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방사포 19분→3분→30초 연발사격 단축…정확도 미지수(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발 연사' 추가 시험할 듯…평지서 쏘아 야전운용성 미확인
일부 전문가, 화염 간격 미뤄 2대의 TEL서 발사 가능성 제기 북한이 28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는 연발 사격 시간이 대폭 단축돼 무기체계로서의 특성은 갖췄으나 정확도나 위력, 야전 운용성능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북한 관영 매체들은 29일 초대형 방사포가 이동식발사차량(TEL)에 탑재된 발사관에서 점화되어 솟구치는 사진을 공개했다.
전날 오후 4시 59분께 함경남도 연포 일대에서 발사된 2발은 정점고도 97㎞로, 380㎞를 비행해 동해에 낙하했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4개 발사관 가운데 뒤쪽 2줄의 발사관에서 순차적으로 2발이 발사됐다.
TEL은 3축 바퀴의 대형 트럭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고정 지지대(6개)를 설치했다.
발사 충격으로 TEL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고자 6개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날 오후 북한 조선중앙TV가 공개한 사진을 보고 2대의 TEL을 동원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공개된 사진에 첫 발 발사 연기와 두 번째 발사됐을 때 연기 간격이 너무 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21세기 군사연구소 류성엽 전문연구위원은 "발사 간 식별된 연기의 이격 간격을 고려할 때, 전방 발사대의 후방 우측에 제2의 발사대 존재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군 관계자는 "연기가 바람에 날렸을 수도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북한 "초대형 방사포 연발시험사격…김정은 참관 후 대만족" / 연합뉴스 (Yonhapnews)
이번 시험 사격은 8월 24일, 9월 10일, 10월 31일에 이은 네 번째다.
네 번째 시험 사격에서 두드러진 것은 연속발사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는 점이다.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연속발사 시간을 보면 1차 17분, 2차 19분, 3차 3분이었는데 이번에는 30초로 줄였다. 다만, 미국의 227㎜ 다연장로켓이 5초, 중국의 400㎜급 대구경 다연장로켓은 6초가량이어서 이들 무기체계와 비교하면 기술 수준은 아직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초대형 방사포 TEL이 발사 장소로 이동해 30초 간격으로 2발을 쏘고 엄폐 장소로 이동하면 한국군의 킬체인(Kill Chain)의 탐지·타격체계로 대응은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은 이와 관련, "초대형 방사포의 전투 적용성을 최종 검토하기 위한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된 이번 련(연)발 시험사격을 통하여 무기체계의 군사기술적 우월성과 믿음성이 확고히 보장된다는 것을 확증하였다"고 밝혔다.
시험 사격 현장을 지휘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시험 사격 결과에 대하여 대만족을 표시하시였다"고 중앙통신은 전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초대형 방사포를 실전 배치하기에 앞서 추가 시험을 더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1개의 TEL에 4개 발사관이 탑재되어 있는데 4차례 사격 모두 2발 연속발사 시험만 진행했다.
첫 시험 후 3개월여 만에 2발 연속발사 시간을 30초로 단축한 것은 성과로 꼽을 만 하지만, 방사포 무기체계 특성상 수초 만에 4발 연속발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통상 무기체계 시험 방식으로 보면 4개 발사관을 가진 무기를 4발 연속으로 발사해 평가해야 하는데 2발 연속 발사로만 검증했다.
이는 발사 충격으로 인한 TEL의 떨림 현상을 완전히 극복할 수 있는 기술력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 상태에서 4발을 연속으로 발사하기에는 무리라는 것이다.
앞으로 '4발 연속발사' 시험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여기에다 정확도나 위력, 야전에서의 운용성능도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네차례 시험 사격 모두 비행장이나 평지에서 먼 해상으로 날려 보내는 데 주력했다.
지금까지 해상의 목표물을 설정해 발사하지 않았다.
따라서 탄두의 위력이나 정확도는 아직 알 수 없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전문연구위원은 "어제는 연포 비행장에서 단순 연속 발사만 한 것 같다"면서 "일단 김정은 지시 사항인 '연발'은 성공했지만 앞으로 표적을 맞히는 정확도 시험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내륙에서 표적에 4발 연속 발사로 위력과 정확도를 과시하는 시험을 해야 할 것으로 본다"며 "북한이 전투 적용성을 최종 검토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주장하지만 아직은 미완성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군사 전문가들도 초대형 방사포 시험이 지금까지 비행장과 평지에서 이뤄진 점으로 미뤄 야전 운용성능 또한 검증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북한은 전날 함남 연포비행장 활주로에 TEL을 고정해놓고 발사한 것으로 군과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아마도 이제 양산체제 구축 및 실전배치 단계로 들어설 듯 하다"며 "올해 공개된 신형무기 4종 세트 중에 2가지인 북한판 이스칸데르와 초대형 방사포가 완성되어 실전 배치 되었거나 곧 그 단계에 들어설 것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미사일 강국' 북한은 왜 방사포 개발에 주력할까
/연합뉴스
일부 전문가, 화염 간격 미뤄 2대의 TEL서 발사 가능성 제기 북한이 28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는 연발 사격 시간이 대폭 단축돼 무기체계로서의 특성은 갖췄으나 정확도나 위력, 야전 운용성능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북한 관영 매체들은 29일 초대형 방사포가 이동식발사차량(TEL)에 탑재된 발사관에서 점화되어 솟구치는 사진을 공개했다.
