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너무 맑고 초롱한 별이여"…올해 필적확인 문구
14일 시행된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생 필적확인 문구는 박두진의 시 '별밭에 누워'에서 인용한 '너무 맑고 초롱한 그 중 하나 별이여'였다.

필적확인은 2004년 수능(2005학년도)에서 대규모 부정행위가 발생한 데 따른 대책으로 2005년 도입됐다.

첫 필적확인 문구는 2005년 6월 모의평가 때 윤동주의 시 '서시'의 한 구절인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이었다.

부정행위 같은 부끄러운 일 없이 시험을 치르라는 의미로 읽혔다.

2006학년도 수능 필적확인 문구는 정지용의 '향수'에서 따온 '흙에서 자란 내마음 파란 하늘빛'이었다.

이 문구는 2017학년도에 한 번 더 사용된다.

2007학년도 수능 때는 같은 시의 첫 구절인 '넓은 벌 동쪽 끝으로'가 필적확인에 활용됐다.

이처럼 3차례 시구가 인용된 정지용은 현재까지 수능 필적확인 문구로 가장 많이 인용된 작가다.

2008학년도는 '손금에 맑은 강물이 흐르고'(윤동주의 '소년'), 2009학년도는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윤동주의 '별 헤는 밤'), 2010학년도에는 '맑은 강물처럼 조용하고 은근하며'(유안진의 '지란지교를 꿈꾸며')였다.

2011학년도는 '날마다 새로우며 깊어지고 넓어진다'(정채봉의 '첫 마음'), 2012학년도는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황동규의 '즐거운 편지'), 2013학년도는 '맑은 햇빛으로 반짝반짝 물들이며'(정한모의 '가을에')가 필적확인 문구로 제시됐다.

이어 2014학년도와 2015학년도, 2016학년도는 각각 '꽃초롱 불 밝히듯 눈을 밝힐까'(박정만의 '작은 연가')와 '햇살도 둥글둥글하게 뭉치는 맑은 날'(문태주의 '돌의 배'), '넓음과 깊음을 가슴에 채우며'(주요한의 '청년이여 노래하라')였다.

2017학년도는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정지용의 '향수'), 2018학년도는 '큰 바다 넓은 하늘을 우리는 가졌노라'(김영랑의 '바다로 가자')였다.

작년은 김남조의 시 '편지'에서 인용한 '그대만큼 사랑스러운 사람을 본 일이 없다'였다.

유난히 어려웠던 지난해 수능을 치른 응시생들을 다독인 문구로 호평받았다.

필적확인 문구는 필적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요소'가 충분히 담긴 문장 가운데 수험생에게 힘을 줄 수 있는 내용을 담은 문장으로, 출제위원들이 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구체적인 선정 과정은 수능 관련 여느 사항처럼 '보안 사항'으로 비밀에 부쳐져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