖추면 2시간 주기로 돌기 때문에 훨씬 탐지, 식별 능력이 증가한다는 얘기를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기술자산까지 도움을 받게 되면 (식별 시간 등을) 최대 30분까지 줄일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러한 이야기를 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방부는 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이 지난달 8일 국감 때의 ICBM 능력과 관련한 발언을 이날 뒤집은 것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 "당시 국감에서 '북한 ICBM의 TEL 발사 능력' 관련한 언급의 의미는 동창리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ICBM을 TEL로 이동시켜 발사할 수 있다는 것과 더불어 군사 기술적 발전 가능성에 대한 평가의 의미였음을 밝혀드린다"며 "발언을 번복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지난달 31일 초대형방사포는 탄도미사일…北, 고체연료로 교체중" 국방부 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은 6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미사일발사대(TEL)에서 발사할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달 8일 국회 국방위원회의 합동참모본부 국감 때 'TEL에서 발사 가능한 수준'이라고 했던 답변을 한 달 만에 사실상 번복한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그러면서 김 본부장은 북한이 ICBM을 TEL에서 발사하려다 문제가 생겨 못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인 바른미래당 이혜훈 의원은 이날 오전 국방부에서 열린 국방정보본부·국군사이버작전사령부에 대한 비공개 국정감사 도중 밖으로 나와 기자들과 만나 "정보본부장이 북한이 (ICBM TEL) 발사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ICBM을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 할 수 있는 능력을 (북한이) 갖췄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김 정보본부장이 답변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정보본부장이 말한 것이냐'고 묻자 "정보본부장이 그렇게 얘기했다"고 답했다.
이어 "언론에 나온 내용과 다른 발언인데 본인(정보본부장)은 그 입장을 유지해왔다며 보도가 잘못됐다고 말한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김 본부장의 이날 국감 발언과 관련 모 의원이 '북한이 TEL로 ICBM을 발사할 수 있느냐'고 질의하자 "국방정보본부장은 발사체계는 기능에 따라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동-기립-발사까지 할 수 있는 TEL에서는 ICBM 발사가 불가하고, 이동-기립시킨 후 사전 준비된 지상 받침대에 장착하고 차량은 현지 이탈 후 발사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고 답변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은 지난달 8일 합참 국감 때 "ICBM은 현재 TEL로써 발사 가능한 그런 수준까지 북한은 지금 고도화된 상태"라고 답변한 바 있다.
정보위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은 "(김 본부장이 북한은) 여태까지 한 번도 쏘지 않았다.
IRBM은 한 번 있었지만, ICBM은 이동식발사대에서 아직 쏘지 못했기 때문에 그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얘기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 본부장은 "ICBM을 TEL을 이용해 쏠려고 했는데 문제가 생겨 못했다"고 답변했다고 정보위 간사인 자유한국당 이은재 의원이 설명했다.
이 의원은 북한이 언제, 어떤 기종의 ICBM급을 TEL에서 발사하려다 실패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 의원은 "(ICBM이) 고체연료로 넘어가면 상당히 위험하다.
액체연료는 채우는 데 시간이 걸리는 데 고체연료는 항상 채워놨다가 아무 때나 발사할 수 있으니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파악하기가 어렵다"며 "그런 위험적인 요소가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전했다.
북한이 미사일 엔진 연료를 액체에서 고체를 이용하는 쪽으로 급속히 변경하고 있다는 보고 내용도 전했다.
이 의원은 "북한이 미사일 11∼12개가량을 고체 연료를 이용해 실험한 것으로 파악됐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향후에도 액체연료를 고체연료로 바꿔가고 있다고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방정보본부장은 고체연료를 보고하면서 ICBM 고체연료 여부는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다고 김 의원이 부연했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와 관련, 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은 탄도미사일로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오늘 나온 것 중 하나가 10월 31일 발사한 것이 탄도미사일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초대형 방사포라고 주장하는데 국방정보본부에서 탄도미사일이라고 했나'라는 질문에 "맞다"고 답했다.
국회 정보위원장인 이혜훈 의원은 "(ICBM을)이동을 해도 거치대에 옮기고 트레일러 분리하는 과거 방식보다는 발사 소요 시간을 단축하니까 우리 입장에서는 탐지, 식별, 요격하는데 어려움이 가중된다는 이야기를 했다"며 "정찰위성 5개를 갖추면 2시간 주기로 돌기 때문에 훨씬 탐지, 식별 능력이 증가한다는 얘기를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기술자산까지 도움을 받게 되면 (식별 시간 등을) 최대 30분까지 줄일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러한 이야기를 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방부는 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이 지난달 8일 국감 때의 ICBM 능력과 관련한 발언을 이날 뒤집은 것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 "당시 국감에서 '북한 ICBM의 TEL 발사 능력' 관련한 언급의 의미는 동창리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ICBM을 TEL로 이동시켜 발사할 수 있다는 것과 더불어 군사 기술적 발전 가능성에 대한 평가의 의미였음을 밝혀드린다"며 "발언을 번복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