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한민족 역사 잇기…고구려의 계속된 영토 확장은 '원조선 회복 전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 원조선을 계승한 小國들
한륙도의 소국들
원조선의 옛터에 남은 유민들
유사한 언어·문화 가진 동족
잇단 수복전쟁 통해 나라 세워
한륙도의 소국들
원조선의 옛터에 남은 유민들
유사한 언어·문화 가진 동족
잇단 수복전쟁 통해 나라 세워
근래에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놓고 다른 견해가 돌출하거나 그 의미를 훼손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대한제국이 망한 뒤 독립군의 활동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됐고, 우리는 이를 계승했다. 반면 북한은 ‘조선’을 국호로 택했다. 민족을 강조하며 ‘주체사관’을 정립한 뒤에는 단군릉을 만들고 ‘조선 계승’ 사실을 강조했다. 비록 잘못된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역사의 계승성과 정통성이 체제 경쟁에서 효과적임을 알고 있다는 방증이다.
불분명하게 기술된 원조선
개인은 물론 나라와 민족에도 정통성과 계승성은 존재 방식과 관련해 매우 중요하다. 뿌리야말로 존재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중국은 4000여 년 역사 속에서 수백 개의 나라가 명멸했고, 전혀 다른 종족과 언어집단들이 번갈아가며 나라를 세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이라는 이름 아래 계통을 분명히 하고 역사책에 서술했다. 지금도 ‘중화’라는 자신감을 토대로 국가를 경영한다. 일본은 고대에는 통일된 국가가 아니었고, 현재 일본도 19세기 중반이 지나서야 비로소 완성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만세일계’라고 하며, 기원전 660년 전부터 현재까지 한 영토에서 하나의 역사가 이뤄졌다고 계통성을 분명하게 선언한다.
그러면 지금 우리는 역사 속 계승성과 정통성을 어떻게 대하고 있을까? 국립중앙박물관 앞 전시실에 설치한 연표에 고조선 조항이 들어간 것은 불과 10여 년밖에 되지 않는다. 그것도 역사학자들의 반대를 무릅쓴 시민들의 주장 덕분이었다. 역사책에서는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이 ‘부족국가’에서 출발했다고 서술했고, 1970년대에 오면 ‘성읍국가’라는 표현으로 수정했다. 이 용어는 학문적으로 부적합할뿐더러 역사적인 상황과 비교해도 전혀 다르다. 먼저 있었던 ‘원(原)조선’(고조선)의 실체를 불분명하게 기술함으로써 원조선과의 계승성을 모호하게 만들고, 성읍국가 때부터 우리 역사가 시작한 것으로 느끼게 했다.
과대평가된 한사군 물론 원조선이 건국한 연도와 영토, 발전 단계 등에 대해 아직은 모르는 것이 많다. 이것은 중국, 일본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도 마찬가지다. 원조선의 마지막 단계인 위만조선은 한나라와 1년 동안 수륙 양면전을 펼치며 접전을 벌였지만 능력의 한계와 내부의 배신으로 끝내는 멸망하고 말았다. <사기>와 <한서>에 따르면 이후 한나라는 조선의 영토에 이른바 ‘사(4)군’ 혹은 ‘삼(3)군’을 설치했다.
이 기록을 근거로 조선은 전체가 한나라의 영토가 됐으며 오랫동안 ‘식민지’가 된 것으로 가르쳤다. 그런데 한나라는 곧 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흉노와 갈등을 벌이는 등 국제질서가 혼란해지면서 간섭 또는 직접 관리할 여력을 잃어갔다. 얼마 안 가 진번 임둔은 없어지고, 기원전 75년에는 현도군마저 요동으로 후퇴했다. 다만 ‘낙랑’은 300여년 이상 이름을 보존했으나, 한(전한)나라가 기원 직후에 멸망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시대별로 낙랑의 위치와 성격, 크기 등을 정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한사군은 실체가 불분명할 뿐 아니라, 우리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그릇된 통념과 역사의 기본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한 채 과대평가해 온 것이다.
