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상위 10% 집값 1억원 뛰어…하위 10%의 38배 수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택자산가액, 상위 10% 9억7천700만원, 하위 10% 2천600만원
2주택 이상 소유 가구는 308만 가구…주택소유 가구의 27.4%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상위 10%의 평균 주택 자산 가액이 9억7천700만원으로 전년보다 1억원 가까이 뛴 것으로 집계됐다.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하위 10%의 38배에 달해, 전년(35배)보다 격차가 크게 확대됐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8년 주택소유통계 결과'를 보면, 작년 11월 1일 기준으로 전체 1천997만9천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56.2%인 1천123만4천 가구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증가했다.
무주택가구는 43.8%인 874만5천 가구다.
주택을 소유한 1천123만4천 가구 중 주택자산 가액 기준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올해 1월 1일 공시가격 기준)은 9억7천700만원으로 1년 전(8억8천100만원)보다 9천600만원(10.9%) 올랐다.
이들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017년 2.64호에서 작년 2.59호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하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2천500만원에서 2천600만원으로 100만원(4%) 오르는 데 그쳤다.
이들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017년 0.97호에서 작년 0.96호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하위 10%의 37.58배에 달했다.
이 격차는 2015년(33.77배), 2016년(33.79배), 2017년(35.24배) 등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주택 소유가구 중 주택자산 가액 하위 10%의 주택자산 가액은 적게 오르고, 상위 10%는 많이 올라 양극화가 심화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주택임대사업자가 늘어나면서 상위계층의 보유주택 수가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상위 10%의 평균 주택면적(다주택이면 소유주택 면적 평균)은 123.0㎡로 하위 10%(62.2㎡)의 1.98배였다.
상위 10% 가구가 많이 사는 지역은 서울과 경기였고, 하위 10%가 많이 사는 지역은 경북과 전남이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주택자산 가액이 3억원 이하인 가구는 74.8%인 840만2천 가구에 달했다.
이외 3억원 초과 가구는 25.2%인 283만1천 가구였다.
6억원 초과∼12억원 이하는 6.3%인 70만7천 가구, 12억 초과는 1.9%인 21만8천 가구였다.
주택을 소유한 1천123만4천 가구 중 1가구 1주택은 72.6%인 815만3천 가구로 집계됐다.
1가구 2주택 이상인 가구는 27.4%인 308만1천 가구였다.
비중은 전년과 같았지만, 가구 수는 전년(301만1천가구)보다 7만1천(2.4%) 가구 늘었다.
증가세는 이어졌지만, 전년 대비 증가폭은 2016년(6.2%), 2017년(4.1%)에 이어 둔화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1가구 2주택은 19.9%인 224만가구, 1가구 3주택은 4.7%인 53만3천가구였다.
시도별로 보면, 1가구 2주택 이상이 많은 지역은 제주(33.6%), 세종(32.3%), 충남(31.3%) 순이었다.
시·군별로 보면 시지역은 서울 강남구(36.0%), 서울 서초구(35.2%), 제주 서귀포시(34.6%) 순으로 2주택 이상 가구가 많았다.
군지역은 인천 옹진군(40.1%), 전남 영광군(39.9%), 충남 서천군(39.6%) 순이었다.
서울의 1가구 2주택 이상 가구는 52만가구로 전년(52만5천가구)보다 5천가구 줄었다.
전체 소유가구 중 비중도 28.0%에서 27.6%로 감소했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작년에 서울의 다주택 가구 수와 비중이 함께 감소했다며 이는 8·2대책 및 9·13대책 등에 따라 다주택자 규제의 효과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 소유 가구주 연령은 50대(26.8%)가 가장 많았고 40대(22.6%), 60대(20.3%) 순이었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2인 가구가 30.1%로 가장 많고, 3인 가구(25.5%), 4인 가구(22.0%) 순이었다.
한편,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서울지역이 가장 낮았으며,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 수록,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높았다.
시도별로 주택 소유율이 높은 지역은 울산(63.7%), 경남(62.5%), 경북(60.8%)이었던 반면, 낮은 지역은 서울(49.1%), 대전(54.0%), 세종(54.2%) 순이었다.
시군별로 보면 울산 북구(68.8%), 경남 거제시(67.0%), 인천 동구(66.3%), 전남 강진군(70.6%), 경북 청도군(70.1%), 인천 강화군(70.1%) 등은 높았다.
반면 서울 관악구(37.1%), 서울 중구(41.6%), 서울 광진구(42.2%)는 주택 소유율이 낮았다. 가구주 연령 기준으로는 30세 미만의 주택 소유율은 11.3%에 불과했지만 70대는 69.4%에 달했다.
다만, 80세 이상에서는 48.1%로 떨어졌다.
40대 주택 소유율은 작년 58.6%로 2017년(57.9%)보다 상승했지만, 주택 소유 가구 수는 253만7천 가구로 2017년(256만6천가구)보다 2만9천가구 감소했다.
