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매출 성장률 점점 낮아져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950247.1.jpg)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은 바이더웨이를 내년 1월 1일자로 흡수합병한다. 세븐일레븐이 바이더웨이를 인수한 지 9년 만에 단일 법인이 되는 것이다.
세븐일레븐은 바이더웨이 본사와 가맹점 간 계약 기간에 따라 인수 뒤에도 바이더웨이를 별도 브랜드로 운영해왔다. 올해 바이더웨이 가맹점과 재계약 시점이 되면서 합병을 하기로 했다.
세븐일레븐은 외형을 키워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리고 통합 후 단계적으로 기업공개(IPO)를 준비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흡수합병 효과에 대해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통합 효과로 내세우고 있는 운영 효율성과 비용 절감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주된 이유다. 김병균 한국기업평가 평가전문위원은 “세븐일레븐과 바이더웨이의 높은 통합도를 감안하면 사업 경쟁력 개선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몇 년간 세븐일레븐의 매출과 이익은 편의점업계 선두인 CU(법인명 BGF리테일)와 GS25(GS리테일)에 비해 격차가 벌어졌다. BGF리테일과 GS리테일이 적극적인 출점을 기반으로 이익 창출 능력을 유지한 데 비해 코리아세븐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출점 속도를 보인 결과다. 코리아세븐의 연결기준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연간 1100억원 안팎에서 정체되고 있다.
통합 후 환경도 만만치 않다. 경쟁 강도가 심해지고 있다. 매출 성장 여력이 그만큼 둔화됐다는 의미다. 편의점업계 매출 성장률은 2015년만 해도 전년 대비 24.6%를 나타냈지만 2017년 9.9%로 낮아진 데 이어 지난해 5.8%까지 주저앉았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가맹점주에 대한 지원 부담도 영업 수익성을 옥죄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