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화되는 홍콩 시위…올해 한국의 對홍콩 수출 33% 급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3년만의 최대 감소율 기록…5년만에 마이너스 전환 전망
홍콩의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반대 시위가 날로 격화하는 가운데 올해 한국의 대(對)홍콩 수출도 33%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 한국의 대홍콩 수출액은 268억4천7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2.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한국 전체 수출액 감소율 10.4%의 3배가 넘는 수치다.
대홍콩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대비해 지난해 11월 -17.3%, 12월 -28.0%, 올해 1월 -35.3%, 2월 -23.8%, 3월 -20.8%, 4월 -32.5%, 5월 -30.5%, 6월 -34.2%, 7월 -33.5%, 8월 -36.8%, 9월 -42.4%, 10월 -36.0% 등 1년 연속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대로 가면 올해 대홍콩 수출은 연간 기준 2014년 -1.8% 이후 5년 만에 마이너스, 1976년 -82.2% 이후 43년 만에 최악의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에 있어서 홍콩은 지난해 기준 중국, 미국, 베트남 다음으로 수출 규모가 큰 지역이다.
무역협회가 지난 8월 발간한 '홍콩 시위 장기화에 따른 우리 수출 영향'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대홍콩 수출 중 반도체와 메모리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73.0%, 63.3%로 높게 나타났고, 반도체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홍콩 시장에서 특히 높았다.
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한국의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데다가 홍콩 시위가 격화하면서 대홍콩 수출이 겹악재를 맞았다.
한국 수출에서 홍콩이 중요한 이유는 대중국 수출의 중요한 우회지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홍콩에서 수입한 한국 제품 중 82.6%가 중국으로 재수출됐다.
홍콩은 지난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355억달러 제품 가운데 94.0%를 재수출했고, 이 중 82.6%에 달하는 293억달러어치를 중국으로 보냈다.
최근 홍콩은 송환법에 반대해 홍콩 및 중국 정부와 극심한 갈등을 겪고 있다.
갈등이 시발점이 된 송환법은 홍콩 정부가 중국, 대만, 마카오 등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지역에도 범죄인들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이다. 홍콩 시민들은 중국 정부가 이 법을 악용해 반(反)체제 인사나 인권운동가를 본토로 강제 송환할 것을 우려해 홍콩 정부의 송환법 입법 추진에 반발하며 거리로 나섰다.
지난 6월 시작한 홍콩 사태가 6개월째 이어짐에 따라 시위대와 정부 간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4일 해외 순방 중 "폭력을 중단시키고 혼란을 제압해 질서를 회복하는 것이 홍콩의 가장 긴박한 임무"라며 사실상 중국 중앙 정부가 공개적으로 강력히 개입할 것임을 시사했다.
한국은 홍콩을 경유해 중국으로 재수출하는 비중이 일본 등 다른 주요국보다 높아 홍콩과 본토 간 긴장 격화로 인한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이 각국에서 수입한 물품 중 중국으로 재수출되는 비중은 대만(107.0%) 다음으로 한국(82.6%)이 높다.
일본은 64.4%, 말레이시아는 56.2%, 미국은 32.8%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홍콩 사태는 반도체 가격 급락,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중국 수출 타격, 일본 수입규제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 등 이미 많은 어려움을 겪은 한국 수출에 부담을 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표] 2019년 1∼10월 대(對)홍콩 수출액 및 증감률
(단위: 백만달러, %)
┌───────┬────┬────┐
│ 2019년 │ 수입액 │ 증감률 │
├───────┼────┼────┤
│ 1∼10월 누계 │ 26,847 │ -32.9 │
├───────┼────┼────┤
│ 1월 │ 2,218 │ -35.3 │
├───────┼────┼────┤
│ 2월 │ 2,312 │ -23.8 │
├───────┼────┼────┤
│ 3월 │ 3,267 │ -20.8 │
├───────┼────┼────┤
│ 4월 │ 2,592 │ -32.5 │
├───────┼────┼────┤
│ 5월 │ 2,945 │ -30.5 │
├───────┼────┼────┤
│ 6월 │ 2,872 │ -34.2 │
├───────┼────┼────┤
│ 7월 │ 2,761 │ -33.5 │
├───────┼────┼────┤
│ 8월 │ 2,578 │ -36.8 │
├───────┼────┼────┤
│ 9월 │ 2,825 │ -42.4 │
├───────┼────┼────┤
│ 10월 │ 2,478 │ -36.0 │
└───────┴────┴────┘
/연합뉴스
홍콩의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반대 시위가 날로 격화하는 가운데 올해 한국의 대(對)홍콩 수출도 33%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 한국의 대홍콩 수출액은 268억4천7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2.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한국 전체 수출액 감소율 10.4%의 3배가 넘는 수치다.