전날 오후 4시 59분께 함경남도 연포 일대에서 발사된 2발은 정점고도 97㎞로, 380㎞를 비행해 동해에 낙하했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4개 발사관 가운데 뒤쪽 2줄의 발사관에서 순차적으로 2발이 발사됐다.
TEL은 3축 바퀴의 대형 트럭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고정 지지대(6개)를 설치했다.
발사 충격으로 TEL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고자 6개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날 오후 북한 조선중앙TV가 공개한 사진을 보고 2대의 TEL을 동원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공개된 사진에 첫 발 발사 연기와 두 번째 발사됐을 때 연기 간격이 너무 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21세기 군사연구소 류성엽 전문연구위원은 "발사 간 식별된 연기의 이격 간격을 고려할 때, 전방 발사대의 후방 우측에 제2의 발사대 존재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군 관계자는 "연기가 바람에 날렸을 수도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시험 사격은 8월 24일, 9월 10일, 10월 31일에 이은 네 번째다.
네 번째 시험 사격에서 두드러진 것은 연속발사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는 점이다.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연속발사 시간을 보면 1차 17분, 2차 19분, 3차 3분이었는데 이번에는 30초로 줄였다. 다만, 미국의 227㎜ 다연장로켓이 5초, 중국의 400㎜급 대구경 다연장로켓은 6초가량이어서 이들 무기체계와 비교하면 기술 수준은 아직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초대형 방사포 TEL이 발사 장소로 이동해 30초 간격으로 2발을 쏘고 엄폐 장소로 이동하면 한국군의 킬체인(Kill Chain)의 탐지·타격체계로 대응은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은 이와 관련, "초대형 방사포의 전투 적용성을 최종 검토하기 위한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된 이번 련(연)발 시험사격을 통하여 무기체계의 군사기술적 우월성과 믿음성이 확고히 보장된다는 것을 확증하였다"고 밝혔다.
시험 사격 현장을 지휘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시험 사격 결과에 대하여 대만족을 표시하시였다"고 중앙통신은 전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초대형 방사포를 실전 배치하기에 앞서 추가 시험을 더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1개의 TEL에 4개 발사관이 탑재되어 있는데 4차례 사격 모두 2발 연속발사 시험만 진행했다.
첫 시험 후 3개월여 만에 2발 연속발사 시간을 30초로 단축한 것은 성과로 꼽을 만 하지만, 방사포 무기체계 특성상 수초 만에 4발 연속발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통상 무기체계 시험 방식으로 보면 4개 발사관을 가진 무기를 4발 연속으로 발사해 평가해야 하는데 2발 연속 발사로만 검증했다.
이는 발사 충격으로 인한 TEL의 떨림 현상을 완전히 극복할 수 있는 기술력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 상태에서 4발을 연속으로 발사하기에는 무리라는 것이다.
앞으로 '4발 연속발사' 시험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여기에다 정확도나 위력, 야전에서의 운용성능도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네차례 시험 사격 모두 비행장이나 평지에서 먼 해상으로 날려 보내는 데 주력했다.
지금까지 해상의 목표물을 설정해 발사하지 않았다.
따라서 탄두의 위력이나 정확도는 아직 알 수 없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전문연구위원은 "어제는 연포 비행장에서 단순 연속 발사만 한 것 같다"면서 "일단 김정은 지시 사항인 '연발'은 성공했지만 앞으로 표적을 맞히는 정확도 시험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내륙에서 표적에 4발 연속 발사로 위력과 정확도를 과시하는 시험을 해야 할 것으로 본다"며 "북한이 전투 적용성을 최종 검토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주장하지만 아직은 미완성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군사 전문가들도 초대형 방사포 시험이 지금까지 비행장과 평지에서 이뤄진 점으로 미뤄 야전 운용성능 또한 검증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북한은 전날 함남 연포비행장 활주로에 TEL을 고정해놓고 발사한 것으로 군과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아마도 이제 양산체제 구축 및 실전배치 단계로 들어설 듯 하다"며 "올해 공개된 신형무기 4종 세트 중에 2가지인 북한판 이스칸데르와 초대형 방사포가 완성되어 실전 배치 되었거나 곧 그 단계에 들어설 것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