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성과 버리고 디지털 협업시스템 구축"…공룡 MS 부활시킨 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디지털 혁신, 이제는 성과 창출이다 (5)
클라우드로 혁신 이끄는 기업들
클라우드로 혁신 이끄는 기업들
마이크로소프트(MS) 직원들은 업무상 연락할 때 여러 개 사내 메신저를 쓴다. 임원과는 MS ‘팀즈(Teams)’를, 직원끼리는 ‘야머(Yammer)’, 대외 업무와 관련해서는 ‘링크트인(Linkedin)’을 이용한다. 팀워크를 중시하는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사진)의 ‘맞춤형 직원소통’ 전략이 반영된 사례다.
디지털 혁신에 성공한 기업들은 디지털 변혁의 흐름에 융화할 수 있도록 조직을 탈바꿈시켰다는 공통점이 있다. 사업구조를 과감히 개방해 ‘오픈이노베이션’으로 개편한 점도 특징이다.
1위 명성 되찾은 MS
2014년 나델라 CEO가 새롭게 취임했을 당시 MS는 위기였다. 빌 게이츠가 은퇴한 이후 빠르게 성장한 모바일 시장에서 기를 펴지 못하며 매년 실적이 추락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4년 868억달러이던 매출은 지난해 1103억달러로 21% 증가했다. 이 기간 주가는 40달러대에서 이달 18일 150달러 수준까지 세 배 이상으로 급등했다. ‘MS가 부활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단 5년 만에 ‘잠자는 공룡’ MS를 춤추게 한 비결은 생산성에 초점을 맞춘 대대적인 디지털 조직 혁신에 있었다.
나델라 CEO는 취임 후 성과보다 협업을 강조했다. 관료주의적 조직문화로 인해 MS가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을 적극 수용한 것이다. “개개인이 더 훌륭한 성과를 내는 문화가 아니라 원활한 협업이 이뤄지는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는 게 나델라 CEO의 경영철학이었다. 이 같은 신념에서 나온 것이 ‘커넥트(connect)’다.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업무를 기록해두고 동료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게 한다. 현재 업무가 목표 수준에 어디까지 도달했는지, 더 신속하게 처리하려면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등도 찾아내 알려준다. 이 시스템은 다수가 동시다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A가 “여기서 더 보완할 것이 없느냐”고 질문하면 B가 답하고, 이와 관련해 C와 D도 피드백을 건네는 식이다. 다수의 작업자가 자유롭게 소통하고,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조직의 일원임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한편으로는 다양한 오피스 프로그램을 개발해 MS 조직에 적용했다. 직원들은 사무실 외에 어디서든 클라우드 방식을 활용해 동일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사무실 내 자율좌석제는 기본이다.
효율적인 협업을 위해선 공동문서 작업 툴 ‘원 노트’를 이용한다. 문서 검색 때는 인공지능(AI)이 먼저 자료를 찾아준다. 회의 시간을 잡을 때도 일정 공유 프로그램 ‘아웃룩’으로 서로의 빈 시간을 편하게 확인한다. MS의 시스템을 MS 직원들이 가장 잘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조승용 AT커니코리아 대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은 기술과 이를 잘 적용할 수 있는 기업문화가 공존해야 실현할 수 있다”며 “MS는 이를 잘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
도이치텔레콤, 범유럽을 네트워크로 연결
‘분리된 조직을 하나로’라는 이념에서 디지털 조직 혁신을 달성한 기업도 있다. 독일의 대표 통신사 도이치텔레콤이다.
도이치텔레콤은 ‘팬넷(Pan-Net)’이라는 범유럽 네트워크를 쓴다. 국경을 뛰어넘는 클라우드 서비스다. 이를 통해 사무공간에서만 이뤄지던 전통적인 업무를 세계 각국을 넘나들며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각 사무실에서는 팬넷을 자신들의 근무환경에 맞게 맞춤형으로 전환해 이용할 수 있다.
팬넷을 통해 도이치텔레콤은 사무공간에 국한돼 있던 각종 서류업무를 전면 디지털화했다. 이를 통해 관련 인력을 70% 감축했다. 다른 국가와의 협업도 강화했다. 팬넷 기반에서는 어느 국가와도 빠른 업무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SK텔레콤과는 5세대(5G) 이동통신 등과 관련해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도이치텔레콤은 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전문조직을 신설했다. 독일과 그리스의 ‘디지털 퓨처 캠퍼스’를 통해 수백 명의 사내 전문가를 육성했다. 이 전문가들은 일선 도이치텔레콤 직원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교육을 하고 있다. 고객을 위해서는 ‘사람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의 챗봇(대화형 로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문가들은 “도이치텔레콤은 기존에 사람이 직접 수행하던 레거시(legacy: 현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거 체계) 시스템을 완벽히 디지털로 대체했다”고 평가했다.