전쟁에서 패하고 나라가 망하면 영토를 빼앗기고 부(富)를 탈취당할 수밖에 없다. 군인을 비롯해 많은 민간인도 포로로 끌려간다. 그렇다고 모든 것이 단절되고 역사마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주민은 그 터에 남아 살아가고, 생활에 유용한 경험과 지식을 갖게 되고, 정치체제와 사회를 운영하는 경험도 풍부해졌다. 무엇보다 역사를 알고 자의식을 보존하고 있었다. 원조선의 유민들은 종족·언어·문화 등이 비슷했고 오랫동안 공동의 역사적 경험을 보유했기 때문에 독립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다. 드디어 기회가 생기자 마치 대한제국이 망한 뒤 독립군들이 만주, 연해주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에서 수복전쟁을 하면서 단체와 임시정부를 세웠던 것처럼 크고 작은 소국을 세웠다.
‘원조선 회복’ 나선 고구려
이들 소국은 더욱 발전하기 위해 ‘원조선’을 계승한다는 명분과 정통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삼국유사>는 ‘원조선’을 최초의 국가로 설정하고 후발국가들의 역사를 차례대로 기술했다. 이승휴도 <제왕운기>에서 ‘신라 고례(고구려) 남북옥저 동북부여 예맥이 다 단군의 자손(故尸羅 高禮 南北沃沮 東北扶餘 穢與貊皆檀君之壽也)’이라고 했다. 중국 <후한서> 예전도 ‘예·옥저·구려(고구려)는 본래 조선의 땅이었다(濊及沃沮 句驪本皆朝鮮之地也)’고 기록했다. 이 기록들은 ‘조선 계승성’이 실재했다는 인식을 보여준다. 이렇게 한륙도에서 소국들이 세워지면서 이른바 ‘조선 후(後, post) 질서’가 형성됐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나라가 고구려였다.
<삼국유사>는 왕력 편에 ‘주몽은 단군의 아들(朱蒙…鄒蒙 壇君之子)’이라고 기술했고, <수서>를 비롯한 여러 책에도 고구려의 땅은 본래 고죽국(孤竹國)이라는 글이 있다. <삼국사기>에도 247년조에 ‘평양은 본래 선인인 왕검이 있었던 곳(平壤者本仙人王儉之宅也)’이라고 적어 원조선이 고구려와 특별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삼국사기>는 또 주몽이 벌인 정복사업들을 기록하면서 ‘다물려어위복구토(多勿麗語謂復舊土)’라고 평가했다. ‘다물’은 고구려 말인데, 옛 땅(구토)을 수복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옛 질서와 체제를 회복한다는 의미다. 그러니까 고구려는 건국 당시부터 원조선의 질서를 회복하고 옛 영토를 수복하는 일을 일종의 국시로 삼은 것이다.
끊임없이 진행한 정복전쟁
고구려는 초기부터 백두산 주변에 있는 행인국, 동해북부와 연해주에 걸쳐 있는 북옥저 등을 정복했다. 뒤를 이은 임금들도 양맥·개마·구다·동옥저·갈사·조나·주나 등 크고 작은 소국을 병합했다. 대체로 백두산 지역, 압록강 남쪽 지역, 동해안 일대, 연해주 일대, 그리고 중만주의 부여 영토까지 이르는 넓은 지역이다. 한편 대외전쟁을 펼쳐 2대 유리왕 때부터 북쪽의 선비족을 공격하고, 한나라가 남겨둔 잔존 세력들을 몰아냈다. 5대 모본왕은 서기 49년에 요동지방과 요서지방을 지나 현재의 베이징 근처와 그 이북인 북평·어양·상곡·태원 등을 공격했다. 뒤이어 6대 태조대왕은 요서지방에 10성을 쌓아 관리지역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19대 광개토태왕은 22년간 재위하며 우리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개척, ‘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고구려가 700년 이상 끊임없이 중국 세력과 경쟁하고 싸운 것은 현실적으로는 영토를 확장하고 강대국으로 성장하려는 목표 때문이었다. 하지만 인간의 행위, 더구나 특별한 목적을 지닌 집단의 행동은 현실적인 이익만을 좇아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고구려로서는 역사에서 사라진 원조선 땅, 잃어버리고 상처 난 자존심을 회복해 ‘원조선 계승성’을 구현하는 목적도 있었다고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남쪽으로 백제와 신라를 공격한 것은 단순한 영토쟁탈전을 넘어 원조선의 질서를 완성하기 위한 일종의 통일전쟁 성격도 있었다고 여겨진다.(윤명철 <고구려 역사에서 미래로>)
궁금하다. 우리 민족이 자주성을 지키는 가운데 민족공동체로서 장구한 역사를 유지한 까닭은 무엇일까? 고구려가 큰 나라가 될 수 있었던 명분과 힘은 무엇일까? 원조선에서 출발해 오랫동안 통일과 분열의 변증법을 거쳐 온 역사공동체라는 정통성과 계승성 때문이 아닐까?
