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던 금·채권값 '멈칫'…위험자산 선호심리 회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채권·엔화 등 대표 안전자산 가격 하락세
미중 합의 기대감 확대, 위험자산 선호심리
미중 합의 기대감 확대, 위험자산 선호심리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과 채권의 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커지면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회복돼서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KRX금시장의 1g당 금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0.29% 하락한 5만5140원을 기록했다. 1돈당 20만6775원이다.
지난해 말 가격인 4만5970원보다는 19.9% 높지만 올해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상승했던 금값의 연고점과 비교하면 가격이 한 단계 낮아졌다.
채권 금리는 연고점 대비 큰 폭으로 올랐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리가 올랐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하락했다는 의미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올해 8월 19일 역대 최저 수준인 1.093%까지 하락했지만 지난 26일 연 1.475%로 마감했다. 이달 중순에는 연 1.5%까지 오르기도 했다.
외환시장에서 이 같은 흐름을 이어지고 있다. 금융시장이 불안할 때마다 오르는 엔화 가치가 3개월여 사이 하락세다. 원/엔 환율은 연고점을 기록한 지난 8월 13일 100엔당 1160.96원에서 지난 26일 1079.89원으로 81.07원 내렸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협상 합의 기대감이 각각의 금융자산에 영향을 미쳤다고 입을 모은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이 이해관계에 따라 무역분쟁에서 일정 정도 합의에 이를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면서 금, 채권 등의 가격 약세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KRX금시장의 1g당 금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0.29% 하락한 5만5140원을 기록했다. 1돈당 20만6775원이다.
지난해 말 가격인 4만5970원보다는 19.9% 높지만 올해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상승했던 금값의 연고점과 비교하면 가격이 한 단계 낮아졌다.
채권 금리는 연고점 대비 큰 폭으로 올랐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리가 올랐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하락했다는 의미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올해 8월 19일 역대 최저 수준인 1.093%까지 하락했지만 지난 26일 연 1.475%로 마감했다. 이달 중순에는 연 1.5%까지 오르기도 했다.
외환시장에서 이 같은 흐름을 이어지고 있다. 금융시장이 불안할 때마다 오르는 엔화 가치가 3개월여 사이 하락세다. 원/엔 환율은 연고점을 기록한 지난 8월 13일 100엔당 1160.96원에서 지난 26일 1079.89원으로 81.07원 내렸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협상 합의 기대감이 각각의 금융자산에 영향을 미쳤다고 입을 모은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이 이해관계에 따라 무역분쟁에서 일정 정도 합의에 이를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면서 금, 채권 등의 가격 약세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