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크라 정상, 파리서 전격 회동…분쟁 이후 첫 대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파리서 마크롱 중재로 러·우크라·프·독 4자 '노르망디 형식' 정상회담
우크라이나 사태 해법 논의…구체적 성과 불투명 전망 속 '신뢰형성 첫발' 평가 5년째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분쟁의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러시아·우크라이나·독일·프랑스의 4개국 정상이 파리에서 머리를 맞댔다.
분쟁의 당사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이 처음으로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함으로써 신뢰 형성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4개국 정상들은 9일(현지시간) 프랑스 대통령관저인 엘리제궁에서 4자회담에 이어 양자회동을 한 뒤 현재 늦은 만찬을 하며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회담에서는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돈바스 지역)에서 계속되고 있는 정부군과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 간 무력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지난 2015년 2월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역시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 4개국 정상 간 합의로 채택된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 방안인 '민스크 협정'의 실질적 이행 문제가 주요 의제로 논의됐다.
이번 노르망디 형식 정상회담은 지난 2016년 이후 3년만에 처음으로 마련된 것이다.
2014년 6월 6일 프랑스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70주년 기념식에서 회동해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한 뒤 러시아, 우크라이나, 프랑스, 독일의 4자 정상회담은 '노르망디 형식 회담'으로 불린다.
4개국 정상은 2016년 10월 독일 베를린 회담에서 민스크 협정 이행을 위한 로드맵을 만들 것을 외무장관들에 위임했지만, 이후 이 과제는 관련국들의 입장 차이로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다가 이번에 대화가 다시 마련됐다.
문제의 돈바스 지역에선 정부군과 반군 간의 크고 작은 교전과 뒤이은 휴전이 이어져 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의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은 지난 2014년 3월 크림반도가 러시아에 병합된 뒤 분리·독립을 선언하고 각각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두 공화국의 분리주의 반군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무장독립 투쟁을 계속하고 있으며, 정부군과 반군 간 무력 충돌로 지금까지 1만3천 명 이상이 숨지고, 100만명가량이 피난한 것으로 파악된다.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크림반도 장악으로 러시아 국내의 우파정서를 자극해 인기가 올랐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여러 제재에 직면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은 2015년 2월 교전 중단과 평화 정착 방안에 합의하고 '민스크 협정'을 체결했으나 이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이번 파리 노르망디 정상회담은 이 같은 교착 상황에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5월 취임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적극적 제안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중재 의지가 더해지면서 전격 성사됐다.
푸틴은 젤렌스키의 대통령 당선 이후 그를 "호감 있고 진실한 사람"이라고 평가하는 등 호감을 표하면서 양측이 평화적 해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여왔다.
이날 회담에서는 특히 4자 정상회담 이후 푸틴과 젤렌스키가 10~15분가량 따로 만나 단독 회담을 했다.
양국 정상이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갈등 해소를 위해 대면 접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두 리더가 대화 테이블에 앉은 것만으로도 신뢰 형성의 계기가 마련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프랑스 공영 AFP통신은 "이번 회담에서 포괄적 평화 협정은 기대할 수 없지만, 외교가는 이번 회담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두 정상 간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네 정상은 회담 종료 후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회담이 길어지고 만찬이 이어지면서 회담 결과 발표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위한 파격적 성과가 나오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크림, 돈바스 문제 등을 두고 심각하게 대립하고 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의 이견이 여전한 데다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도 러시아에 대한 양보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여론이 뜨겁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사태 해법 논의…구체적 성과 불투명 전망 속 '신뢰형성 첫발' 평가 5년째 이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분쟁의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러시아·우크라이나·독일·프랑스의 4개국 정상이 파리에서 머리를 맞댔다.
분쟁의 당사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이 처음으로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함으로써 신뢰 형성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4개국 정상들은 9일(현지시간) 프랑스 대통령관저인 엘리제궁에서 4자회담에 이어 양자회동을 한 뒤 현재 늦은 만찬을 하며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회담에서는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돈바스 지역)에서 계속되고 있는 정부군과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 간 무력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지난 2015년 2월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역시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 4개국 정상 간 합의로 채택된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 방안인 '민스크 협정'의 실질적 이행 문제가 주요 의제로 논의됐다.
이번 노르망디 형식 정상회담은 지난 2016년 이후 3년만에 처음으로 마련된 것이다.
2014년 6월 6일 프랑스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70주년 기념식에서 회동해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한 뒤 러시아, 우크라이나, 프랑스, 독일의 4자 정상회담은 '노르망디 형식 회담'으로 불린다.
4개국 정상은 2016년 10월 독일 베를린 회담에서 민스크 협정 이행을 위한 로드맵을 만들 것을 외무장관들에 위임했지만, 이후 이 과제는 관련국들의 입장 차이로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다가 이번에 대화가 다시 마련됐다.
문제의 돈바스 지역에선 정부군과 반군 간의 크고 작은 교전과 뒤이은 휴전이 이어져 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의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은 지난 2014년 3월 크림반도가 러시아에 병합된 뒤 분리·독립을 선언하고 각각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두 공화국의 분리주의 반군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무장독립 투쟁을 계속하고 있으며, 정부군과 반군 간 무력 충돌로 지금까지 1만3천 명 이상이 숨지고, 100만명가량이 피난한 것으로 파악된다.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크림반도 장악으로 러시아 국내의 우파정서를 자극해 인기가 올랐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여러 제재에 직면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은 2015년 2월 교전 중단과 평화 정착 방안에 합의하고 '민스크 협정'을 체결했으나 이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이번 파리 노르망디 정상회담은 이 같은 교착 상황에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5월 취임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적극적 제안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중재 의지가 더해지면서 전격 성사됐다.
푸틴은 젤렌스키의 대통령 당선 이후 그를 "호감 있고 진실한 사람"이라고 평가하는 등 호감을 표하면서 양측이 평화적 해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여왔다.
이날 회담에서는 특히 4자 정상회담 이후 푸틴과 젤렌스키가 10~15분가량 따로 만나 단독 회담을 했다.
양국 정상이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갈등 해소를 위해 대면 접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두 리더가 대화 테이블에 앉은 것만으로도 신뢰 형성의 계기가 마련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프랑스 공영 AFP통신은 "이번 회담에서 포괄적 평화 협정은 기대할 수 없지만, 외교가는 이번 회담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두 정상 간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네 정상은 회담 종료 후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회담이 길어지고 만찬이 이어지면서 회담 결과 발표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위한 파격적 성과가 나오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크림, 돈바스 문제 등을 두고 심각하게 대립하고 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의 이견이 여전한 데다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도 러시아에 대한 양보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여론이 뜨겁기 때문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