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시장만으론 '스케일업' 한계
'경제 허리' 중견기업 육성 시급
이영주 산업연구원(KIET) 중소·벤처기업연구본부장(선임연구위원·사진)은 10일 “지속적인 경기 침체와 수출 부진 속에서 성장이 기업 생존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내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이 더 이상 내수만 바라보지 않고 ‘생존’을 고민하며 해외로 고개를 돌려야 한다는 얘기다.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 육성은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 산업의 침체와 맞물려 국가 경제의 화두가 되고 있다.
이 본부장은 “그동안 한국 경제는 좋은 아이템(제품)을 싸게 만들어 대기업의 글로벌 유통망으로 세계시장에 공급해왔다”며 “이젠 이 구조가 힘들어지면서 대기업도 고전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겼다”고 지적했다. 대기업이 흔들려도 고용 급감 등의 피해를 줄이려면 똘똘한 중견기업을 많이 육성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 본부장은 “기업이 일정 규모 이상으로 ‘스케일업(외형 키우기)’하려면 내수시장만으론 한계가 있다”며 “오랜 세월 내수 중심 사업을 해온 기업의 변신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다”고 했다. 제품·서비스 기획, 연구개발(R&D), 생산 단계에서부터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두는 ‘본 글로벌(born global)’ 마인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정부의 R&D 자금 또는 각종 혜택을 받아온 중소·벤처·중견기업이라면 해외 진출 실적을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정책을 생각해볼 만하다”며 “정부 지원을 받은 기업이 내수시장에서 그렇지 못한 민간업체와 경쟁하는 건 불공정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본부장은 스타트업과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도 주요한 스케일업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전통산업이 빅데이터 또는 인공지능(AI)과 만나 고도화되는 것”이라며 “기존 제품과 사업을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