우리의 미션은 지구상의 모든 사람, 모든 기업에 힘을 주고 더 많은 걸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디지털 업무를 위한 생산성 서비스를 모든 기기로 확장하는 기술은 그런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
디지털 혁신에 성공한 기업들은 디지털 변혁의 흐름에 융화할 수 있도록 조직을 탈바꿈시켰다는 공통점이 있다. 사업구조를 과감히 개방해 ‘오픈이노베이션’으로 개편한 점도 특징이다.
1위 명성 되찾은 MS
2014년 나델라 CEO가 새롭게 취임했을 당시 MS는 위기였다. 빌 게이츠가 은퇴한 이후 빠르게 성장한 모바일 시장에서 기를 펴지 못하며 매년 실적이 추락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4년 868억달러이던 매출은 지난해 1103억달러로 21% 증가했다. 이 기간 주가는 40달러대에서 이달 18일 150달러 수준까지 세 배 이상으로 급등했다. ‘MS가 부활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단 5년 만에 ‘잠자는 공룡’ MS를 춤추게 한 비결은 생산성에 초점을 맞춘 대대적인 디지털 조직 혁신에 있었다.
나델라 CEO는 취임 후 성과보다 협업을 강조했다. 관료주의적 조직문화로 인해 MS가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을 적극 수용한 것이다. “개개인이 더 훌륭한 성과를 내는 문화가 아니라 원활한 협업이 이뤄지는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는 게 나델라 CEO의 경영철학이었다. 이 같은 신념에서 나온 것이 ‘커넥트(connect)’다.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업무를 기록해두고 동료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게 한다. 현재 업무가 목표 수준에 어디까지 도달했는지, 더 신속하게 처리하려면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등도 찾아내 알려준다. 이 시스템은 다수가 동시다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A가 “여기서 더 보완할 것이 없느냐”고 질문하면 B가 답하고, 이와 관련해 C와 D도 피드백을 건네는 식이다. 다수의 작업자가 자유롭게 소통하고,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조직의 일원임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한편으로는 다양한 오피스 프로그램을 개발해 MS 조직에 적용했다. 직원들은 사무실 외에 어디서든 클라우드 방식을 활용해 동일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사무실 내 자율좌석제는 기본이다.
효율적인 협업을 위해선 공동문서 작업 툴 ‘원 노트’를 이용한다. 문서 검색 때는 인공지능(AI)이 먼저 자료를 찾아준다. 회의 시간을 잡을 때도 일정 공유 프로그램 ‘아웃룩’으로 서로의 빈 시간을 편하게 확인한다. MS의 시스템을 MS 직원들이 가장 잘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조승용 AT커니코리아 대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은 기술과 이를 잘 적용할 수 있는 기업문화가 공존해야 실현할 수 있다”며 “MS는 이를 잘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
도이치텔레콤, 범유럽을 네트워크로 연결
‘분리된 조직을 하나로’라는 이념에서 디지털 조직 혁신을 달성한 기업도 있다. 독일의 대표 통신사 도이치텔레콤이다.
도이치텔레콤은 ‘팬넷(Pan-Net)’이라는 범유럽 네트워크를 쓴다. 국경을 뛰어넘는 클라우드 서비스다. 이를 통해 사무공간에서만 이뤄지던 전통적인 업무를 세계 각국을 넘나들며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각 사무실에서는 팬넷을 자신들의 근무환경에 맞게 맞춤형으로 전환해 이용할 수 있다.
팬넷을 통해 도이치텔레콤은 사무공간에 국한돼 있던 각종 서류업무를 전면 디지털화했다. 이를 통해 관련 인력을 70% 감축했다. 다른 국가와의 협업도 강화했다. 팬넷 기반에서는 어느 국가와도 빠른 업무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SK텔레콤과는 5세대(5G) 이동통신 등과 관련해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도이치텔레콤은 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전문조직을 신설했다. 독일과 그리스의 ‘디지털 퓨처 캠퍼스’를 통해 수백 명의 사내 전문가를 육성했다. 이 전문가들은 일선 도이치텔레콤 직원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교육을 하고 있다. 고객을 위해서는 ‘사람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의 챗봇(대화형 로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문가들은 “도이치텔레콤은 기존에 사람이 직접 수행하던 레거시(legacy: 현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거 체계) 시스템을 완벽히 디지털로 대체했다”고 평가했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