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北 핵보유 용인 못해…한반도 긴장고조 행위 말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경화 - 왕이, 140분 회담
예정보다 1시간 이상 길어져
사드 갈등 해소 방안 논의키로
예정보다 1시간 이상 길어져
사드 갈등 해소 방안 논의키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장관(사진)의 회담은 예정보다 1시간가량 길어져 2시간20분간 계속됐다. 회담 후 두 장관이 만찬을 같이하기로 한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외교부는 “여러 가지 사안을 논의하다 보니 길어졌다”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양국 관계에서 다소 미진한 부분을 개선·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양국 관계 정상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갈등의 해소를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왕 장관과 동석한 추궈훙 주한 중국대사는 이 부분에서 고개를 크게 끄덕였다.
양국은 이날 회담에서 사드 배치의 후유증인 한한령(限韓令) 해제와 관련해선 외교당국 간의 인문교류촉진위원회를 가까운 시간 안에 열어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한·중 정상회담 일정을 비롯해 다음달 하순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의제와 일정도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왕 장관은 내년 초 한·중 정상회담 성사와 관련해 기자들에게 “우리는 이웃국가이기 때문에 고위급 관계를 잘 발전시켜 나가려고 한다”며 “(중국으로) 돌아가 한번 검토해 보겠다”고 했다.
이날 두 장관은 최근 북한의 동향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백두산 등정 등 최근 움직임까지 거론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 상황이 매우 유동적이며, 북한이 연말 시한을 이유로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켜서는 안 된다는 점에 의견이 모아졌다”고 회담 분위기를 전했다. 두 장관은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는 데도 공감했다. 미·북이 무력 사용 가능성 등을 언급하며 강 대 강으로 부딪치는 상황에서 북한 비핵화의 원칙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날 회담에서는 한반도 평화가 유지돼야 하며,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공동의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를 통해 비핵화를 진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데도 의견의 일치를 이뤘다. 중국이 지역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겠다는 언급도 나왔다.
왕 장관은 미국을 겨냥해선 공개적인 비판을 내놨다. 그는 “세계의 안정과 평화의 가장 큰 위협은 한 국가의 일방주의가 국제질서를 파괴하고, 패권주의 행위가 국제 관계 규칙을 허무는 것”이라며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괴롭히고 자신의 힘만 믿고 약한 자를 괴롭히며 남에게 강요하는 것을 반대한다. 물론 다른 나라의 내정 간섭에도 반대한다”고 했다. 사실상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을 겨냥한 비판 발언으로 해석된다.
일각에서는 왕 장관이 화웨이 통신장비 사용, 중거리 미사일 배치 등 한·미·중 3국 간 얽힌 문제들에 대해 중국이 한국에 강한 수위의 요구를 하면서 회담이 길어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은 안보상 이유로 화웨이 통신장비 사용 자제 요구와 함께 아시아 지역 내 중거리 미사일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요구가 중국 기업을 부당하게 차별하고, 중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것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
강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양국 관계에서 다소 미진한 부분을 개선·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양국 관계 정상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갈등의 해소를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왕 장관과 동석한 추궈훙 주한 중국대사는 이 부분에서 고개를 크게 끄덕였다.
양국은 이날 회담에서 사드 배치의 후유증인 한한령(限韓令) 해제와 관련해선 외교당국 간의 인문교류촉진위원회를 가까운 시간 안에 열어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한·중 정상회담 일정을 비롯해 다음달 하순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의제와 일정도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왕 장관은 내년 초 한·중 정상회담 성사와 관련해 기자들에게 “우리는 이웃국가이기 때문에 고위급 관계를 잘 발전시켜 나가려고 한다”며 “(중국으로) 돌아가 한번 검토해 보겠다”고 했다.
이날 두 장관은 최근 북한의 동향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백두산 등정 등 최근 움직임까지 거론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 상황이 매우 유동적이며, 북한이 연말 시한을 이유로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켜서는 안 된다는 점에 의견이 모아졌다”고 회담 분위기를 전했다. 두 장관은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는 데도 공감했다. 미·북이 무력 사용 가능성 등을 언급하며 강 대 강으로 부딪치는 상황에서 북한 비핵화의 원칙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날 회담에서는 한반도 평화가 유지돼야 하며,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공동의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를 통해 비핵화를 진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데도 의견의 일치를 이뤘다. 중국이 지역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겠다는 언급도 나왔다.
왕 장관은 미국을 겨냥해선 공개적인 비판을 내놨다. 그는 “세계의 안정과 평화의 가장 큰 위협은 한 국가의 일방주의가 국제질서를 파괴하고, 패권주의 행위가 국제 관계 규칙을 허무는 것”이라며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괴롭히고 자신의 힘만 믿고 약한 자를 괴롭히며 남에게 강요하는 것을 반대한다. 물론 다른 나라의 내정 간섭에도 반대한다”고 했다. 사실상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을 겨냥한 비판 발언으로 해석된다.
일각에서는 왕 장관이 화웨이 통신장비 사용, 중거리 미사일 배치 등 한·미·중 3국 간 얽힌 문제들에 대해 중국이 한국에 강한 수위의 요구를 하면서 회담이 길어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은 안보상 이유로 화웨이 통신장비 사용 자제 요구와 함께 아시아 지역 내 중거리 미사일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요구가 중국 기업을 부당하게 차별하고, 중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것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