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기로 놓인 '타다', 국민 눈치 보지 않는 '국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관석 국토교통위원회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장은 25일 법안소위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일명 ‘타다 금지법’인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가능한 빨리 다음 소위 일정을 잡아 처리하기로 합의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여객운수법 개정안은 11~15인승 승합차에 ‘관광목적 및 대여시간 6시간 이상’, ‘공항이나 항만으로 반납’ 등의 목적으로만 운전기사를 알선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쉽게 말해 법안이 이대로 통과된다면 특수한 목적이 아니라면 타다 탑승은 불가능해지며, 지금의 타다 영업도 불법이 된다. 법안이 이날 법안소위를 통과하지는 못했지만, 정치권은 여야 합의가 이뤄진만큼 정기 국회내에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지난 4일 리얼미터는 ‘타다’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를 내놨다. ‘공유경제 개념에 기반한 혁신적인 신사업으로 육성할 가치가 있는 서비스’라는 응답이 49.1%, ‘정당한 자격 없이 택시업계에 뛰어들어 공정경쟁을 해치는 불법적 서비스’라는 의견이 25.7%였다. 긍정적 답변이 부정적 답변보다 두배 가량 높았다. 이 뿐 아니라 타다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거의 모든 지역, 연령, 직업, 이념성향, 정당지지층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의 기소에 이어, 국회 입법 과정에서까지 타다는 ‘존폐 기로’에 놓였다. 답답한 건 타다가 이미 생활속에 자리잡은 대다수의 이용자들이다. 국회가 특정집단이 아닌 다수 국민의 눈치를 봐야할 때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