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최저임금 인상·구조조정…인사담당자가 꼽은 HR이슈 10가지
주52시간 근무제, 최저임금 인상, 경기불황과 구조조정, 블라인드 채용 확산, 직무역량평가 강화, 탄력근로제 확대, 일자리 정책 확대, 포괄임금 금지 논란, AI(인공지능)면접 확산, 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시행.

기업 인사담당자들이 꼽은 ‘2019년 HR(인사관리)시장 핫이슈 10가지’이다. 문재인 정부의 노동정책으로 인해 공인노무사들이 바빠진 한 해이기도 했다. 채용포털 사람인은 최근 기업 인사담당자 353명을 대상으로 올해의 핫이슈를 조사했다.

인사담당자들의 절반 가까이(42.8%)는 올 최대 이슈로 ‘주52시간 근무제’를 1위로 선정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주52시간 근로제가 적용되는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 대해 9개월 이상의 유예기간을 주기로 했다.

2위는 ‘최저임금 인상’(31.2%)이다. 이미 2018년 16.4%의 최저임금 인상에 이어 올해 또 다시 10.9%가 인상돼 시간당 8350원이 됐다. 이어 ‘경기불황과 구조조정’(8.5%), ‘블라인드 채용 확산’(3.1%), ‘직무역량평가 강화’(2.5%), ‘탄력근로제 확대’(2.5%), ‘정부 일자리 정책 확대’(2.3%), ‘포괄임금제 금지 논란’(2%) 등도 HR시장의 핫이슈였다

이러한 급격한 노동정책은 오히려 고용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근로 환경 변화나 노동 관련 정부 정책이 고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인사담당자의 32.9%가 ‘고용 축소에 영향을 줬다’(32.9%)고 답했다. ‘고용 증가에 영향을 줬다’(9.6%)는 응답보다 세 배 이상 많았다. 채용규모와 관련해서도 지난해보다 ‘감소했다’가 30.9%로, ‘증가했다’(23.5%)보다 많았다.

인사담당자들은 내년 채용시장과 관련해 예상하는 가장 큰 어려움은 절반인 51.6%(복수응답)가 ‘경제침체 및 매출 부진’을 꼽았다. 다음으로 ‘높은 최저임금’(32%), ‘주52시간 근무제 확대 시행’(24.9%), ‘숙련된 경력직 구인난’(19.5%), ‘대내외적 불확실성 증가’(18.1%) 등도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했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