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시민들을 갈등하게 했던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 속초역사 이전 문제가 성과 없이 마무리되는 모양새다.

동서고속철 속초역사 이전 논란 성과 없이 마무리되나
이에 따라 이 문제를 거론하고 나섰던 속초시는 행정력과 예산을 낭비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김철수 속초시장은 12일 시 현안을 의원들에게 설명하는 자리에서 그동안 진행해온 동서고속화철도 속초역사 이전 문제와 관련 "정부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김 시장은 "국토교통부 등과 협의했으나 역사 이전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며, 다만 도심지 통과에 따른 지하화 등은 검토할 수 있다고 한다"며 "정부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지만, 시의 장래를 위해 역사를 외곽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이날 김 시장이 정부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그동안 속초시민들을 찬반으로 나눠 갈등하게 했던 동서고속화철도 속초역사 이전 문제는 상처만 남긴 채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속초역사 이전 문제는 올해 6월 김 시장이 언론 브리핑을 통해 "잠정 결정 상태인 동서고속화철도 종착역 위치에 대해 시민 의견을 묻겠다"고 밝히면서 불거졌다.

당시 김 시장은 "역사 위치는 시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인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잠정 결정된 조양동 동광사 주변을 그대로 선택할 것인지를 비롯해 역사와 철로의 지하화 여부 등을 시민들에게 묻고 시의 안을 마련해 정부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속초시는 이후 100인 원탁토론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수렴한 데 이어 시의회 간담회와 원로회의, 시민중심원탁회의에 상정해 참석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하지만 시장 언론 브리핑 이후 시청 인터넷 게시판에 역사부지 이전을 반대하는 글들이 잇따라 올라오면서 속초역사 이전 문제는 시민 간 갈등 양상으로 번졌다.

외곽 이전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접근성 결여와 철도 조기착공에 대한 악영향을 반대 이유로 들었다.

조양동 동광사 주변 예정지에 역사가 들어서면 철도로 인한 도심 양분과 소음피해, 경관 훼손 등이 우려된다는 시민 목소리도 만만치 않게 제기됐었다.

/연합뉴스