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OLED 슈퍼사이클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디스플레이 생산라인 전경](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01.21080900.1.jpg)
이 증권사 김동원 연구원은 "대만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내년 아이폰12 출하량은 1억대 이상으로 전망된다"며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12 시리즈가 5세대 이동통신(5G) 지원이 예상돼 3개 신모델 100%가 OLED 패널을 탑재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그는 "내년 출시될 아이폰은 3개 신모델 100%가 플렉서블 OLED 패널을 탑재할 전망"이라며 "특히 아이폰12는 터치일체형(와이옥타) OLED 패널이 아이폰에 최초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애플이 와이옥타 OLED 패널을 탑재할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기존 필름형 OLED 터치패널에 비해 원가절감이 가능하고 두께가 얇아져 배터리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서블 OLED 패널의 연 생산능력은 3억대 수준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서블 OLED 패널 가동률은 올해 50%, 내년 75%, 2021년 100%로 추정돼 2년 뒤에는 중소형 OLED 패널의 공급부족이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2021년에는 플렉서블 OLED 패널의 전략고객인 삼성전자, 애플, 중국 모바일 업체들로부터 각각 평균 1억대 이상의 패널 주문이 예상돼 삼성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 OLED 패널 생산능력을 고려하면 공급부족이 불가피하다"며 "특히 중소형 패널은 심각한 공급부족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KB증권 OLED 업종의 최선호주로는 삼성전자를 꼽았다. 장비업체로는 에스에프에이, AP시스템, 원익IPS와 소재업체인 한솔케미칼, 덕산네오룩스, 부품업체로는 LG이노텍, 비에이치 등을 제시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