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단공 '스마트 K팩토리' 추진…10인 이하 기업 생산·물류 개방형 혁신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단공이 이끄는 스마트 제조혁신
중소기업 제조 현장에 스마트공장 구축 열기가 뜨겁다. 정부도 지난해 말 2022년까지 3만 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 위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근로자 10명 이상의 제조기업 6만7000여 개 중 절반 정도에 공장 혁신을 지원하는 것이다.
스마트공장과 자동화를 헷갈리는 기업인이 많다. 공장 자동화는 생산 수단과 도구를 기계로 대체하는 것이다. 반면 스마트공장은 생산수단인 손발 대신 두뇌를 대체하는 것이다.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얘기다. ‘데이터에 기반해 제품 생산 과정을 컨트롤하고 개선해 나가는 지능형 공장’이 곧 스마트팩토리다. 스마트공장이 구축되면 근로자는 각종 소모품이 언제쯤 마모되고 교체해야 하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고 제품 이동 경로나 도착 시간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산업단지공단이 산단 내 중소 제조업체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산단공이 새롭게 구축한 ‘스마트 K팩토리(Smart K-Factory)’는 기업정보 기반의 온라인 개방형 혁신 플랫폼이다. 산업단지의 공유자원을 통합하고 데이터베이스(DB)화해 민간과 공공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지원하려는 목적이다.
일단 이 사이트에선 공장 설립 정보망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장 찾기, 홍보 및 거래 요청 등이 가능하다. 산업단지 내 직원 수 10인 이하의 소기업부터 대기업을 모두 포함한다. 분야도 제조, 생산, 유통, 판매, 서비스 등을 모두 아우르는 제조 온라인 서비스를 지향한다.
예를 들어 사업다각화를 시도하려는 A기업은 K팩토리를 통해 기업(공장)과 제품을 검색하고 관련 정부 정책도 확인할 수 있다. 신규 사업 아이디어를 발굴한다면 공유경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연구기관들로부터 기술지원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샤플과 에이팀벤처스와 같은 온라인 제조 플랫폼은 시제품을 제작하도록 도와준다. 이 과정에서 민간투자도 이뤄진다. 산단공이나 지원기관들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시 신규 비즈니스에 대한 보완에 나선다. 이런 방식으로 서로 다른 주체들이 연결·협력하면서 신규 사업모델이나 제품을 만들어보는 것이다.
산단공은 반월시화와 창원 등 2개 스마트 선도산단의 3000개 이상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연구용역을 하고 있다. 입주기업의 공유자원 보유 현황부터 주요 생산품 및 원자재 정보, 기업이 선호하는 공유서비스 유형 및 참여 의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서다.
산단공 관계자는 “‘기업에 필요한 서비스는 끝까지 찾아준다’는 신념을 갖고 공유플랫폼과 DB 등을 기반으로 기업이 성장하는 데 적극 지원하겠다”며 “공공과 민간의 중개자, 민간 투자의 촉매자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산단 입주기업 경쟁력 향상의 매개체 역할도 톡톡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스마트공장과 자동화를 헷갈리는 기업인이 많다. 공장 자동화는 생산 수단과 도구를 기계로 대체하는 것이다. 반면 스마트공장은 생산수단인 손발 대신 두뇌를 대체하는 것이다.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얘기다. ‘데이터에 기반해 제품 생산 과정을 컨트롤하고 개선해 나가는 지능형 공장’이 곧 스마트팩토리다. 스마트공장이 구축되면 근로자는 각종 소모품이 언제쯤 마모되고 교체해야 하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고 제품 이동 경로나 도착 시간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산업단지공단이 산단 내 중소 제조업체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산단공이 새롭게 구축한 ‘스마트 K팩토리(Smart K-Factory)’는 기업정보 기반의 온라인 개방형 혁신 플랫폼이다. 산업단지의 공유자원을 통합하고 데이터베이스(DB)화해 민간과 공공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지원하려는 목적이다.
일단 이 사이트에선 공장 설립 정보망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장 찾기, 홍보 및 거래 요청 등이 가능하다. 산업단지 내 직원 수 10인 이하의 소기업부터 대기업을 모두 포함한다. 분야도 제조, 생산, 유통, 판매, 서비스 등을 모두 아우르는 제조 온라인 서비스를 지향한다.
예를 들어 사업다각화를 시도하려는 A기업은 K팩토리를 통해 기업(공장)과 제품을 검색하고 관련 정부 정책도 확인할 수 있다. 신규 사업 아이디어를 발굴한다면 공유경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연구기관들로부터 기술지원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샤플과 에이팀벤처스와 같은 온라인 제조 플랫폼은 시제품을 제작하도록 도와준다. 이 과정에서 민간투자도 이뤄진다. 산단공이나 지원기관들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시 신규 비즈니스에 대한 보완에 나선다. 이런 방식으로 서로 다른 주체들이 연결·협력하면서 신규 사업모델이나 제품을 만들어보는 것이다.
산단공은 반월시화와 창원 등 2개 스마트 선도산단의 3000개 이상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연구용역을 하고 있다. 입주기업의 공유자원 보유 현황부터 주요 생산품 및 원자재 정보, 기업이 선호하는 공유서비스 유형 및 참여 의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서다.
산단공 관계자는 “‘기업에 필요한 서비스는 끝까지 찾아준다’는 신념을 갖고 공유플랫폼과 DB 등을 기반으로 기업이 성장하는 데 적극 지원하겠다”며 “공공과 민간의 중개자, 민간 투자의 촉매자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산단 입주기업 경쟁력 향상의 매개체 역할도 톡톡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