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기류 길어진 항공업계…내년 하늘길도 못 정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느 쪽으로 가야 하나
반토막 난 日 노선 늘릴지
동남아로 방향 틀지 고심
허리띠 졸라매기
반토막 난 日 노선 늘릴지
동남아로 방향 틀지 고심
허리띠 졸라매기
내년도 하계 노선 운항 계획이 안갯속에 빠졌다. 일본 여행 불매운동의 여파로 일본 노선이 반년 새 반토막 난 가운데 항공업계는 내년 일본 노선 증편과 노선 다각화 사이에서 갈팡질팡하고 있다. 지난 3분기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초라한 실적을 낸 뒤 허리띠를 졸라매던 항공업계의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항공사는 1월 초·중순까지 내년도 하계 노선 운항 계획을 확정해야 한다. 국토교통부에 최종 운항 계획을 제출하는 기한은 내년 3월이지만 그 전에 항공청에 제출해야 슬롯(항공기 이착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한·일 관계 악화로 일본 노선 수요가 급감하면서 항공업계는 내년도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일 관계 개선 여부를 예측할 수 없어 일본 노선을 다시 늘려야 할지, 동남아시아 등으로 노선을 다각화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으로 가는 하늘길은 이미 반토막이 났다.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와 일본 여행 자제 움직임이 본격화한 지난 7월을 기점으로 국적 항공사 여덟 곳의 삿포로 노선은 주당 68편에서 32편으로 급감했다. 후쿠오카 노선도 주당 49편에서 22편으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일본 노선이 전체의 절반(46%)가량을 차지하던 저비용항공사(LCC)들은 난색을 보이고 있다. LCC 관계자는 “수익성 차원에선 동남아 노선을 한 번 운항하는 것보다 일본 노선을 여러 번 운항하는 게 낫다”며 “일본 노선 급감으로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다”고 말했다.
지난 3분기 초라한 성적을 낸 항공업계는 일제히 비용 절감에 나서고 있다. 업계 1, 2위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LCC 1위인 제주항공 모두 무인화 서비스를 도입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달 국내선 공항의 이코노미석 카운터를 없애고 모바일과 무인 발권기로 탑승 수속을 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제주항공도 지난달부터 국내선에 한해 카운터에서 탑승 수속을 하는 고객에게 30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해 무인화 서비스 이용을 장려하고 있다. 이들 항공사의 지난 3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10년 전 금융위기 때(652억원)보다 적은 543억원에 그쳤다.
대한항공은 임원 수의 20%를 줄이고, 지난달부터 3개월짜리 무급휴직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스타항공 등 LCC들도 무급휴직 시행 등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10일 업계에 따르면 항공사는 1월 초·중순까지 내년도 하계 노선 운항 계획을 확정해야 한다. 국토교통부에 최종 운항 계획을 제출하는 기한은 내년 3월이지만 그 전에 항공청에 제출해야 슬롯(항공기 이착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한·일 관계 악화로 일본 노선 수요가 급감하면서 항공업계는 내년도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일 관계 개선 여부를 예측할 수 없어 일본 노선을 다시 늘려야 할지, 동남아시아 등으로 노선을 다각화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으로 가는 하늘길은 이미 반토막이 났다.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와 일본 여행 자제 움직임이 본격화한 지난 7월을 기점으로 국적 항공사 여덟 곳의 삿포로 노선은 주당 68편에서 32편으로 급감했다. 후쿠오카 노선도 주당 49편에서 22편으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일본 노선이 전체의 절반(46%)가량을 차지하던 저비용항공사(LCC)들은 난색을 보이고 있다. LCC 관계자는 “수익성 차원에선 동남아 노선을 한 번 운항하는 것보다 일본 노선을 여러 번 운항하는 게 낫다”며 “일본 노선 급감으로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다”고 말했다.
지난 3분기 초라한 성적을 낸 항공업계는 일제히 비용 절감에 나서고 있다. 업계 1, 2위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LCC 1위인 제주항공 모두 무인화 서비스를 도입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달 국내선 공항의 이코노미석 카운터를 없애고 모바일과 무인 발권기로 탑승 수속을 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제주항공도 지난달부터 국내선에 한해 카운터에서 탑승 수속을 하는 고객에게 3000원의 수수료를 부과해 무인화 서비스 이용을 장려하고 있다. 이들 항공사의 지난 3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10년 전 금융위기 때(652억원)보다 적은 543억원에 그쳤다.
대한항공은 임원 수의 20%를 줄이고, 지난달부터 3개월짜리 무급휴직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스타항공 등 LCC들도 무급휴직 시행 등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