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받아야 더 큰 잠재력 발휘…기울어진 운동장도 바로잡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기조연설
셸 망네 보네비크 前 노르웨이 총리
셸 망네 보네비크 前 노르웨이 총리
“오랫동안 의회와 내각에서 일하며 배운 것은 ‘사람은 교육을 통해 훨씬 더 큰 잠재력을 갖게 된다’는 겁니다. 누구나 동등한 출발선에 서게 하고,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바로 교육입니다.”
셸 망네 보네비크 전 노르웨이 총리는 6일 서울 광장동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9’의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인재개발’을 주제로 한 연설에서 “인재양성은 불평등을 최소화하고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1997~2000년과 2001~2005년 두 차례에 걸쳐 노르웨이 총리를 지낸 그는 퇴임 뒤 오슬로센터를 설립해 국제 인권운동에 힘쓰고 있다.
‘교육 불평등’ 극복한 노르웨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8만달러를 넘는 노르웨이는 북유럽의 대표적인 강소국(强小國)으로 꼽힌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정부 지원으로 무상교육이 이뤄진다. 하지만 이 나라가 처음부터 이런 ‘교육복지 강국’은 아니었다는 게 보네비크 전 총리의 설명이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노르웨이도 과거 교육비가 매우 비싸고, 저소득층은 교육의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문제를 모두 경험했다”며 “사회적 대화와 공감대를 바탕으로 학생 보조금을 신설하는 등 관련 제도를 꾸준히 정비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이젠 노르웨이에서 교육 기회의 불평등은 그리 커다란 문제가 아니다”며 “모든 선진국이 이런 과정을 거쳤다”고 했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모든 시민이 양질의 교육 기회를 얻고, 이를 계기로 좋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총리에 앞서 외교부 장관을 지낼 당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공들인 경험을 언급하며 “저개발국 지원에서 교육이 빠지지 않는 것도 국가경쟁력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교육 필요”
이날 대담에 나선 장병규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4차 산업혁명 대응에서 절대적인 요소 중 하나가 인재”라며 “과학기술과 산업경제적 측면 못지않게 교육 문제를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장 위원장은 “한국의 경제개발 초기에 교육은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긍정적 역할이 컸다”면서도 “지금은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서열 대물림의 수단’으로 변질했다는 비판을 더 크게 받는다”고 꼬집었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디바이드(정보화 격차)’ 현상을 해소하는 데에도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신기술을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하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간에 또 다른 불평등이 나타날 것”이라며 “급변하는 정보기술(IT) 환경을 반영한 새로운 교육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첨단 기술이 학생들을 ‘기울어진 운동장’(불평등)으로 내모는 것이 아니라, 모두에게 새 기회를 가져다주는 긍정적인 수단으로 활용돼야 한다”는 조언이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북한 인권문제에 많은 관심을 쏟은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 정계 인사들과 꾸준히 교류하며 각별한 인연을 쌓아왔다. 2000년에는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서울에서 열린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 현장을 지켜봤다. 그는 “많은 노르웨이 국민은 한국이 이룬 눈부신 성장을 인상적으로 여긴다”며 “한국의 빠른 경제·사회적 발전은 다른 국가들에 좋은 선례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1990년대 한국과 북한을 모두 방문했는데 완전히 다른 세계라고 느꼈다”며 “안타깝게도 그 간극이 좁혀지지 않고 갈수록 더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
“최상의 가치는 ‘인간의 존엄성’”
보네비크 전 총리는 기조연설에서 “세계 곳곳에 고립주의, 회의주의, 극단주의가 퍼지면서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쏟아지는 가짜뉴스로 인한 사회적 신뢰 훼손은 노르웨이도 예외가 아니다”고 했다. 그는 “정치·경제·산업·교육·사회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우리가 활동하는 목적은 모든 개인이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살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런 환경일수록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이라는 가치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고 말했다.
임현우/남정민 기자 tardis@hankyung.com
셸 망네 보네비크 전 노르웨이 총리는 6일 서울 광장동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9’의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인재개발’을 주제로 한 연설에서 “인재양성은 불평등을 최소화하고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1997~2000년과 2001~2005년 두 차례에 걸쳐 노르웨이 총리를 지낸 그는 퇴임 뒤 오슬로센터를 설립해 국제 인권운동에 힘쓰고 있다.
‘교육 불평등’ 극복한 노르웨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8만달러를 넘는 노르웨이는 북유럽의 대표적인 강소국(强小國)으로 꼽힌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정부 지원으로 무상교육이 이뤄진다. 하지만 이 나라가 처음부터 이런 ‘교육복지 강국’은 아니었다는 게 보네비크 전 총리의 설명이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노르웨이도 과거 교육비가 매우 비싸고, 저소득층은 교육의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문제를 모두 경험했다”며 “사회적 대화와 공감대를 바탕으로 학생 보조금을 신설하는 등 관련 제도를 꾸준히 정비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이젠 노르웨이에서 교육 기회의 불평등은 그리 커다란 문제가 아니다”며 “모든 선진국이 이런 과정을 거쳤다”고 했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모든 시민이 양질의 교육 기회를 얻고, 이를 계기로 좋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총리에 앞서 외교부 장관을 지낼 당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공들인 경험을 언급하며 “저개발국 지원에서 교육이 빠지지 않는 것도 국가경쟁력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교육 필요”
이날 대담에 나선 장병규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4차 산업혁명 대응에서 절대적인 요소 중 하나가 인재”라며 “과학기술과 산업경제적 측면 못지않게 교육 문제를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장 위원장은 “한국의 경제개발 초기에 교육은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긍정적 역할이 컸다”면서도 “지금은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서열 대물림의 수단’으로 변질했다는 비판을 더 크게 받는다”고 꼬집었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디바이드(정보화 격차)’ 현상을 해소하는 데에도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신기술을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하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간에 또 다른 불평등이 나타날 것”이라며 “급변하는 정보기술(IT) 환경을 반영한 새로운 교육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첨단 기술이 학생들을 ‘기울어진 운동장’(불평등)으로 내모는 것이 아니라, 모두에게 새 기회를 가져다주는 긍정적인 수단으로 활용돼야 한다”는 조언이다.
보네비크 전 총리는 북한 인권문제에 많은 관심을 쏟은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 정계 인사들과 꾸준히 교류하며 각별한 인연을 쌓아왔다. 2000년에는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서울에서 열린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 현장을 지켜봤다. 그는 “많은 노르웨이 국민은 한국이 이룬 눈부신 성장을 인상적으로 여긴다”며 “한국의 빠른 경제·사회적 발전은 다른 국가들에 좋은 선례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1990년대 한국과 북한을 모두 방문했는데 완전히 다른 세계라고 느꼈다”며 “안타깝게도 그 간극이 좁혀지지 않고 갈수록 더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
“최상의 가치는 ‘인간의 존엄성’”
보네비크 전 총리는 기조연설에서 “세계 곳곳에 고립주의, 회의주의, 극단주의가 퍼지면서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쏟아지는 가짜뉴스로 인한 사회적 신뢰 훼손은 노르웨이도 예외가 아니다”고 했다. 그는 “정치·경제·산업·교육·사회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우리가 활동하는 목적은 모든 개인이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살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런 환경일수록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이라는 가치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고 말했다.
임현우/남정민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