가구원 수별 주택 소유율은 1인 가구가 29.1%로 가장 낮았던 반면, 2인 가구(62.2%), 3인 가구(68.2%), 4인 가구(72.7%)에 이어 5인 이상은 74.9%로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2주택 이상 소유 가구는 308만 가구…주택소유 가구의 27.4%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상위 10%의 평균 주택 자산 가액이 9억7천700만원으로 전년보다 1억원 가까이 뛴 것으로 집계됐다.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하위 10%의 38배에 달해, 전년(35배)보다 격차가 크게 확대됐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8년 주택소유통계 결과'를 보면, 작년 11월 1일 기준으로 전체 1천997만9천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56.2%인 1천123만4천 가구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증가했다.
무주택가구는 43.8%인 874만5천 가구다.
주택을 소유한 1천123만4천 가구 중 주택자산 가액 기준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올해 1월 1일 공시가격 기준)은 9억7천700만원으로 1년 전(8억8천100만원)보다 9천600만원(10.9%) 올랐다.
이들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017년 2.64호에서 작년 2.59호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하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2천500만원에서 2천600만원으로 100만원(4%) 오르는 데 그쳤다.
이들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017년 0.97호에서 작년 0.96호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하위 10%의 37.58배에 달했다.
이 격차는 2015년(33.77배), 2016년(33.79배), 2017년(35.24배) 등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주택 소유가구 중 주택자산 가액 하위 10%의 주택자산 가액은 적게 오르고, 상위 10%는 많이 올라 양극화가 심화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주택임대사업자가 늘어나면서 상위계층의 보유주택 수가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상위 10%의 평균 주택면적(다주택이면 소유주택 면적 평균)은 123.0㎡로 하위 10%(62.2㎡)의 1.98배였다.
상위 10% 가구가 많이 사는 지역은 서울과 경기였고, 하위 10%가 많이 사는 지역은 경북과 전남이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 중 주택자산 가액이 3억원 이하인 가구는 74.8%인 840만2천 가구에 달했다.
이외 3억원 초과 가구는 25.2%인 283만1천 가구였다.
6억원 초과∼12억원 이하는 6.3%인 70만7천 가구, 12억 초과는 1.9%인 21만8천 가구였다.
주택을 소유한 1천123만4천 가구 중 1가구 1주택은 72.6%인 815만3천 가구로 집계됐다.
1가구 2주택 이상인 가구는 27.4%인 308만1천 가구였다.
비중은 전년과 같았지만, 가구 수는 전년(301만1천가구)보다 7만1천(2.4%) 가구 늘었다.
증가세는 이어졌지만, 전년 대비 증가폭은 2016년(6.2%), 2017년(4.1%)에 이어 둔화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1가구 2주택은 19.9%인 224만가구, 1가구 3주택은 4.7%인 53만3천가구였다.
시도별로 보면, 1가구 2주택 이상이 많은 지역은 제주(33.6%), 세종(32.3%), 충남(31.3%) 순이었다.
시·군별로 보면 시지역은 서울 강남구(36.0%), 서울 서초구(35.2%), 제주 서귀포시(34.6%) 순으로 2주택 이상 가구가 많았다.
군지역은 인천 옹진군(40.1%), 전남 영광군(39.9%), 충남 서천군(39.6%) 순이었다.
서울의 1가구 2주택 이상 가구는 52만가구로 전년(52만5천가구)보다 5천가구 줄었다.
전체 소유가구 중 비중도 28.0%에서 27.6%로 감소했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작년에 서울의 다주택 가구 수와 비중이 함께 감소했다며 이는 8·2대책 및 9·13대책 등에 따라 다주택자 규제의 효과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택 소유 가구주 연령은 50대(26.8%)가 가장 많았고 40대(22.6%), 60대(20.3%) 순이었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2인 가구가 30.1%로 가장 많고, 3인 가구(25.5%), 4인 가구(22.0%) 순이었다.
한편,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서울지역이 가장 낮았으며,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 수록,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높았다.
시도별로 주택 소유율이 높은 지역은 울산(63.7%), 경남(62.5%), 경북(60.8%)이었던 반면, 낮은 지역은 서울(49.1%), 대전(54.0%), 세종(54.2%) 순이었다.
시군별로 보면 울산 북구(68.8%), 경남 거제시(67.0%), 인천 동구(66.3%), 전남 강진군(70.6%), 경북 청도군(70.1%), 인천 강화군(70.1%) 등은 높았다.
반면 서울 관악구(37.1%), 서울 중구(41.6%), 서울 광진구(42.2%)는 주택 소유율이 낮았다. 가구주 연령 기준으로는 30세 미만의 주택 소유율은 11.3%에 불과했지만 70대는 69.4%에 달했다.
다만, 80세 이상에서는 48.1%로 떨어졌다.
40대 주택 소유율은 작년 58.6%로 2017년(57.9%)보다 상승했지만, 주택 소유 가구 수는 253만7천 가구로 2017년(256만6천가구)보다 2만9천가구 감소했다.
가구원 수별 주택 소유율은 1인 가구가 29.1%로 가장 낮았던 반면, 2인 가구(62.2%), 3인 가구(68.2%), 4인 가구(72.7%)에 이어 5인 이상은 74.9%로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