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예산안 10년치 분석
▽ 현역병 20년새 반토막, 모집병 제자리
▽ 인건비 예산 2013→2020년 5조원 ↑
▽ '과학기술 중심 전력구조' 현실성 의심
국민들 사이에선 여전히 반대 여론이 높습니다. 리얼미터가 2019년 11월 11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반대 52.5%, 찬성 33.3%로 차이가 큽니다. 리얼미터는 "반대 의견은 2012년 60.0%에서 2016년 61.1%로 높아졌다가 이번에 52.5%로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대 의견이 여전히 지배적이지만 국민 여론에 변곡점이 생겼다는 뜻입니다.
논란이 뜨거워지자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정치권 일각에서 논의되는 모병제 관련 내용은 검토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국방개혁 2.0'이란 이름으로 절대인구 감소에 대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계획에 모병제가 포함되지 않은 만큼 정부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겠죠. 정부의 '국방개혁 2.0'은 군 인력을 현행보다 더 줄이겠다는 목표를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2022년까지 상비병력을 50만명 수준으로 2018년 대비 10만명 줄이고 장교와 부사관, 민간인 위주로 인력구조를 개편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다르게 설명하면, 4년만에 약 20%를 감축해야 할 만큼 국군이 처한 인력난이 심각하단 뜻이겠죠. 국군이 맞닥뜨린 '인구 절벽', 과연 얼마나 심각할까요. 뉴스래빗 '팩트 알고'에서 데이터로 설명해드립니다.
국방부를 포함한 정부 모든 부처는 매년 하반기 예산을 계획한다. 각 부처가 짠 예산 계획은 기획재정부와 국회의 검토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뉴스래빗은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공개된 최근 10년치 확정예산안을 수집했다.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내용 중 국방부 인건비와 관련한 부분만 추렸다. 한 해 지급할 인건비가 병·부사관·장교로 나뉘어 계획돼 있다.
인건비는 전년 말에 국회에서 최종 통과한 확정예산'안'을 기준으로 한다. 국회에 계류 중인 2020년 예산안과 동등한 비교를 위해서다. 아직 2019년이 끝나지 않아 확정되지 않은 올해 실제 인건비도 2019년 확정예산안과 비교한다. 예산안에 계획한 금액과 실제 세출액 간엔 매년 다소 차이가 생기게 마련이지만, 시계열 추이를 거스를 만큼의 차이는 아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병무청이 매년 집계하는 병무통계도 취합했다. 현역병, 모집병의 연도별 입영 수 추이를 최근 10~20년치 취합했다.
최근 10여년간은 10만명대 초반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2006년 처음으로 15만명이 붕괴된 이후 12년째 10만~13만명을 오락가락하며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죠. 2018년엔 입영자 수가 역대 최저치인 10만1733명으로 줄면서 10만명대까지 무너질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예산안에 따르면 병장 월급은 54만1000원으로 다시 한 번 오른다고 합니다. 전년 대비 33% 높아집니다. 물론 일반병사 월급 인상을 낭비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10년 이상을 꾸준히 올렸지만 여전히 최저임금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기 때문이죠. 정부 역시 '국방계획 2.0'에서 2024년 병장 월급을 67만원선까지 인상하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정부의 '국방개혁 2.0' 방향과 대치되는 부분입니다. 정부는 현역 입영 대상자 수 감소에 대비해 '병력집약적 구조에서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전투에 효율적인 부대 구조로 개편'한다고 밝혔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역시 2019년 11월 6일 "전력 구조를 첨단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확인했죠.
병력 수는 줄어드는데 인건비는 늘고, 그 비중도 점점 커지고 있어 첨단과학기술에 쓸 예산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모순입니다.
'국방개혁 2.0'의 현실성이 의심되는 부분입니다.
병사 처우를 개선하는 데 드는 비용 만큼이나, 인구 절벽 대비 '과학기술 중심 전력 구조'를 실현할 현실적인 방안을 국민에게 제시해야 할 때입니다.
책임= 김민성, 연구= 강종구 한경닷컴 기자 jonggu@hankyung.com
뉴스래빗 페이스북 facebook.com/newslabi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la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