독립군들은 만주 벌판에서 싸울 때 단군을 앞세우고, ‘다물단’을 만들었고, 조선 고구려 발해의 역사를 공부했다. 북한과의 체제 경쟁, 강대국들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면 지금도 역사의 정통성과 계승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윤명철 < 동국대 명예교수·한국해양정책학회 부회장 >
불분명하게 기술된 원조선
개인은 물론 나라와 민족에도 정통성과 계승성은 존재 방식과 관련해 매우 중요하다. 뿌리야말로 존재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중국은 4000여 년 역사 속에서 수백 개의 나라가 명멸했고, 전혀 다른 종족과 언어집단들이 번갈아가며 나라를 세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이라는 이름 아래 계통을 분명히 하고 역사책에 서술했다. 지금도 ‘중화’라는 자신감을 토대로 국가를 경영한다. 일본은 고대에는 통일된 국가가 아니었고, 현재 일본도 19세기 중반이 지나서야 비로소 완성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만세일계’라고 하며, 기원전 660년 전부터 현재까지 한 영토에서 하나의 역사가 이뤄졌다고 계통성을 분명하게 선언한다.
그러면 지금 우리는 역사 속 계승성과 정통성을 어떻게 대하고 있을까? 국립중앙박물관 앞 전시실에 설치한 연표에 고조선 조항이 들어간 것은 불과 10여 년밖에 되지 않는다. 그것도 역사학자들의 반대를 무릅쓴 시민들의 주장 덕분이었다. 역사책에서는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이 ‘부족국가’에서 출발했다고 서술했고, 1970년대에 오면 ‘성읍국가’라는 표현으로 수정했다. 이 용어는 학문적으로 부적합할뿐더러 역사적인 상황과 비교해도 전혀 다르다. 먼저 있었던 ‘원(原)조선’(고조선)의 실체를 불분명하게 기술함으로써 원조선과의 계승성을 모호하게 만들고, 성읍국가 때부터 우리 역사가 시작한 것으로 느끼게 했다.
과대평가된 한사군 물론 원조선이 건국한 연도와 영토, 발전 단계 등에 대해 아직은 모르는 것이 많다. 이것은 중국, 일본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도 마찬가지다. 원조선의 마지막 단계인 위만조선은 한나라와 1년 동안 수륙 양면전을 펼치며 접전을 벌였지만 능력의 한계와 내부의 배신으로 끝내는 멸망하고 말았다. <사기>와 <한서>에 따르면 이후 한나라는 조선의 영토에 이른바 ‘사(4)군’ 혹은 ‘삼(3)군’을 설치했다.
이 기록을 근거로 조선은 전체가 한나라의 영토가 됐으며 오랫동안 ‘식민지’가 된 것으로 가르쳤다. 그런데 한나라는 곧 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흉노와 갈등을 벌이는 등 국제질서가 혼란해지면서 간섭 또는 직접 관리할 여력을 잃어갔다. 얼마 안 가 진번 임둔은 없어지고, 기원전 75년에는 현도군마저 요동으로 후퇴했다. 다만 ‘낙랑’은 300여년 이상 이름을 보존했으나, 한(전한)나라가 기원 직후에 멸망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시대별로 낙랑의 위치와 성격, 크기 등을 정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한사군은 실체가 불분명할 뿐 아니라, 우리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그릇된 통념과 역사의 기본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한 채 과대평가해 온 것이다.
전쟁에서 패하고 나라가 망하면 영토를 빼앗기고 부(富)를 탈취당할 수밖에 없다. 군인을 비롯해 많은 민간인도 포로로 끌려간다. 그렇다고 모든 것이 단절되고 역사마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주민은 그 터에 남아 살아가고, 생활에 유용한 경험과 지식을 갖게 되고, 정치체제와 사회를 운영하는 경험도 풍부해졌다. 무엇보다 역사를 알고 자의식을 보존하고 있었다. 원조선의 유민들은 종족·언어·문화 등이 비슷했고 오랫동안 공동의 역사적 경험을 보유했기 때문에 독립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다. 드디어 기회가 생기자 마치 대한제국이 망한 뒤 독립군들이 만주, 연해주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에서 수복전쟁을 하면서 단체와 임시정부를 세웠던 것처럼 크고 작은 소국을 세웠다.
