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소비자물가 0.2% 상승…4개월 만에 상승 전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역대 최장 11개월 연속 1% 밑돌아
근원물가, 20년 만에 최저인 9월과 같아
정부 "연말 물가 상승률은 0% 중반 수준까지 오를 전망"
소비자물가가 4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상승 전환했다.
이는 그동안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데 크게 작용했던 농산물·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둔화한 데 따른 것으로, 정부는 연말 물가 상승률이 0% 중반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2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7(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가 공식적으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7월 이후 4개월 만이다.
소비자물가는 8월(0.0%) 보합에 이어 9월(-0.4%)에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10월(0.0%)에 다시 보합을 보였다.
이로써 소비자물가는 지난 1월(0.8%) 이후 11개월 연속 1%를 밑돌았다.
이는 196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장 기록이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6%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는 20년 만에 최저인 지난 9월(0.6%)과 같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5% 상승하는 데 그쳤다.
역시 9월과 같은 수준으로, 이전 최저 기록은 1999년 12월 0.1%였다.
통계청은 근원물가가 낮은 추세를 보이는 데 대해 무상교육과 무상급식 등 교육·보건 부문 정부 정책과 집세 및 가전제품 등 내구재 가격의 상승률 둔화를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5.3% 떨어지며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0.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년 전보다 0.1% 상승했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작년 동월보다 2.7%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1%포인트 끌어내렸다.
이중 농산물 가격은 5.8%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5%포인트 끌어내렸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농산물 가격이 지난해 11월에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14.8% 급등했지만 올해 11월에는 5.8% 하락했다"며 "가을 태풍으로 채소류 가격이 상승해 전체 농산물 하락폭이 (작년보다) 작아지면서 농산물이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효과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감자(-38.3%), 마늘(-23.6%), 토마토(-14.9%), 고춧가루(-14.1%), 사과(-9.8%) 등도 가격이 내린 반면 무(67.4%), 배추(56.6%), 오이(50.4%) 등은 많이 올랐다.
축산물과 수산물은 각각 1.0%, 1.2% 상승했다.
코리안세일페스타로 자동차 등 일부 내구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0.2% 내렸다.
이중 석유류는 4.8% 떨어지며 전체 물가를 0.22%포인트 끌어내렸다.
휘발유(-4.2%), 경유(-4.1%), 자동차용 LPG(-11.3%) 모두 가격이 내렸다.
전기·수도·가스는 1.5%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는 0.7% 상승했다.
특히 외식 등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가격이 1.6% 오르며 전체 물가를 0.52%포인트 끌어올렸다.
생선회(외식)는 2.2% 하락해 2006년 2월(-2.4%) 이후 13년 9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을 나타냈다.
반면 공공서비스(-0.9%)와 집세(-0.2%)는 떨어졌다.
서비스 품목 가운데 학교급식비(-57.9%), 고교 납입금(-36.2%), 병원검사료(-6.3%), 해외단체여행비(-3.8%), 휴대전화료(-3.4%) 등은 내렸다.
반면 택시료(14.8%), 공동주택관리비(5.7%) 시내버스료(4.2%) 등은 올랐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1.5%), 기타 상품·서비스(1.5%), 보건(1.3%), 음식·숙박(1.2%), 주택·수도·전기·연료(1.1%) 등이 올랐다.
통신(-2.4%), 교통(-1.2%), 교육(-0.7%), 식료품·비주류음료(-0.7%) 등은 하락했다.
이 과장은 지난해 높은 물가 상승률에 따른 기저효과가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앞으로) 마이너스 물가만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저물가 흐름은 수요측 물가 압력이 낮아지는 가운데 공급측 요인과 정책 요인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기저효과 등 특이요인이 완화되면서 연말에는 0% 중반대로 회복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근원물가, 20년 만에 최저인 9월과 같아
정부 "연말 물가 상승률은 0% 중반 수준까지 오를 전망"
소비자물가가 4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상승 전환했다.
이는 그동안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데 크게 작용했던 농산물·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둔화한 데 따른 것으로, 정부는 연말 물가 상승률이 0% 중반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2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7(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가 공식적으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7월 이후 4개월 만이다.
소비자물가는 8월(0.0%) 보합에 이어 9월(-0.4%)에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10월(0.0%)에 다시 보합을 보였다.
이로써 소비자물가는 지난 1월(0.8%) 이후 11개월 연속 1%를 밑돌았다.
이는 196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장 기록이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6%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는 20년 만에 최저인 지난 9월(0.6%)과 같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5% 상승하는 데 그쳤다.
역시 9월과 같은 수준으로, 이전 최저 기록은 1999년 12월 0.1%였다.
통계청은 근원물가가 낮은 추세를 보이는 데 대해 무상교육과 무상급식 등 교육·보건 부문 정부 정책과 집세 및 가전제품 등 내구재 가격의 상승률 둔화를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5.3% 떨어지며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0.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년 전보다 0.1% 상승했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작년 동월보다 2.7%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1%포인트 끌어내렸다.
이중 농산물 가격은 5.8%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5%포인트 끌어내렸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농산물 가격이 지난해 11월에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14.8% 급등했지만 올해 11월에는 5.8% 하락했다"며 "가을 태풍으로 채소류 가격이 상승해 전체 농산물 하락폭이 (작년보다) 작아지면서 농산물이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효과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감자(-38.3%), 마늘(-23.6%), 토마토(-14.9%), 고춧가루(-14.1%), 사과(-9.8%) 등도 가격이 내린 반면 무(67.4%), 배추(56.6%), 오이(50.4%) 등은 많이 올랐다.
축산물과 수산물은 각각 1.0%, 1.2% 상승했다.
코리안세일페스타로 자동차 등 일부 내구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0.2% 내렸다.
이중 석유류는 4.8% 떨어지며 전체 물가를 0.22%포인트 끌어내렸다.
휘발유(-4.2%), 경유(-4.1%), 자동차용 LPG(-11.3%) 모두 가격이 내렸다.
전기·수도·가스는 1.5%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는 0.7% 상승했다.
특히 외식 등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가격이 1.6% 오르며 전체 물가를 0.52%포인트 끌어올렸다.
생선회(외식)는 2.2% 하락해 2006년 2월(-2.4%) 이후 13년 9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을 나타냈다.
반면 공공서비스(-0.9%)와 집세(-0.2%)는 떨어졌다.
서비스 품목 가운데 학교급식비(-57.9%), 고교 납입금(-36.2%), 병원검사료(-6.3%), 해외단체여행비(-3.8%), 휴대전화료(-3.4%) 등은 내렸다.
반면 택시료(14.8%), 공동주택관리비(5.7%) 시내버스료(4.2%) 등은 올랐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1.5%), 기타 상품·서비스(1.5%), 보건(1.3%), 음식·숙박(1.2%), 주택·수도·전기·연료(1.1%) 등이 올랐다.
통신(-2.4%), 교통(-1.2%), 교육(-0.7%), 식료품·비주류음료(-0.7%) 등은 하락했다.
이 과장은 지난해 높은 물가 상승률에 따른 기저효과가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앞으로) 마이너스 물가만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저물가 흐름은 수요측 물가 압력이 낮아지는 가운데 공급측 요인과 정책 요인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기저효과 등 특이요인이 완화되면서 연말에는 0% 중반대로 회복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