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서울, 한일관계 악화 영향으로 일본 지점 절반 폐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인한 한국 내 일본 여행 불매 운동의 영향으로 한국 저비용항공사(LCC) 에어서울이 일본에서 운영하던 지점의 절반을 연내 철수하기로 했다고 교도통신이 11일 보도했다.
통신은 에어서울이 일본 내 12개 지점 중 삿포로(札晃), 시즈오카(靜岡), 도야마(富山), 우베(宇部), 구마모토(熊本), 오키나와(沖繩) 등 6개 지점을 연내 폐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통신은 에어 서울이 한일 관계의 악화에 따른 이용자 감소로 이들 도시와 서울 간 항공편 운항을 중단하고 있다며 당분간 운항이 재개되기 힘들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폐쇄 방침인 6개 지점 중 도야마와 우베의 경우 에어서울 외에는 이들 지역과 한국 사이를 오가는 정기편이 없어서 지역 관광 산업에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통신은 예상했다.
도야마(富山)현의 관계자는 통신에 "안타깝다.
지점 폐쇄 후 (에어서울의) 본사와 계속 정보 교환을 하면서 운항 재개를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에어서울은 아시아나항공이 2015년 자회사로 설립한 LCC다.
통신에 따르면 에어서울은 폐쇄 방침인 지역뿐 아니라 후쿠오카(福岡), 요나고(米子)와 서울 간 항공기 운항도 한일 관계 악화의 영향으로 중단하고 있다.
다음달 17일부터는 서울과 히로시마(廣島) 사이의 항공편도 운항을 멈출 계획이다.
/연합뉴스
통신은 에어서울이 일본 내 12개 지점 중 삿포로(札晃), 시즈오카(靜岡), 도야마(富山), 우베(宇部), 구마모토(熊本), 오키나와(沖繩) 등 6개 지점을 연내 폐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폐쇄 방침인 6개 지점 중 도야마와 우베의 경우 에어서울 외에는 이들 지역과 한국 사이를 오가는 정기편이 없어서 지역 관광 산업에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통신은 예상했다.
도야마(富山)현의 관계자는 통신에 "안타깝다.
에어서울은 아시아나항공이 2015년 자회사로 설립한 LCC다.
통신에 따르면 에어서울은 폐쇄 방침인 지역뿐 아니라 후쿠오카(福岡), 요나고(米子)와 서울 간 항공기 운항도 한일 관계 악화의 영향으로 중단하고 있다.
다음달 17일부터는 서울과 히로시마(廣島) 사이의 항공편도 운항을 멈출 계획이다.
!["에어서울, 한일관계 악화 영향으로 일본 지점 절반 폐쇄"](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PCM20191009000023003_P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