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둘러 끝내려다"…살처분 돼지 핏물에 하천 오염사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매몰 용기 제작 늦어져 쌓아놓은 사체서 침출수 다량 유출
상수원 오염 우려…경기도·연천군 "소독 처리해 인체에 무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무리하게 살처분 작업을 진행하다가 트럭에 쌓아둔 수만 마리 돼지 사체에서 핏물이 새어 나와 임진강 지류 하천을 오염시키는 사고가 났다.
12일 경기도와 연천군에 따르면 10∼11일 연천군이 마지막 남은 돼지 살처분을 진행하면서 매몰 처리에 쓸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제작이 늦어지자 4만7천여 마리 돼지 사체를 중면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안에 있는 군부대 내 매몰지에 트럭에 실은 채 쌓아뒀다.
그러나 10일 많은 비가 내리며 문제가 발생했다.
돼지 사체에서 핏물이 빗물과 함께 새어 나와 인근 하천을 붉게 물들이는 등 침출수 유출 사고가 난 것이다.
침출수는 임진강 지류 마거천과 연결된 실개천으로 흘러 100∼200m 구간은 눈으로도 쉽게 핏물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였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급하게 오염수 펌핑 작업과 펜스를 설치해 침출수가 더는 임진강에 흘러들지 않도록 조치했으나 일부는 이미 마거천을 통해 임진강으로 유출된 상태다.
사고가 난 매몰지는 임진강과는 10여㎞, 임진강 상류 상수원과는 직선거리로 8㎞가량 떨어져 있다.
침출수가 상수원을 오염시킨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상수원을 관리하는 연천군맑은물사업소는 마거천과 임진강 일대 물을 채수해 수질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상수원과는 멀고 이미 살처분 과정에 돼지 사체를 소독 처리했기 때문에 인체에는 무해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침출수 유출 사고는 시간에 쫓겨 무리하게 살처분을 진행한 것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지난달 12일부터 연천지역 돼지 16만 마리를 수매 또는 도태 처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도태 처리 대상 14만 마리는 랜더링 방식(사체를 고온멸균 처리한 뒤 기름 성분을 짜내 재활용하고 잔존물을 퇴비나 사료원료로 활용)으로 처리하거나, 살처분한 뒤 2천∼3천 마리를 처리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FRP)에 담아 매몰한다.
랜더링 방식은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매몰 처리는 시간이 적게 걸리지만 매몰지가 있어야 한다.
또 주변에 매몰지가 있으면 향후 재입식을 할 때 제약이 있어 양돈 농가들이 꺼린다.
이전 구제역 사태로 매몰지가 많지 않은 연천군은 랜더링 위주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농림축산식품부의 독촉에 밀려 무리하게 살처분을 진행했다.
연천군 관계자는 "용기가 제작된 상태에서 살처분한 뒤 용기에 담아 매몰을 해야 하는데 용기 제작과 살처분을 동시에 진행하다 보니 용기 제작이 늦어져 살처분한 돼지 사체를 쌓아둘 수밖에 없다"며 "시간을 3∼4일만 더 줬어도 침출수 유출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도 "살처분을 서둘러 끝내려다 빚어진 일"이라며 "작업을 빨리 끝내려니 두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사고가 난 매몰지에는 아직 2만여 마리 돼지 사체가 쌓여 있으며 13일까지 작업을 진행해야 매몰처리를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침출수 유출 사고와 관련해 매몰 규정을 지켰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상수원 오염 우려…경기도·연천군 "소독 처리해 인체에 무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무리하게 살처분 작업을 진행하다가 트럭에 쌓아둔 수만 마리 돼지 사체에서 핏물이 새어 나와 임진강 지류 하천을 오염시키는 사고가 났다.
12일 경기도와 연천군에 따르면 10∼11일 연천군이 마지막 남은 돼지 살처분을 진행하면서 매몰 처리에 쓸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제작이 늦어지자 4만7천여 마리 돼지 사체를 중면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안에 있는 군부대 내 매몰지에 트럭에 실은 채 쌓아뒀다.
그러나 10일 많은 비가 내리며 문제가 발생했다.
돼지 사체에서 핏물이 빗물과 함께 새어 나와 인근 하천을 붉게 물들이는 등 침출수 유출 사고가 난 것이다.
침출수는 임진강 지류 마거천과 연결된 실개천으로 흘러 100∼200m 구간은 눈으로도 쉽게 핏물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였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급하게 오염수 펌핑 작업과 펜스를 설치해 침출수가 더는 임진강에 흘러들지 않도록 조치했으나 일부는 이미 마거천을 통해 임진강으로 유출된 상태다.
사고가 난 매몰지는 임진강과는 10여㎞, 임진강 상류 상수원과는 직선거리로 8㎞가량 떨어져 있다.
침출수가 상수원을 오염시킨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상수원을 관리하는 연천군맑은물사업소는 마거천과 임진강 일대 물을 채수해 수질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상수원과는 멀고 이미 살처분 과정에 돼지 사체를 소독 처리했기 때문에 인체에는 무해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침출수 유출 사고는 시간에 쫓겨 무리하게 살처분을 진행한 것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지난달 12일부터 연천지역 돼지 16만 마리를 수매 또는 도태 처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도태 처리 대상 14만 마리는 랜더링 방식(사체를 고온멸균 처리한 뒤 기름 성분을 짜내 재활용하고 잔존물을 퇴비나 사료원료로 활용)으로 처리하거나, 살처분한 뒤 2천∼3천 마리를 처리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FRP)에 담아 매몰한다.
랜더링 방식은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매몰 처리는 시간이 적게 걸리지만 매몰지가 있어야 한다.
또 주변에 매몰지가 있으면 향후 재입식을 할 때 제약이 있어 양돈 농가들이 꺼린다.
이전 구제역 사태로 매몰지가 많지 않은 연천군은 랜더링 위주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농림축산식품부의 독촉에 밀려 무리하게 살처분을 진행했다.
연천군 관계자는 "용기가 제작된 상태에서 살처분한 뒤 용기에 담아 매몰을 해야 하는데 용기 제작과 살처분을 동시에 진행하다 보니 용기 제작이 늦어져 살처분한 돼지 사체를 쌓아둘 수밖에 없다"며 "시간을 3∼4일만 더 줬어도 침출수 유출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도 "살처분을 서둘러 끝내려다 빚어진 일"이라며 "작업을 빨리 끝내려니 두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사고가 난 매몰지에는 아직 2만여 마리 돼지 사체가 쌓여 있으며 13일까지 작업을 진행해야 매몰처리를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침출수 유출 사고와 관련해 매몰 규정을 지켰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