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송금 활성화…일부 아시아 국가는 점유율 절반 넘기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외에선 어떻게…
해외에서는 은행 주도의 외화송금 독점 구조가 깨진 지 오래다. 한국보다 몇 년 앞서 핀테크 업체들에 외화송금 시장을 개방했기 때문이다.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핀테크 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이미 절반을 넘어섰다.
핀테크 해외송금 시장이 활성화된 대표적인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은 한국보다 7년 앞선 2010년 자금결제법을 개정해 핀테크 업체의 외화송금을 허용했다. 법 제정 4년 만인 2014년 개인 해외 송금액 중 핀테크 업체를 통한 비중은 50%를 넘어섰다. 해외송금 전문 핀테크 업체는 64개(올 2월 기준)로 늘었다. 한국의 세 배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100만엔으로 묶여 있는 핀테크 송금 업체의 1회 송금 한도도 2021년까지 폐지한다는 계획이다. 핀테크업계 관계자는 “송금 한도가 높아지면 핀테크 업체가 기업 간(B2B) 송금 시장에도 뛰어들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핀테크 해외송금 시장은 무섭게 성장 중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06년 비은행 업체의 해외송금을 허용했다. 당시 10%에 불과했던 핀테크 업체 시장 점유율은 2014년 54.4%로 높아졌다. 싱가포르에서도 해외로 나가는 송금의 60% 이상, 해외에서 들어오는 송금의 30%가량이 은행 외 업체를 통해 이뤄진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전체 글로벌 외화송금 시장에서 핀테크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2%를 기록했다. 2015년 2.5%에서 3년 만에 점유율이 다섯 배 수준으로 높아졌다. 한국은 지난해 기준 6.1%로 글로벌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한국도 외국인 근로자와 다문화 가정이 늘면서 개인 해외송금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그러나 규제로 인해 핀테크 송금 업체의 성장 속도는 해외에 비해 더디다는 평가가 많다. 한 해외송금 핀테크 업체 대표는 “국내에서도 송금 한도 등 규제를 대폭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핀테크 해외송금 시장이 활성화된 대표적인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은 한국보다 7년 앞선 2010년 자금결제법을 개정해 핀테크 업체의 외화송금을 허용했다. 법 제정 4년 만인 2014년 개인 해외 송금액 중 핀테크 업체를 통한 비중은 50%를 넘어섰다. 해외송금 전문 핀테크 업체는 64개(올 2월 기준)로 늘었다. 한국의 세 배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100만엔으로 묶여 있는 핀테크 송금 업체의 1회 송금 한도도 2021년까지 폐지한다는 계획이다. 핀테크업계 관계자는 “송금 한도가 높아지면 핀테크 업체가 기업 간(B2B) 송금 시장에도 뛰어들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핀테크 해외송금 시장은 무섭게 성장 중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06년 비은행 업체의 해외송금을 허용했다. 당시 10%에 불과했던 핀테크 업체 시장 점유율은 2014년 54.4%로 높아졌다. 싱가포르에서도 해외로 나가는 송금의 60% 이상, 해외에서 들어오는 송금의 30%가량이 은행 외 업체를 통해 이뤄진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전체 글로벌 외화송금 시장에서 핀테크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2%를 기록했다. 2015년 2.5%에서 3년 만에 점유율이 다섯 배 수준으로 높아졌다. 한국은 지난해 기준 6.1%로 글로벌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한국도 외국인 근로자와 다문화 가정이 늘면서 개인 해외송금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그러나 규제로 인해 핀테크 송금 업체의 성장 속도는 해외에 비해 더디다는 평가가 많다. 한 해외송금 핀테크 업체 대표는 “국내에서도 송금 한도 등 규제를 대폭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