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종일 전용 차량과 기사 빌려줘
번역 라이브러리 구축해 언어 문제도 해결

그랩이 능사가 아닐 때도 있다. 대가족이 함께 움직이거나 골프백 등 무거운 짐이 많은 경우다. 우선 이동할 때마다 여러 대의 차를 나눠 불러야 하는 게 번거롭다. 의사소통의 문제 때문에 골치를 썩는 경우도 상당하다.
지난 5월 베트남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무브(movv)’는 이런 틈새를 노렸다. 무브는 하루 종일 전용 차량과 기사를 빌릴 수 있는 모빌리티(이동 수단) 서비스다. 무브 앱을 통해 가고자 하는 목적지들을 미리 입력해 두는 게 해야 할 일의 전부다. 일정을 마치고 ‘호출’버튼을 누르면 근처에 대기 중이던 전용차량이 내가 있는 곳으로 움직인다. 차량과 기사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매번 짐을 들고 내릴 필요도 없다. 차량도 널찍하다. 주력 차량이 현대차의 16인승 밴인 ‘솔라티’다.

최민석 무브 대표(사진)는 “영어나 중국어는 파파고나 구글 통역을 활용하면 되지만 베트남어 등 동남아 언어들은 오역이 상당하다” 며 “무브는 스마트폰 앱에 필요한 문장을 고르면 자동으로 번역을 해주는 라이브러리 시스템을 내장해 현지 기사와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브 어플리케이션의 영어 중국어 버전은 내년 초 상용화된다”고 덧붙였다.
무브는 3년 전 모바일 업체로 출발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다. 삼성전자 출신인 최 대표가 올해 초 합류하면서 모빌리티로 업종을 바꿨다.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가 지원하는 업체기도 하다. 모빌리티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지난 5월부터이며 최근엔 대만, 태국 등으로 서비스 지역을 넓혔다. 프리 시리즈A를 통해 15억원을 유치한 덕이다.
최 대표는 “한국에서도 일반 택시 이용자와 ‘타다’ 이용자는 확연히 다르다”며 “동남아에서 그랩보다 한 단계 높은 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들을 고객으로 끌어들이겠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