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北이 강조한 연내시한 진지하게 봐…美, 적극 北설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核문제 한국도 당사자, 2017년 이전 회귀 안돼…북미협상 실마리 찾도록 美와 공조"
"한국 정부·기업도 금강산 시설 재개발 필요하다 판단…北과 적극 협의"
'美 인도·태평양 전략' 참여 여부 묻자 "한반도 지정학적 위치 적극 활용해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10일 북미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해 "북미협상 재개의 시기를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미국 측에서 매우 적극적으로 북한을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김상조 정책실장과 가진 '3실장' 합동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언급하며 "고위급 실무회담이 열려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 상당한 진전이 있어야만 제3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실장은 "북한이 연내 시한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도 상당히 진지하게 보고 있다"며 "이런 북측의 입장도 고려하면서 가급적 조기에 북미 간 실마리를 찾도록, 한국 정부도 미국 측과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예단해서 언급하기는 적절치 않지만 여러 컨틴전시 플랜(비상 계획)에 대비하며 비핵화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한미 간에 공조하고 있다"고 거듭 언급했다.
정 실장은 특히 "한국 정부로서는 2017년 이전 상황으로 절대로 돌아가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또 "한국이 비핵화 협상에 참여하고 있지는 않지만, 핵 문제에서 우리가 당연히 당사자이기 때문에 우리가 북미협상이 조기에 성과를 이루도록 견인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그 노력 중 하나가 남북관계 개선이다.
남북관계 개선 없이 한반도 평화나 비핵화 협상이 큰 진전을 보기 어렵다"며 "남북관계는 한국이 더 적극적으로 주도해 나가야 한다"면서 한국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북한이 금강산 시설 철거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금강산 시설이 낙후돼 있고, 사업 개시 당시를 기준으로 건축이 이뤄졌기 때문에 본격적인 관광 재개를 위해서는 어차피 재개발이 필요하다고 한국 정부에서도 판단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 실장은 "금강산에 투자한 한국 기업도 같은 생각"이라며 "이번 계기에 북한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금강산 관광의 본격적 재개에 대비해서도 그렇게 준비해나가면서, 특히 정부로선 금강산에 투자한 우리 기업들의 재산권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함께 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참여해야 한다고 보느냐'라는 물음에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를 안보 정책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
위치를 역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할 역할이 많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미국의 전략과 한국의 신남방정책의 접점을 찾는 노력을 한미가 하고 있고,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신북방정책과 어떻게 연계하느냐도 (살펴볼 수 있다)"며 "(지정학적 위치를) 잘 활용하면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국 정부는 안보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한국 정부·기업도 금강산 시설 재개발 필요하다 판단…北과 적극 협의"
'美 인도·태평양 전략' 참여 여부 묻자 "한반도 지정학적 위치 적극 활용해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10일 북미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해 "북미협상 재개의 시기를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미국 측에서 매우 적극적으로 북한을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김상조 정책실장과 가진 '3실장' 합동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언급하며 "고위급 실무회담이 열려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 상당한 진전이 있어야만 제3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실장은 "북한이 연내 시한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도 상당히 진지하게 보고 있다"며 "이런 북측의 입장도 고려하면서 가급적 조기에 북미 간 실마리를 찾도록, 한국 정부도 미국 측과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예단해서 언급하기는 적절치 않지만 여러 컨틴전시 플랜(비상 계획)에 대비하며 비핵화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한미 간에 공조하고 있다"고 거듭 언급했다.
정 실장은 특히 "한국 정부로서는 2017년 이전 상황으로 절대로 돌아가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또 "한국이 비핵화 협상에 참여하고 있지는 않지만, 핵 문제에서 우리가 당연히 당사자이기 때문에 우리가 북미협상이 조기에 성과를 이루도록 견인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그 노력 중 하나가 남북관계 개선이다.
남북관계 개선 없이 한반도 평화나 비핵화 협상이 큰 진전을 보기 어렵다"며 "남북관계는 한국이 더 적극적으로 주도해 나가야 한다"면서 한국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북한이 금강산 시설 철거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금강산 시설이 낙후돼 있고, 사업 개시 당시를 기준으로 건축이 이뤄졌기 때문에 본격적인 관광 재개를 위해서는 어차피 재개발이 필요하다고 한국 정부에서도 판단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 실장은 "금강산에 투자한 한국 기업도 같은 생각"이라며 "이번 계기에 북한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금강산 관광의 본격적 재개에 대비해서도 그렇게 준비해나가면서, 특히 정부로선 금강산에 투자한 우리 기업들의 재산권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함께 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참여해야 한다고 보느냐'라는 물음에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를 안보 정책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
위치를 역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할 역할이 많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미국의 전략과 한국의 신남방정책의 접점을 찾는 노력을 한미가 하고 있고,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신북방정책과 어떻게 연계하느냐도 (살펴볼 수 있다)"며 "(지정학적 위치를) 잘 활용하면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국 정부는 안보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