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韓경제 성장세 다소간의 확장적 정책에도 둔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션 크레이그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국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26일 "한국의 경제 성장세는 다소간의(modest) 확장적 정책에도 둔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공동으로 연 콘퍼런스에서 '2020년 세계·아시아 경제전망'에 대해 "세계경제 성장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이며, 동시적인 둔화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아시아는 제조업과 투자, 무역의 확연한 둔화 속에 타격이 컸다"면서 "투자와 무역의 약세를 반영해 아시아 지역 성장 전망에 대해 가장 큰 하향조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시아는 주요 지역 가운데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2020년 성장세 반등은 주로 다른 지역 덕택"이라고 지적했다.
IMF는 지난달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0%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8%에서 2.2%로 각각 내렸다.
중국의 경기둔화와 미·중 무역갈등의 파급효과에 따른 하방리스크 확대를 반영해서다.
크레이그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경제는 아웃풋 갭(잠재 성장률과 실질 성장률 간의 차이)이 확대되고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면서 내부균형에서 멀어지고 있는 가운데 수출 약세가 투자를 짓누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향후 글로벌 경제에 하방리스크가 크다며 무역분쟁이 고조돼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금융시장 불안이 고조돼 리스크 회피 경향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크레이그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분쟁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핵심 리스크로 남아있다"면서 "이는 아시아에서 투자와 회사채 스프레드에 영향력이 크며 성장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이 경제 활력에 필수적인 지원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면서 나타난 수요둔화를 상쇄하기 위한 대응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금융리스크는 억눌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포용적 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증진하기 위한 구조개혁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그는 "특히 아시아는 제조업과 투자, 무역의 확연한 둔화 속에 타격이 컸다"면서 "투자와 무역의 약세를 반영해 아시아 지역 성장 전망에 대해 가장 큰 하향조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시아는 주요 지역 가운데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2020년 성장세 반등은 주로 다른 지역 덕택"이라고 지적했다.
IMF는 지난달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0%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8%에서 2.2%로 각각 내렸다.
중국의 경기둔화와 미·중 무역갈등의 파급효과에 따른 하방리스크 확대를 반영해서다.
크레이그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경제는 아웃풋 갭(잠재 성장률과 실질 성장률 간의 차이)이 확대되고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면서 내부균형에서 멀어지고 있는 가운데 수출 약세가 투자를 짓누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향후 글로벌 경제에 하방리스크가 크다며 무역분쟁이 고조돼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금융시장 불안이 고조돼 리스크 회피 경향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크레이그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분쟁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핵심 리스크로 남아있다"면서 "이는 아시아에서 투자와 회사채 스프레드에 영향력이 크며 성장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이 경제 활력에 필수적인 지원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면서 나타난 수요둔화를 상쇄하기 위한 대응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금융리스크는 억눌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포용적 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증진하기 위한 구조개혁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