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판로 '마중물'된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공기관 참여 늘어 도입 2년만에 실적 1000억 돌파
모던우드 '미끄럼 방지 마루'
공공기관서 56억 납품 계약
모던우드 '미끄럼 방지 마루'
공공기관서 56억 납품 계약
인천 원창동에 본사를 둔 건자재업체 모던우드는 2017년 자체 기술로 노인이나 어린이가 실내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마루’를 개발했다. 하지만 판로를 뚫기가 어려웠다. 지난해 여름 상황이 달라졌다.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 대상 제품으로 선정된 뒤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기관에서 올해까지 56억원가량의 납품계약을 따냈다.
중소기업 제품의 초기 판로를 뚫기 위해 지난해 4월 도입된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의 공공기관 구매실적이 올해 1000억원을 돌파했다. 시행 2년 만에 중소기업의 판로개척에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게 업계 평가다.
중소기업-공공기관 ‘윈윈’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는 납품 실적이 없어 판로 개척이 어려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전문가들이 심의위원회를 통해 참여하는 공공기관의 구매 결정을 대행해준다. 중소기업이 기술력이 뛰어난 신제품을 개발해도 잠재 수요처에서 이름도 생소한 중소기업의 신제품을 매입하겠다고 선뜻 나서지 않는다. 이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중소기업은 혁신성이 인정된 제품을 공공조달시장에 납품할 기회를 갖게 된다. 이 같은 실적을 기반으로 민간시장에도 거래를 넓힐 수 있다. 공공기관은 심의위원회에 구매를 맡기면서 직접 제품 성능을 검증해야 할 필요가 없어진다. 게다가 직접 계약할 경우 불거질 우려가 있는 특혜 시비나 그로 인한 감사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시범구매제도를 통한 구매 실적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제도 도입 이후 참여하겠다고 밝힌 공공기관은 지난해 말 60곳에서 이달 372개로 여섯 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시범구매 제품은 126개에서 219개로 증가했다. 시범구매 실적은 268억원에서 1061억원으로 네 배 가까이 불어났다.
신생 중소기업의 ‘최고 도우미’
이 제도는 창업 초기 중소기업에 특히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전체 시범구매 제품 중 설립 7년 이하 창업기업 제품이 전체의 36.5%인 80개다. 또 기술개발제품의 공공기관 납품실적이 5억원 이하인 기업의 제품이 66.2%(145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전북 전주에 설립된 수테크놀로지는 좌변기의 저수조에 설치하면 냄새를 제거하는 에어커튼인 ‘에티쉬’를 개발한 뒤 성능인증까지 받았다. 하지만 수요처 발굴이 쉽지 않았다. 기존에 없던 제품이어서 수요기업들이 구매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회사는 시범구매제도를 통해 판로를 개척했다. 지난해 8월 시범구매 제품으로 선정된 뒤 LH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공공기관 지점이나 사무실의 화장실에 납품했다. 지난해 매출 4440만원을 올리며 물꼬를 틀 수 있었다. 올해는 세 배에 달하는 1억3240만원을 기록했다.
김상규 수테크놀로지 대표는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가 없었다면 에티쉬의 영업이 많이 힘들었을 것”이라며 “공공기관 납품 실적을 가지고 민간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때 시범구매 실적을 반영함에 따라 공공기관의 참여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월엔 이 제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구매 지원업무를 종전 한국산학연협회에서 중소기업유통센터로 일원화했다. 지난달 말 올해 지원계획 4차 공고를 내고 시범구매제품을 모집 중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중소기업 제품의 초기 판로를 뚫기 위해 지난해 4월 도입된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의 공공기관 구매실적이 올해 1000억원을 돌파했다. 시행 2년 만에 중소기업의 판로개척에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게 업계 평가다.
중소기업-공공기관 ‘윈윈’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는 납품 실적이 없어 판로 개척이 어려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전문가들이 심의위원회를 통해 참여하는 공공기관의 구매 결정을 대행해준다. 중소기업이 기술력이 뛰어난 신제품을 개발해도 잠재 수요처에서 이름도 생소한 중소기업의 신제품을 매입하겠다고 선뜻 나서지 않는다. 이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중소기업은 혁신성이 인정된 제품을 공공조달시장에 납품할 기회를 갖게 된다. 이 같은 실적을 기반으로 민간시장에도 거래를 넓힐 수 있다. 공공기관은 심의위원회에 구매를 맡기면서 직접 제품 성능을 검증해야 할 필요가 없어진다. 게다가 직접 계약할 경우 불거질 우려가 있는 특혜 시비나 그로 인한 감사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시범구매제도를 통한 구매 실적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제도 도입 이후 참여하겠다고 밝힌 공공기관은 지난해 말 60곳에서 이달 372개로 여섯 배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시범구매 제품은 126개에서 219개로 증가했다. 시범구매 실적은 268억원에서 1061억원으로 네 배 가까이 불어났다.
신생 중소기업의 ‘최고 도우미’
이 제도는 창업 초기 중소기업에 특히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전체 시범구매 제품 중 설립 7년 이하 창업기업 제품이 전체의 36.5%인 80개다. 또 기술개발제품의 공공기관 납품실적이 5억원 이하인 기업의 제품이 66.2%(145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전북 전주에 설립된 수테크놀로지는 좌변기의 저수조에 설치하면 냄새를 제거하는 에어커튼인 ‘에티쉬’를 개발한 뒤 성능인증까지 받았다. 하지만 수요처 발굴이 쉽지 않았다. 기존에 없던 제품이어서 수요기업들이 구매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회사는 시범구매제도를 통해 판로를 개척했다. 지난해 8월 시범구매 제품으로 선정된 뒤 LH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공공기관 지점이나 사무실의 화장실에 납품했다. 지난해 매출 4440만원을 올리며 물꼬를 틀 수 있었다. 올해는 세 배에 달하는 1억3240만원을 기록했다.
김상규 수테크놀로지 대표는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가 없었다면 에티쉬의 영업이 많이 힘들었을 것”이라며 “공공기관 납품 실적을 가지고 민간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때 시범구매 실적을 반영함에 따라 공공기관의 참여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월엔 이 제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구매 지원업무를 종전 한국산학연협회에서 중소기업유통센터로 일원화했다. 지난달 말 올해 지원계획 4차 공고를 내고 시범구매제품을 모집 중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