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엘케이인스펙션 "의료용 AI로 美 공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다음달 업계 첫 코스닥 상장 앞둔 김동민 대표
의사 진료 돕는 인공지능 SW
뇌경색·암·치매 등 37개 개발
의사 진료 돕는 인공지능 SW
뇌경색·암·치매 등 37개 개발

김동민 제이엘케이인스펙션 대표(사진)는 “제품을 패키지로 구성하고 소형화하는 전략으로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제이엘케이인스펙션은 다음달 중순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다. 다음달 2~3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2016년부터 의료용 제품을 개발하기 시작한 이 회사는 지난해 8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등급 의료기기로 허가받은 뇌경색 분석 소프트웨어 ‘JBS-01K’를 포함해 전립선암, 치매, 폐질환, 안질환 등을 분석하는 37개 제품을 개발했다. 이 회사는 각 제품의 구성요소를 부품화해 이른 시간에 제품을 완성할 수 있는 플랫폼인 ‘AI 허브’를 구축했다. 그는 “제품을 만들려면 알고리즘, 영상 처리 등 여러 요소를 결합해야 한다”며 “제품 특성에 맞게 AI 허브의 각 요소를 조합하면 고성능의 AI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다”고 했다.

제이엘케이인스펙션은 AI를 소형화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김 대표는 “기존에는 고성능의 AI를 작동시키려면 커다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필요하지만 GPU 없이도 추론 능력이 뛰어난 AI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며 “손바닥만 한 컴퓨터에서도 사용 가능한 AI로 의료환경이 열악한 개발도상국이나 지역 중소병원을 공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