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대한항공 '항공 빅2' 체제로 재편…LCC 3곳 추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더 치열해진 하늘길 경쟁
HDC,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에어서울·에어부산 본격 지원 땐
경쟁력 높아져…LCC 경쟁 심화
항공업계 구조조정 촉발 가능성도
HDC,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에어서울·에어부산 본격 지원 땐
경쟁력 높아져…LCC 경쟁 심화
항공업계 구조조정 촉발 가능성도
HDC현대산업개발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게 됨에 따라 국내 항공업계도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HDC현산·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이 아시아나항공 경영을 안정화할수록 시장 파이가 줄어들어 구조조정을 촉발하는 데다 내년부터 에어프레미아 등 3개 저비용항공사(LCC)도 추가로 뛰어들면서 경쟁이 심화되기 때문이다.
한국항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아시아나항공의 국제선 여객 점유율은 22.2%(자회사인 에어서울·에어부산 포함)다. 대한항공(관계사인 진에어 포함 29.6%)에 이어 2위다. 현재 국내 항공 시장은 대한항공 계열과 아시아나항공 계열의 매출이 전체 매출의 90%를 차지할 만큼 두 국적사가 절대적이다.
그동안 아시아나항공이 재무구조 악화 탓에 지원하지 못한 에어서울과 에어부산 등을 HDC가 본격적으로 지원할 경우 아시아나 계열 LCC들의 경쟁력도 높아질 전망이다. 지난해 에어서울과 에어부산의 국제선 여객 점유율은 2.0%와 4.2%로, 둘이 합쳐도 진에어(6.3%)에 못 미쳤다. 한 LCC 관계자는 “일본 안 가기 운동 등으로 흑자 노선도 급감한 상황에서 LCC 간 경쟁이 심해지면 재무구조가 좋지 않은 항공사들이 먼저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 경우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실탄을 마련해 참여했던 애경그룹과 KCGI(일명 강성부 펀드) 등이 매물로 나오는 항공사를 인수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항공업계 관계자는 “업계 1위인 대한항공도 올해 1000억원대 적자가 예상되고 두세 달 전 매물로 나온 이스타항공도 새 주인을 찾지 못할 정도로 업황이 좋지 않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일본과의 관계, 보잉 사태, 홍콩 시위 등 악재가 많아 당분간 인수합병(M&A) 분위기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더욱이 내년부터 에어프레미아·에어로K·플라이강원 등 LCC 세 곳이 새로 운항을 시작하면 한국의 항공사는 11개로 늘어난다. 일본(12개)과 비슷한 수로, 인구와 국토 크기에 비하면 그만큼 경쟁이 심해진다는 얘기다.
업계에선 고 조양호 회장의 상속이 마무리됐고, 아시아나항공이 새 주인을 맞으면서 양대 국적사의 경영권 승계 작업이 마무리됐다는 데 의미를 찾고 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한국항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아시아나항공의 국제선 여객 점유율은 22.2%(자회사인 에어서울·에어부산 포함)다. 대한항공(관계사인 진에어 포함 29.6%)에 이어 2위다. 현재 국내 항공 시장은 대한항공 계열과 아시아나항공 계열의 매출이 전체 매출의 90%를 차지할 만큼 두 국적사가 절대적이다.
그동안 아시아나항공이 재무구조 악화 탓에 지원하지 못한 에어서울과 에어부산 등을 HDC가 본격적으로 지원할 경우 아시아나 계열 LCC들의 경쟁력도 높아질 전망이다. 지난해 에어서울과 에어부산의 국제선 여객 점유율은 2.0%와 4.2%로, 둘이 합쳐도 진에어(6.3%)에 못 미쳤다. 한 LCC 관계자는 “일본 안 가기 운동 등으로 흑자 노선도 급감한 상황에서 LCC 간 경쟁이 심해지면 재무구조가 좋지 않은 항공사들이 먼저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 경우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 실탄을 마련해 참여했던 애경그룹과 KCGI(일명 강성부 펀드) 등이 매물로 나오는 항공사를 인수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항공업계 관계자는 “업계 1위인 대한항공도 올해 1000억원대 적자가 예상되고 두세 달 전 매물로 나온 이스타항공도 새 주인을 찾지 못할 정도로 업황이 좋지 않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일본과의 관계, 보잉 사태, 홍콩 시위 등 악재가 많아 당분간 인수합병(M&A) 분위기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더욱이 내년부터 에어프레미아·에어로K·플라이강원 등 LCC 세 곳이 새로 운항을 시작하면 한국의 항공사는 11개로 늘어난다. 일본(12개)과 비슷한 수로, 인구와 국토 크기에 비하면 그만큼 경쟁이 심해진다는 얘기다.
업계에선 고 조양호 회장의 상속이 마무리됐고, 아시아나항공이 새 주인을 맞으면서 양대 국적사의 경영권 승계 작업이 마무리됐다는 데 의미를 찾고 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