대홍콩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대비해 지난해 11월 -17.3%, 12월 -28.0%, 올해 1월 -35.3%, 2월 -23.8%, 3월 -20.8%, 4월 -32.5%, 5월 -30.5%, 6월 -34.2%, 7월 -33.5%, 8월 -36.8%, 9월 -42.4%, 10월 -36.0% 등 1년 연속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대로 가면 올해 대홍콩 수출은 연간 기준 2014년 -1.8% 이후 5년 만에 마이너스, 1976년 -82.2% 이후 43년 만에 최악의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에 있어서 홍콩은 지난해 기준 중국, 미국, 베트남 다음으로 수출 규모가 큰 지역이다.
무역협회가 지난 8월 발간한 '홍콩 시위 장기화에 따른 우리 수출 영향'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대홍콩 수출 중 반도체와 메모리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73.0%, 63.3%로 높게 나타났고, 반도체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홍콩 시장에서 특히 높았다.
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한국의 반도체 수출이 부진한 데다가 홍콩 시위가 격화하면서 대홍콩 수출이 겹악재를 맞았다.
한국 수출에서 홍콩이 중요한 이유는 대중국 수출의 중요한 우회지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홍콩에서 수입한 한국 제품 중 82.6%가 중국으로 재수출됐다.
홍콩은 지난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355억달러 제품 가운데 94.0%를 재수출했고, 이 중 82.6%에 달하는 293억달러어치를 중국으로 보냈다.
최근 홍콩은 송환법에 반대해 홍콩 및 중국 정부와 극심한 갈등을 겪고 있다.
갈등이 시발점이 된 송환법은 홍콩 정부가 중국, 대만, 마카오 등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지역에도 범죄인들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이다. 홍콩 시민들은 중국 정부가 이 법을 악용해 반(反)체제 인사나 인권운동가를 본토로 강제 송환할 것을 우려해 홍콩 정부의 송환법 입법 추진에 반발하며 거리로 나섰다.
지난 6월 시작한 홍콩 사태가 6개월째 이어짐에 따라 시위대와 정부 간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4일 해외 순방 중 "폭력을 중단시키고 혼란을 제압해 질서를 회복하는 것이 홍콩의 가장 긴박한 임무"라며 사실상 중국 중앙 정부가 공개적으로 강력히 개입할 것임을 시사했다.
한국은 홍콩을 경유해 중국으로 재수출하는 비중이 일본 등 다른 주요국보다 높아 홍콩과 본토 간 긴장 격화로 인한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이 각국에서 수입한 물품 중 중국으로 재수출되는 비중은 대만(107.0%) 다음으로 한국(82.6%)이 높다.
일본은 64.4%, 말레이시아는 56.2%, 미국은 32.8%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홍콩 사태는 반도체 가격 급락,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중국 수출 타격, 일본 수입규제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 등 이미 많은 어려움을 겪은 한국 수출에 부담을 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표] 2019년 1∼10월 대(對)홍콩 수출액 및 증감률
(단위: 백만달러, %)
┌───────┬────┬────┐
│ 2019년 │ 수입액 │ 증감률 │
├───────┼────┼────┤
│ 1∼10월 누계 │ 26,847 │ -32.9 │
├───────┼────┼────┤
│ 1월 │ 2,218 │ -35.3 │
├───────┼────┼────┤
│ 2월 │ 2,312 │ -23.8 │
├───────┼────┼────┤
│ 3월 │ 3,267 │ -20.8 │
├───────┼────┼────┤
│ 4월 │ 2,592 │ -32.5 │
├───────┼────┼────┤
│ 5월 │ 2,945 │ -30.5 │
├───────┼────┼────┤
│ 6월 │ 2,872 │ -34.2 │
├───────┼────┼────┤
│ 7월 │ 2,761 │ -33.5 │
├───────┼────┼────┤
│ 8월 │ 2,578 │ -36.8 │
├───────┼────┼────┤
│ 9월 │ 2,825 │ -42.4 │
├───────┼────┼────┤
│ 10월 │ 2,478 │ -36.0 │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