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영향 올해는 미풍(?)…상승폭 더 커진 서울 아파트값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남·양천구 등 학군 인기지역 전셋값도 강세
부과 대상과 금액이 크게 늘어난 종합부동산세 고지 발표에도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더 커졌다.
일단 올해는 종부세 부담에도 버티기에 들어간 수요가 많은 데다 풍부한 유동성을 흡수해줄 다른 투자처가 없고 입시제도 개편, 각종 개발호재 등까지 겹치면서 호가가 내려가지 않고 있다.
5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2일 조사 기준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한 주 새 0.13% 올랐다.
지난주(0.11%)대비 0.02% 오름폭이 커진 것이면서 작년 9·13대책 이후 최대 상승이다.
종부세 부과로 고가주택과 다주택자가 많은 강남권의 매수문의는 다소 줄었지만 재건축·재개발 움직임이 있거나 그동안 가격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기존 아파트들의 호가가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
정시확대, 자사고·특목고 폐지 등 입시제도 개편으로 학군 인기지역도 상승세가 가파르다. 구별로 양천구 아파트값이 0.31%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학군 수요와 더불어 강남 아파트값 급등으로 대체 투자처를 찾는 여유자금들이 재건축 가능성이 있는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단지로 몰려들고 있다.
목동 신시가지 7단지 전용 67㎡는 14억7천만∼15억5천만원, 14단지 전용 71㎡는 12억∼12억5천만원에 가격이 형성돼 있다.
강남구의 아파트값도 지난주 0.19%에서 금주 0.27%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고 서초구도 0.16%에서 0.20%로 오름폭이 커졌다.
강남구 삼성동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축허가 등 개발 기대감이 커지며 인근 아파트값이 강세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 대치팰리스 전용 84㎡는 29억5천만∼31억원선이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84㎡도 29억∼31억원 선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영등포구(0.15%), 동작구(0.14%), 마포구(0.10%), 용산구(0.08%) 등 비강남권 인기지역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았던 아파트들이 키 맞추기를 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주 0.15%에서 금주 0.17%로 오름폭이 커진 가운데 주요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폭은 서울을 능가하는 수준이다.
과천시는 0.88% 올라 경기지역 최고 상승률을 이어갔고 하남(0.59%), 광명(0.34%), 평촌신도시(0.41%), 용인 수지(0.56%) 등 서울 인근 지역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과천시는 과천 주공1단지 후분양에 따른 고분양가 후폭풍이 계속되는데다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역 제외, 공공아파트 분양 차질 등으로 기존 아파트쪽으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
지방 아파트값은 0.05%로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다소 둔화했다.
강원(0.10%)·전북(-0.08%)·충북(-0.04%) 등에서 약세를 보인 반면 경남 아파트값은 0.01% 올라 2016년 2월 첫째주(0.02%) 이후 3년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상승 전환했다.
대전(0.32%)·부산(0.11%)·대구(0.05%) 등 주요 광역시는 재개발 등 개발호재와 규제 완화 영향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9% 올랐다.
서울이 0.10%로 오른 가운데 학군 수요가 몰리는 양천(0.27%)·강남(0.22%)·서초구(0.12%) 등의 전셋값이 많이 올랐다. /연합뉴스
부과 대상과 금액이 크게 늘어난 종합부동산세 고지 발표에도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은 더 커졌다.
일단 올해는 종부세 부담에도 버티기에 들어간 수요가 많은 데다 풍부한 유동성을 흡수해줄 다른 투자처가 없고 입시제도 개편, 각종 개발호재 등까지 겹치면서 호가가 내려가지 않고 있다.
5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2일 조사 기준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한 주 새 0.13% 올랐다.
지난주(0.11%)대비 0.02% 오름폭이 커진 것이면서 작년 9·13대책 이후 최대 상승이다.
종부세 부과로 고가주택과 다주택자가 많은 강남권의 매수문의는 다소 줄었지만 재건축·재개발 움직임이 있거나 그동안 가격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기존 아파트들의 호가가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
정시확대, 자사고·특목고 폐지 등 입시제도 개편으로 학군 인기지역도 상승세가 가파르다. 구별로 양천구 아파트값이 0.31%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학군 수요와 더불어 강남 아파트값 급등으로 대체 투자처를 찾는 여유자금들이 재건축 가능성이 있는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단지로 몰려들고 있다.
목동 신시가지 7단지 전용 67㎡는 14억7천만∼15억5천만원, 14단지 전용 71㎡는 12억∼12억5천만원에 가격이 형성돼 있다.
강남구의 아파트값도 지난주 0.19%에서 금주 0.27%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고 서초구도 0.16%에서 0.20%로 오름폭이 커졌다.
강남구 삼성동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축허가 등 개발 기대감이 커지며 인근 아파트값이 강세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 대치팰리스 전용 84㎡는 29억5천만∼31억원선이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84㎡도 29억∼31억원 선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영등포구(0.15%), 동작구(0.14%), 마포구(0.10%), 용산구(0.08%) 등 비강남권 인기지역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았던 아파트들이 키 맞추기를 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주 0.15%에서 금주 0.17%로 오름폭이 커진 가운데 주요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폭은 서울을 능가하는 수준이다.
과천시는 0.88% 올라 경기지역 최고 상승률을 이어갔고 하남(0.59%), 광명(0.34%), 평촌신도시(0.41%), 용인 수지(0.56%) 등 서울 인근 지역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과천시는 과천 주공1단지 후분양에 따른 고분양가 후폭풍이 계속되는데다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역 제외, 공공아파트 분양 차질 등으로 기존 아파트쪽으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
지방 아파트값은 0.05%로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다소 둔화했다.
강원(0.10%)·전북(-0.08%)·충북(-0.04%) 등에서 약세를 보인 반면 경남 아파트값은 0.01% 올라 2016년 2월 첫째주(0.02%) 이후 3년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상승 전환했다.
대전(0.32%)·부산(0.11%)·대구(0.05%) 등 주요 광역시는 재개발 등 개발호재와 규제 완화 영향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9% 올랐다.
서울이 0.10%로 오른 가운데 학군 수요가 몰리는 양천(0.27%)·강남(0.22%)·서초구(0.12%) 등의 전셋값이 많이 올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