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이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19년 3/4분기 가계동행수지(소득부문)결과 관련 배경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이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19년 3/4분기 가계동행수지(소득부문)결과 관련 배경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이 2분기 연속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5분위) 가계의 소득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치며 3분기 기준 가계 소득 격차는 4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자영업이 악화되며 가계의 사업소득은 4.9% 급감해 2003년 통계집계 이후 최대폭 줄었다.

통계청은 21일 이런 내용의 2019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소득부문 결과를 발표했다.

3분기 전국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87만69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7% 늘었다. 명목소득이 늘면서 3분기 실질소득도 2.7% 늘어 8분기 연속 증가 행진을 이어갔다.

유형별로 보면 3분기 명목소득에서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 336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4.8%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87만9800원으로 4.9% 감소했다. 사업소득 감소폭은 2003년 통계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다.

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자영업황이 부진해 전반적으로 자영업자가 아래 분위로 이동하거나 무직 가구로 전환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산소득은 2만100원으로 2.5% 감소했고,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공적이전소득을 포함한 이전소득은 60만300원으로 8.6% 늘었다.

비경상소득은 63.4% 줄어든 1만5700원이었다. 비경상소득은 경조 소득이나 퇴직수당과 실비보험을 탄 금액 등을 말한다.

3분기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137만1600원으로 1년 전보다 5만6800원(4.5%) 늘어 2분기째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8.0%) 감소세로 돌아선 1분위 소득은 5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 2분기(0.04%) 증가 전환했다. 3분기 명목소득 증가폭은 2017년 4분기(10.2%) 이후 최대다.

1분위 근로소득은 6.5% 줄어 7분기째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폭은 두 자릿수에서 한 자릿수로 축소됐다. 1분위 사업소득은 11.3% 증가해 3분기째 증가세를 이어갔고, 이전소득은 11.4% 늘어 지난해 3분기(19.9%) 이후 1년 만에 최대폭 증가했다. 통계청은 특히 공적 이전소득이 19.1% 늘어 이전소득 증가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5분위 명목소득은 월평균 980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6만4500원(0.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자영 업황 악화로 사업소득이 2003년 통계집계 시작 이후 최대폭인 12.6% 줄어들면서 전체소득 증가세가 둔화하는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1분위 가계의 소득은 7분기만에 최대폭 늘어난 반면, 5분위 가계의 소득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상·하위 가계의 소득 격차는 3분기 기준 4년 만에 줄었다. 3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37배로 1년 전(5.52배)보다 0.15배p 하락해 같은 분기 기준 2015년 3분기(-0.27배p) 이후 4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3분기 기준 5분위 배율은 2015년 4.46배를 저점으로 2016년(4.81배), 2017년(5.18배), 2018년(5.52배)로 악화했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