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소득 2분기째 증가…정부 이전소득 증가 영향(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근로소득은 7분기째 내리막…"근로소득 감소는 자영업 악화 영향"
정부 정책에 따른 이전소득이 늘어나며 저소득층 가구 소득이 2분기 연속 늘어나고 증가폭도 커졌다.
근로소득은 7분기 연속 내리막을 걸었지만, 감소율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를 보면 올해 3분기에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137만4천원(전국·가구원 2인 이상)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증가했다.
1분위 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기준으로 2018년 1분기(-8.0%)·2분기(-7.6%)·3분기(-7.0%)·4분기(-17.7%)·올해 1분기(-2.5%) 등 5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기록하다가 올해 2분기(0.04%)에 미세하게 반등한 뒤 3분기에 증가폭을 늘린 것이다.
1분위 소득 증가는 비중이 가장 큰 이전소득(67만4천원)이 11.4% 증가한 영향이 컸다.
이전소득은 2018년 1분기부터 7분기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3분기 근로소득(44만8천원)은 1년 전보다 6.5% 줄어들어 2018년 1분기 이후 7분기 연속 감소가 이어졌다.
근로소득은 2018년 1분기(-13.3%)·2분기(-15.9%)·3분기(-22.6%)·4분기(-36.8%)·올해 1분기(-14.5%)·2분기(-15.3%) 등을 보였다.
다만 감소폭이 2018년 4분기를 정점으로 줄어들며 올해 3분기에는 한 자릿수로 떨어진 것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업황이 좋지 않은 자영업자가 1분위로 추락하는 동시에 근로자가 상위 분위로 올라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3분기에 1분위 내 근로자 가구는 28.1%를 차지해 1년 전보다 11.4% 감소했다.
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덜 양호한 근로자 가구만 1분위에 남아 마치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1분위 내 근로자 가구만의 근로소득을 계산하면 오히려 4.9% 증가했다" 며 "저소득층 가구의 근로소득 여건은 많이 좋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1분위 가구의 사업소득(24만원)이 1년 전보다 11.3% 증가한 점도 1분위 가구 내 구성 변동으로 설명이 가능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박 과장은 "1분위 내 자영업자 가구가 10.7% 증가했다"며 "자영업자 가구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 사업소득이 늘어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전체적으로 1분위 소득이 증가한 요인에 대해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 등 일해서 번 소득은 2018년 3분기와 비교해 대략 1% 정도 감소하며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라며 "반면 다른 한쪽 바퀴인 이전소득, 특히 정부 정책 강화와 관련이 있는 공적 이전소득이 19.1% 증가하면서 저소득 가구의 소득을 끌어올리는 요소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올 3분기 1분위의 공적 이전소득은 49만5천원이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올해 1분기 15.8%, 2분기 18.8%, 3분기 19.1% 등으로 꾸준히 오름세다.
이처럼 공적 이전소득 증가율이 확대되는 이유는 가장 비중이 큰 공적 연금(3분기 18만6천원)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적 연금 증가율이 올해 1분기 10.5%, 2분기 16.7%, 3분기 19.4% 등을 나타냈다.
한편 1분위 처분가능소득(102만6천원)은 1년 전보다 1.5% 증가했다.
2018년 1분기부터 6분기째 계속된 감소세가 멈췄다.
비소비지출(34만9천원)은 13.4% 늘었지만, 소득 개선 효과가 더 컸기 때문에 반등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고용시장 회복세 등에 힘입어 1분위 근로소득 감소폭이 많이 축소되고 사업·이전소득 증가세는 계속되고 있다"며 "기초연금 인상, 근로·자녀장려금 제도 확대 개편 등에 따른 지급 확대 등 정책 효과로 이전소득이 확대되며 1분위 소득 증가를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정부 정책에 따른 이전소득이 늘어나며 저소득층 가구 소득이 2분기 연속 늘어나고 증가폭도 커졌다.
근로소득은 7분기 연속 내리막을 걸었지만, 감소율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를 보면 올해 3분기에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137만4천원(전국·가구원 2인 이상)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증가했다.
1분위 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기준으로 2018년 1분기(-8.0%)·2분기(-7.6%)·3분기(-7.0%)·4분기(-17.7%)·올해 1분기(-2.5%) 등 5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기록하다가 올해 2분기(0.04%)에 미세하게 반등한 뒤 3분기에 증가폭을 늘린 것이다.
1분위 소득 증가는 비중이 가장 큰 이전소득(67만4천원)이 11.4% 증가한 영향이 컸다.
이전소득은 2018년 1분기부터 7분기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3분기 근로소득(44만8천원)은 1년 전보다 6.5% 줄어들어 2018년 1분기 이후 7분기 연속 감소가 이어졌다.
근로소득은 2018년 1분기(-13.3%)·2분기(-15.9%)·3분기(-22.6%)·4분기(-36.8%)·올해 1분기(-14.5%)·2분기(-15.3%) 등을 보였다.
다만 감소폭이 2018년 4분기를 정점으로 줄어들며 올해 3분기에는 한 자릿수로 떨어진 것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업황이 좋지 않은 자영업자가 1분위로 추락하는 동시에 근로자가 상위 분위로 올라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3분기에 1분위 내 근로자 가구는 28.1%를 차지해 1년 전보다 11.4% 감소했다.
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덜 양호한 근로자 가구만 1분위에 남아 마치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1분위 내 근로자 가구만의 근로소득을 계산하면 오히려 4.9% 증가했다" 며 "저소득층 가구의 근로소득 여건은 많이 좋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1분위 가구의 사업소득(24만원)이 1년 전보다 11.3% 증가한 점도 1분위 가구 내 구성 변동으로 설명이 가능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박 과장은 "1분위 내 자영업자 가구가 10.7% 증가했다"며 "자영업자 가구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 사업소득이 늘어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전체적으로 1분위 소득이 증가한 요인에 대해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 등 일해서 번 소득은 2018년 3분기와 비교해 대략 1% 정도 감소하며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라며 "반면 다른 한쪽 바퀴인 이전소득, 특히 정부 정책 강화와 관련이 있는 공적 이전소득이 19.1% 증가하면서 저소득 가구의 소득을 끌어올리는 요소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올 3분기 1분위의 공적 이전소득은 49만5천원이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올해 1분기 15.8%, 2분기 18.8%, 3분기 19.1% 등으로 꾸준히 오름세다.
이처럼 공적 이전소득 증가율이 확대되는 이유는 가장 비중이 큰 공적 연금(3분기 18만6천원)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적 연금 증가율이 올해 1분기 10.5%, 2분기 16.7%, 3분기 19.4% 등을 나타냈다.
한편 1분위 처분가능소득(102만6천원)은 1년 전보다 1.5% 증가했다.
2018년 1분기부터 6분기째 계속된 감소세가 멈췄다.
비소비지출(34만9천원)은 13.4% 늘었지만, 소득 개선 효과가 더 컸기 때문에 반등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고용시장 회복세 등에 힘입어 1분위 근로소득 감소폭이 많이 축소되고 사업·이전소득 증가세는 계속되고 있다"며 "기초연금 인상, 근로·자녀장려금 제도 확대 개편 등에 따른 지급 확대 등 정책 효과로 이전소득이 확대되며 1분위 소득 증가를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