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PF 위험 커져…부실 터지면 2조원 날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부동산시장에서 2010년 수준의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태가 발생할 경우 증권업계 손실 규모가 최대 2조2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부동산PF 유동화시장의 위험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공시 강화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증권사 부동산PF 위험도 ‘껑충’
PF는 미래에 발생할 현금흐름을 담보로 부동산 등 개발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기법이다. 국내 증권사들은 시행사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유동화증권에 유동성을 공급(매입보장)하거나 유동성 및 신용공여를 제공(매입확약)하는 등 형태로 부동산PF 유동화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PF는 증권사 투자은행(IB) 부서의 주된 먹거리로 떠올랐다. PF 사업장 부실이 표면화되지 않는 이상 직접 현금 지출 없이도 계약당 3% 안팎의 수수료 수익을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자본연에 따르면 증권업 부동산PF 유동화증권 발행잔액은 2014년 말 4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14조7000억원으로 4년 새 3.3배 늘었다. 같은 기간 부동산PF 유동화시장에서 증권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37.4%에서 54.9%로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 수년간 부동산시장이 과열 양상을 띠면서 증권업 부동산PF의 양적·질적 측면에서 위험도가 점점 상승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가 PF 사업장 시공사의 신용등급이다. 증권업 PF 사업장 시공사로 나선 건설업체 중 신용등급이 ‘A-’에서 ‘A+’ 사이로 비교적 양호한 회사의 비중은 2017년 상반기 49.7%에서 2018년 하반기 32.2%로 하락했다. 아예 신용등급이 매겨지지 않은 무등급 업체 비중은 25.7%에서 39.3%까지 높아졌다.
그 결과 자본연이 산출한 증권사 부동산PF 채무보증 위험점수는 2014년 평균 0.254점에서 지난해 3.01점으로 악화됐다. 이석훈 자본연 수석연구위원은 “대형증권사의 경우 위험점수가 대체로 0.1~0.2 수준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반면 상당수 중소형사는 위험점수가 0.5 이상까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부동산PF 위험 공시 강화해야”
자본연은 부동산PF 유동화증권의 위험이 높아진 상황에서 2010년처럼 대규모 PF 부실사태가 재발할 경우 증권업계에 미치는 영향도 점검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시장이 침체에 빠져들면서 2010년을 전후로 부동산PF 대출 비중이 컸던 저축은행 30여곳이 대거 파산하는 등 홍역을 치렀다.
2010년 당시 은행 등 금융권 전체의 부동산PF 대출 평균 연체율은 약 13%였다. 이를 현재 증권업 부동산PF 자산에 적용할 경우 채무불이행(디폴트)에 의한 손실규모는 최소 1조700억원에서 최대 1조17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자본연은 추산했다.
자본연은 2010년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약 25%)을 적용할 경우엔 증권업 부동산PF의 디폴트 손실액은 최대 2조1900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작년 말 기준 증권업계 자기자본의 5.5%에 해당한다. 증권사의 재무건전성 척도인 순자본비율(NCR)은 587%에서 538%로 49%포인트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장근혁 자본연 연구위원은 “아직은 증권업 부동산PF 위험 노출도가 과도하게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위험관리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며 “증권사 사업보고서에 부동산PF 관련 위험요인을 보다 상세히 공시하는 한편, 주식·채권 등 트레이딩 자산의 위험이 동시에 커지는 것을 고려한 레버리지 규제 등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증권사 부동산PF 위험도 ‘껑충’
자본시장연구원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국내 증권업 부동산PF 유동화시장의 추이와 위험 분석’ 세미나에서 이 같은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PF는 미래에 발생할 현금흐름을 담보로 부동산 등 개발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기법이다. 국내 증권사들은 시행사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유동화증권에 유동성을 공급(매입보장)하거나 유동성 및 신용공여를 제공(매입확약)하는 등 형태로 부동산PF 유동화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PF는 증권사 투자은행(IB) 부서의 주된 먹거리로 떠올랐다. PF 사업장 부실이 표면화되지 않는 이상 직접 현금 지출 없이도 계약당 3% 안팎의 수수료 수익을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자본연에 따르면 증권업 부동산PF 유동화증권 발행잔액은 2014년 말 4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14조7000억원으로 4년 새 3.3배 늘었다. 같은 기간 부동산PF 유동화시장에서 증권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37.4%에서 54.9%로 증가했다.
그 결과 자본연이 산출한 증권사 부동산PF 채무보증 위험점수는 2014년 평균 0.254점에서 지난해 3.01점으로 악화됐다. 이석훈 자본연 수석연구위원은 “대형증권사의 경우 위험점수가 대체로 0.1~0.2 수준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반면 상당수 중소형사는 위험점수가 0.5 이상까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부동산PF 위험 공시 강화해야”
2010년 당시 은행 등 금융권 전체의 부동산PF 대출 평균 연체율은 약 13%였다. 이를 현재 증권업 부동산PF 자산에 적용할 경우 채무불이행(디폴트)에 의한 손실규모는 최소 1조700억원에서 최대 1조17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자본연은 추산했다.
자본연은 2010년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약 25%)을 적용할 경우엔 증권업 부동산PF의 디폴트 손실액은 최대 2조1900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작년 말 기준 증권업계 자기자본의 5.5%에 해당한다. 증권사의 재무건전성 척도인 순자본비율(NCR)은 587%에서 538%로 49%포인트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