‘원조선 회복’ 나선 고구려
이들 소국은 더욱 발전하기 위해 ‘원조선’을 계승한다는 명분과 정통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삼국유사>는 ‘원조선’을 최초의 국가로 설정하고 후발국가들의 역사를 차례대로 기술했다. 이승휴도 <제왕운기>에서 ‘신라 고례(고구려) 남북옥저 동북부여 예맥이 다 단군의 자손(故尸羅 高禮 南北沃沮 東北扶餘 穢與貊皆檀君之壽也)’이라고 했다. 중국 <후한서> 예전도 ‘예·옥저·구려(고구려)는 본래 조선의 땅이었다(濊及沃沮 句驪本皆朝鮮之地也)’고 기록했다. 이 기록들은 ‘조선 계승성’이 실재했다는 인식을 보여준다. 이렇게 한륙도에서 소국들이 세워지면서 이른바 ‘조선 후(後, post) 질서’가 형성됐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나라가 고구려였다.
<삼국유사>는 왕력 편에 ‘주몽은 단군의 아들(朱蒙…鄒蒙 壇君之子)’이라고 기술했고, <수서>를 비롯한 여러 책에도 고구려의 땅은 본래 고죽국(孤竹國)이라는 글이 있다. <삼국사기>에도 247년조에 ‘평양은 본래 선인인 왕검이 있었던 곳(平壤者本仙人王儉之宅也)’이라고 적어 원조선이 고구려와 특별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삼국사기>는 또 주몽이 벌인 정복사업들을 기록하면서 ‘다물려어위복구토(多勿麗語謂復舊土)’라고 평가했다. ‘다물’은 고구려 말인데, 옛 땅(구토)을 수복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옛 질서와 체제를 회복한다는 의미다. 그러니까 고구려는 건국 당시부터 원조선의 질서를 회복하고 옛 영토를 수복하는 일을 일종의 국시로 삼은 것이다.
끊임없이 진행한 정복전쟁
고구려는 초기부터 백두산 주변에 있는 행인국, 동해북부와 연해주에 걸쳐 있는 북옥저 등을 정복했다. 뒤를 이은 임금들도 양맥·개마·구다·동옥저·갈사·조나·주나 등 크고 작은 소국을 병합했다. 대체로 백두산 지역, 압록강 남쪽 지역, 동해안 일대, 연해주 일대, 그리고 중만주의 부여 영토까지 이르는 넓은 지역이다. 한편 대외전쟁을 펼쳐 2대 유리왕 때부터 북쪽의 선비족을 공격하고, 한나라가 남겨둔 잔존 세력들을 몰아냈다. 5대 모본왕은 서기 49년에 요동지방과 요서지방을 지나 현재의 베이징 근처와 그 이북인 북평·어양·상곡·태원 등을 공격했다. 뒤이어 6대 태조대왕은 요서지방에 10성을 쌓아 관리지역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19대 광개토태왕은 22년간 재위하며 우리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개척, ‘국강상광개토경호태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고구려가 700년 이상 끊임없이 중국 세력과 경쟁하고 싸운 것은 현실적으로는 영토를 확장하고 강대국으로 성장하려는 목표 때문이었다. 하지만 인간의 행위, 더구나 특별한 목적을 지닌 집단의 행동은 현실적인 이익만을 좇아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고구려로서는 역사에서 사라진 원조선 땅, 잃어버리고 상처 난 자존심을 회복해 ‘원조선 계승성’을 구현하는 목적도 있었다고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남쪽으로 백제와 신라를 공격한 것은 단순한 영토쟁탈전을 넘어 원조선의 질서를 완성하기 위한 일종의 통일전쟁 성격도 있었다고 여겨진다.(윤명철 <고구려 역사에서 미래로>)
궁금하다. 우리 민족이 자주성을 지키는 가운데 민족공동체로서 장구한 역사를 유지한 까닭은 무엇일까? 고구려가 큰 나라가 될 수 있었던 명분과 힘은 무엇일까? 원조선에서 출발해 오랫동안 통일과 분열의 변증법을 거쳐 온 역사공동체라는 정통성과 계승성 때문이 아닐까?
독립군들은 만주 벌판에서 싸울 때 단군을 앞세우고, ‘다물단’을 만들었고, 조선 고구려 발해의 역사를 공부했다. 북한과의 체제 경쟁, 강대국들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면 지금도 역사의 정통성과 계승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윤명철 < 동국대 명예교수·한국해양정책학회 부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